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같은 훈음의 한자 '焰', rd1=焰, other2=같은 훈음의 한자 '焱', rd2= 焱, other3=LiSA의 노래, rd3=炎(LiSA))]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炎}}}불꽃 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火|{{{#000,#fff 火}}}]],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エ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ほのお, {{{#c88 ほむら}}}}}}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炎은 ''''불꽃 염''''이라는 [[한자]]로, 본래 의미는 '[[불꽃]]'이나 실생활에서는 불꽃 대신[* 가령 '화염(火焰)'에는 이 한자가 아닌 [[焰]](불 당길/불꽃 염)을 쓴다.] [[염증]]을 필두로 한 각종 질병이나 더위를 나타내는 단어로 더 많이 쓰인다. == 자형 == ||[[파일:43_E60C.png|width=100&height=100]]|| || [[갑골문]] || == 상세 == [[유니코드]]는 U+708E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FF(火火)로 입력한다. [[火]](불 화) 두 개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이 한자도 [[다음자]]인데 '''담'''으로 읽으면 아름답다는 뜻이다. [[이체자]]로는 [[炏]](U+708F)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냉염([[冷]]炎) * [[뇌염]]([[腦]]炎) * [[비염]]([[鼻]]炎) * [[염기]](炎[[氣]]) * [[염증]](炎[[症]]) * [[중이염]]([[中]][[耳]]炎) * [[폐렴]]([[肺]]炎)[*주의 [[활음조 현상]]으로 炎의 음가가 바뀌었다.] * [[폭염]]([[暴]]炎) === [[고사성어]]/[[숙어]] === 고사성어의 대다수 용례는 [[인심]]에 대한 내용이다. * '''염랑세태(炎[[凉]][[世]][[態]])''': 더웠다가 차가워지는 세상 인심.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고, 세력이 사라지면 푸대접하는 각박한 세상 인심. * '''염부한기(炎[[附]][[寒]][[棄]])''': 더울 때는 붙었다가 차가울 때는 버림. 권세가 있을 때는 잘 따르지만 권세가 없으면 버리고 돌아보지도 않는다는 말. * '''추염부열([[趨]]炎[[附]][[熱]])''': 따뜻한 것을 쫒음. 권세 있는 사람에게 아부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인명]] === * [[샤쿠엔지 카이자]]([[灼]]炎[[寺]] カイザ) * [[전도염]]([[全]]暏炎) * [[사마염]]([[司]][[馬]]炎) * [[토니 탄|진경염]]([[陳]][[慶]]炎) * [[호노오 모유루]](炎[[尾]] [[燃]]) [[분류:준3급 한자]][[분류: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