[[분류:2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瑟}}}큰거문고 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玉|{{{#000,#fff 玉}}}]],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シ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おご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瑟는 '''큰 거문고 슬'''이라는 [[한자]]로, 여기에서 '큰 거문고'란 사실은 [[슬]]이라는 악기를 가리킨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큰 거문고 || || {{{-1 '''음'''}}} ||슬 || ||<-3> || ||<|4>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è || || {{{-1 '''[[광동어]]'''}}} ||sat^^1^^ || || {{{-1 '''[[객가어]]'''}}} ||sit || || {{{-1 '''[[민남어]]'''}}} ||sek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シツ}}} || || {{{-1 '''훈독'''}}} ||{{{#c88 おおごと}}} || ||<-3> || ||<-2> '''[[베트남어]]''' ||sắt || [[유니코드]]에는 U+745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土心竹(MGPH)으로 입력한다. 원래는 [[현악기]]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설문해자]]에 수록된 고문은 자휘보에 수록된 고문 𩇰(U+291F0, ⿳亠非人)이나 옥편에 수록된 고문 㻎(U+3ECE, ⿻大⿰王王)과 유사하며 [[갑골문]]에도 이와 비슷한 글자가 존재한다. 여기에 음을 나타내기 위해 [[必]](반드시 필)을 더한 형태도 있다. 또 초나라 죽간(초간)에서는 기러기발을 본뜬 듯한 兀 비슷한 문자를 두세 번 반복하여 쓰며, 여기에 必을 더하기도 한다. [[예서]]로 작성된 전한의 마왕퇴백서에는 지금과 같은 瑟의 형태가 나타난다.[* [[https://humanum.arts.cuhk.edu.hk/Lexis/lexi-mf/search.php?word=%E7%91%9F|漢語多功能字庫 Multi-function Chinese Character Database]]] [[설문해자]]에서는 소전으로 𤨝(U+24A1D, ⿱[[珡]][[必]])의 형태로 쓰는데 슬과 관계가 깊은 현악기인 [[고금]]을 나타내는 珡(거문고 금, 琴의 고자)과 소리를 나타내는 必이 합한 [[형성자]]다. 珡가 玨으로 간략화한 것이 현재의 형태다. 琴 역시 瑟에서 파생된 이체자가 존재한다. 瑟의 본음은 '슬'이지만, 琴瑟에서는 '금실'로 읽을 수 있다. 다음은 이에 대한 [[한국어문회]]의 해설이다. >琴瑟(금슬)은 "거문고와 비파"를 아우르는 말로 "부부간의 사랑"을 뜻하는 "금실"의 원말입니다. 따라서 "琴瑟之樂"은 표준어로 "금실지락"이라 읽으며, "금실지락"의 원말로 "금슬지락"이라고도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如鼓琴瑟"은 "거문고와 비파를 타는 것과 같다"라는 의미의 한문구로 부부간의 화락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고 하더라도 본음인 "여고금슬"로 읽어야 마땅합니다. >---- >{{{-2 [[https://www.hanja.re.kr/|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9256(금실,금슬), 2014-06-08}}} == 용례 == === [[단어]] === * [[금슬]]([[琴]]瑟) * 금슬상화([[琴]]瑟[[相]][[和]]) * 금실([[琴]]瑟▽) * 소슬([[蕭]]瑟) * [[소슬바람]](蕭瑟-) === [[고사성어]]/[[숙어]] === * [[교주고슬]]([[膠]][[柱]][[鼓]]瑟) === [[인명]] === * [[강은탁|신슬기]]([[申]]瑟[[基]]) * [[박슬기]]([[朴]]瑟[[琦]]) * [[배슬기]]([[裵]]瑟[[琪]]) * [[윤슬(좀비고등학교)|윤슬]]([[尹]]瑟): [[좀비고등학교]]의 등장인물 * [[이슬기]]([[李]]瑟[[琦]]) * [[이슬아(바둑)|이슬아]]([[李]]瑟[[娥]]) * [[임슬옹]]([[林]]瑟[[雍]]) * [[정예슬]]([[鄭]][[藝]]瑟) * [[한예슬]]([[韓]][[藝]]瑟) * [[캐서린(원신)]]([[凯]]瑟[[琳]]) === [[지명#s-2]] === * [[대구비슬초등학교]]([[大]][[邱]][[琵]]瑟[[初]][[等]][[學]][[校]]) * [[모슬포]](摹瑟浦) * [[비슬고등학교]]([[琵]]瑟[[高]][[等]][[學]][[校]]) * [[비슬산]]([[琵]]瑟[[山]]) * [[슬도로]](瑟[[島]][[路]]) * [[강릉시/역사#s-2|하슬라주]]([[何]]瑟[[羅]][[州]]) - 삼국시대 당시 강릉시의 명칭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琴]](거문고 금) * [[㻎]](큰 거문고 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