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개]][[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제부수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犬}}}개 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犬,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ぬ{{{#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uǎ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7%8A%AC-order.gif]] || || 필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犬은 ''''개 견''''이라는 [[한자]]로, 동물의 일종인 '[[개]]'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개 || || {{{-1 '''음'''}}} ||견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quǎn || || {{{-1 '''[[광동어]]'''}}} ||hyun^^2^^ || || {{{-1 '''[[객가어]]'''}}} ||khién / khián || || {{{-1 '''[[민동어]]'''}}} ||kēng || || {{{-1 '''[[민남어]]'''}}} ||khián || || {{{-1 '''[[오어]]'''}}} ||qyoe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ケン || || {{{-1 '''훈독'''}}} ||[[이누|いぬ]] || ||<-3> || ||<-2> '''[[베트남어]]''' ||khuyển || [[유니코드]]에는 U+72A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K(戈大)로, [[주음부호]]로는 ㄑㄩㄢˇ로 입력한다. 개의 모습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A%AC-oracl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A%AC-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A%AC-silk.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A%AC-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A%AC-seal.svg.png|bgcolor=#ffffff]] 개를 가리키는 한자는 犬말고 [[狗]](개 구)자도 있다. 뜻이 비슷하지만 엄연히 차이가 있는데, 본래 犬자는 큰 개, 狗자는 작은 개, 즉 [[강아지]]를 의미하는 한자였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현대에 들어서 이러한 구분이 희미해졌고 거기에다 狗자가 犬자에 밀려 자주 쓰이지 않게 되면서 차이점이 거의 없어져버렸다. 그나마 중국어에서는 犬자와 狗자를 뚜렷하게 구분하여 잘 사용하는 중이다. 다만 중국어에서는 이 둘이 다른 맥락에서 구분되는데, 犬자가 개의 종류나 개라는 [[아종]]에 속하는 부류들을 일컫는 문어적인 느낌이 강하다면, 狗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가리킬 때, 즉 구어적인 느낌이 강하다.(즉, 보통 개를 가리킬 때는 犬자보다 狗자가 더 옳다!) 또한 狗자는 [[비속어]]적인 뉘앙스도 포함되어 있다. 大(큰 대)자와 헷갈리면 매우 곤란하다. 실제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때 한 신문사에서 犬자를 大자로 잘못보고 [[견통령|犬統領]]이라고 오타를 내는 바람에 대참사가 일어났다고... 또한 太(클 태)자와도 혼동에 주의하자. 부수(犭)로 쓰이는 경우 [[手|扌]]자를 변으로 하는 글자와 혼동할 수 있다. 심지어 이 두 부수는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이 둘이 많이 쓰인 한문 문서가 [[OCR]]에서 서로의 변을 바꿔서 인식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령 위에서 나온 狗자가 拘[* [[구속]]자에 이 글자를 쓴다.]로 변신한다... 예로부터 개는 중요한 식품이기도 했으며, 특히 제사에 올리는 품목이었으므로, 일부 한자에는 이러한 의미가 남은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개고기를 굽는 모습을 형상화한 [[然]]자, 제사에 개고기를 바치는 모습을 본딴 [[獻]]자 등이 있다. === [anchor(개사슴록변)]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犬자의 부수형태로는 개사슴록변(犭)이 있다. 개견방도 있는데 모양은 犬자 그대로이다. 개견부는 [[강희자전]]에 94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그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444개가 있다. 여담으로 獄(옥 옥)은 개견변과 방이 둘 다 있다. 설문해자에선 㹜(개 서로 짖을 은)자부가 따로 있었으나 이후 㹜자부가 犬자부에 통합된 결과. 개사슴록변이나 개견방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가축, 동물 종, 또는 짐승과 관련된 무언가를 뜻하는 경우가 많다 : [[狗]](개 구)자, [[猫]](고양이 묘)자, [[猯]](삵 단)자, [[狼]](이리 랑)자, [[獥]](이리새끼 격)자, [[猛]](사나울 맹)자, [[獸]](짐승 수)자, [[獵]](사냥 렵)자, [[獁]](짐승이름 마)자 등등. 그리고 성격이 격하거나 사나운 감정을 드러낼때에도 이 부수가 들어간다 : [[狂]](미칠 광)자, [[猜]](시기할 시)자, [[猖]](미쳐 날뛸 창)자, [[獗]](날뛸 궐)자 등등. 오늘날의 시각에서는 비판받는 사항으로, 다른 민족을 나타낼 때에도 이 부수를 쓴다(狄자가 대표적). '개사슴록변'이라는 이름에는 별 상관없는 '사슴록'이 들어가 있어서 의문을 자아내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문신 [[강세황]]의 저술인 표암고(豹菴稿)에 서술되어 있다. >鹿邊俗以犭邊書之。 此則犬邊非鹿邊也。 其誤始於鹿邊其字粦字之省而從犬邊。 認是鹿邊皆當如此。 他字之從犬邊者。 亦從以混稱鹿邊。 > >鹿변을 통속적으로 犭변으로 쓰는데 이것은 犬변이지 鹿변이 아니다. 이런 잘못은 鹿변의 [[麒]]자와 [[麟]]자를, 생략하여 犬변을 따라 (猉獜으로) 쓴 데서 비롯됐다. 이 鹿변을 다 이와 같이 쓰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다른 글자 중에 犬변을 따르는 것 또한 이렇게 鹿변으로 섞어 칭하고 있다. 즉, 사슴록(鹿)자가 획이 복잡하므로 사슴록변을 개견변으로 바꾸어 약자로 쓰는 관습이 존재했는데[* 사슴록변을 왜 하필 개견변으로 대체하게 되었는지는 위 문헌에도 나와 있지 않다. 아마도 다소 억지스럽지만 사슴과 개가 동물로서 같다는 점, 犭변이 워낙 획수가 적고 쓰기에 간편하다는 점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 때문에 犭변은 원래 개견변일 수도 있고 사슴록변의 약자로 쓴 것일 수도 있으므로 섞어 부르게 되었다는 얘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견'이라는 본래의 음은 부수 명칭에서 사라져 버렸다.[* 부수를 칭할 때는 '훈+음+부수의 유형'의 순서를 따른다. '亻'의 경우 '사람+인+변'이 되는 식. 이 방식을 적용하면 '犭'은 '개+견+변'도 되고 '사슴+록+변'의 약자도 되는데, 둘을 함께 이르는 과정에서 '사슴'은 뒤에 위치함으로써 이어지는 음인 '록'이 남았으나, '개'는 앞에 위치하게 되어 '견'이 사라지게 되었다. ~~굳이 정석대로 이르면 개사슴견록변~~] == 용례 == === [[단어]] === * 견가(犬[[加]]) * [[견공]](犬[[公]]) * [[견치]](犬[[齒]]) * --[[견통령]](犬[[統]][[領]])-- * [[광견병]]([[狂]]犬[[病]]) * [[군견]]([[軍]]犬) * [[노견#s-1|노견]]([[老]]犬) * [[안내견]]([[案]][[內]]犬) * 애견([[愛]]犬) * 애완견([[愛]][[玩]]犬) * 충견([[忠]]犬) * [[투견]]([[鬪]]犬) === [[고사성어]]/[[숙어]] === * [[견마지로]](犬[[馬]][[之]][[勞]]) * [[견마지치]](犬[[馬]][[之]][[齒]]) * [[견원지간]](犬[[猿]][[之]][[間]]) * [[견토지쟁]](犬[[兎]][[之]][[爭]]) * 축계견첨리([[逐]][[鷄]]犬[[瞻]][[籬]]):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듯. * [[호부견자]]([[虎]][[父]]犬[[子]]) === [[인명]] === 뜻이 뜻이다 보니 당연히 인명용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다만 일본에는 犬자가 포함된 성씨(이누즈카(犬[[塚]]), 이누카이(犬[[養]]) 등)가 실존한다. * [[마니와 케후켄]]([[真]][[庭]] [[狂]]犬) * [[이누바시리 모미지]](犬[[走]] [[椛]]) * [[이누보자키 이츠키]](犬[[吠]][[埼]] [[樹]]) * [[이누야마 마나]](犬[[山]] まな) * [[이누야마 유이치]](犬[[山]] [[裕]][[一]]) * [[이누야마 이누코]](犬[[山]]イヌコ) - 본명은 아님. * [[이누야마 준코]](犬[[山]] [[純]][[子]]) * [[이누야샤(이누야샤)|이누야샤]](犬[[夜]][[叉]]) * [[이누이 호타로]](犬[[亥]] [[鳳]][[太]][[郎]]) * [[이누즈카 아사나]](犬塚 あさな) * [[이누즈카 키바]](犬塚キバ) * 이누카미노 미타스키(犬上 [[御]][[田]][[鍬]]) - 최초의 [[견당사]] 파견단. * [[이누카이 쓰요시]](犬[[養]] [[毅]]) - 일본의 29대 [[일본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 * [[이누호오#s-2]](犬[[鳳]][[凰]]) === [[지명#s-2]] === * 견탄리(犬[[灘]][[里]]) * 이누야마 시(犬[[山]][[市]]) === [[창작물]] === * [[犬と猫とミルクにシュガー]]([[개와 고양이와 우유에 설탕]]) * [[負け犬至上主義]]([[패배자 지상주의]]) * [[犬に雨傘]] * [[駄犬]] === 기타 === * [[견찰]](犬[[察]]) * [[반려견]]([[伴]][[侶]]犬) * [[유기견]]([[遺]][[棄]]犬) == 유의자 == * [[獦]](개 갈) * [[𧱾]]^^[⿱豩犬]^^(개 괘) * [[狗]](개 구) * [[𤟢]]^^[⿰盾犬]^^(개 돈) * [[獒]](개 오) * [[㹥]](개 주) * [[𤡭]]^^[⿰犭彭]^^(개 팽) * [[獫]](오랑캐이름 험, 개 렴) == 상대자 == * [[猉]](강아지 기) * [[𤞲]]^^[⿰犭孚]^^(강아지 호/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大]](큰 대) 이 글자와 모양이 비슷하다보니 일본이나 중국 등 여전히 한자표기가 일반적인 지역에서는 큰 대자가 들어간 이름을 가진 인물 또는 기구에 점 하나를 붙여 멸칭으로 쓰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시다다]]와 [[이케다 다이사쿠]]. * [[夫]](지아비 부) * [[尤]](더욱 우) * [[丈]](어른 장) * [[太]](클 태) == 여담 == * 犬을 두 개 합치면 [[㹜]](개가싸울 은)[* [[犾]](개가싸울 은)의 [[동자#s-2]]], 세 개 합치면 [[猋]](개달리는모양 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