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灰, ruby=はい)][ruby(色, ruby=いろ)]と[ruby(青, ruby=あお)] 잿빛과 푸름 [목차] == 개요 == [[요네즈 켄시]] 4th 앨범 [[요네즈 켄시/디스코그래피#s-3.3.4|〈BOOTLEG〉]]에 수록된 [[요네즈 켄시]]와 [[스다 마사키]]의 노래. 이후 스다 마사키 정규 1집 〈PLAY〉에도 재수록되었다. == 상세 == BOOTLEG의 리드 트랙으로, 2017년 10월 10일 BOOTLEG 선행 시청회에서 MV와 함께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 11일 오전 0시 정각에 공식 YouTube 계정을 통해 MV가 업로드되었다. 요네즈 켄시의 정규 앨범 수록곡으로서는 이례적으로 가수 겸 배우인 [[스다 마사키]]가 게스트 보컬로 참여하였으며, MV에도 두 사람이 모두 출연한다. 스다 마사키의 보컬 비중은 요네즈 켄시에 크게 밀리지 않으며, C멜로디를 부르지 않는 대신 곡의 하이라이트인 마지막 B멜로디 부분을 그가 담당하였다. 콜라보레이션을 먼저 직접 요청한 요네즈 켄시는 곡 코멘트를 통해 "스다 군이 아니면 절대로 성립될 수 없는 곡이라고 생각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요네즈 켄시는 원래 [[키타노 타케시]]의 영화를 좋아하며, 그 중 [[키즈 리턴]]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아 '이런 음악을 언젠가 만들고 싶다, 만들고 싶다'라고 이전부터 꾸준히 생각해 왔다고 한다. 그런 생각을 기본적으로 꾸준해 해오던 찰나, 2017년이 되어 [[스다 마사키]]라는 사람이 왠지 깨닫고 보면 뇌리에 남고 일상 속에서 가끔 조우하게 되어 '이 사람은 무엇일까', 자신은 음악가고 [[스다 마사키]]는 배우여서 전혀 표현방법은 다르지만, 왠지 (요네즈 자신이 멋대로 생각하는 것일 뿐이지만) 어딘가에서 공통되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머릿속에서 어떻게 해도 떠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다가 '아, 이건 곡으로 만들 수 있겠다!'라는 깨달음에 써내려간 곡이 바로 잿빛과 푸름이라고.[[https://www.youtube.com/watch?v=3mW5On4nMOY|스다 마사키의 올나잇닛폰 10월 16일자]] 금영노래방과 태진노래방에 수록되었다. (금영44207, 태진28789) 3월 10일 유튜브 조회수 1억을 돌파했다. 요네즈 켄시의 곡으로는 5번째 기록.[* 나머지 4개의 곡들은 [[Lemon(요네즈 켄시)|Lemon]] , [[피스 사인]], [[LOSER(요네즈 켄시)|LOSER]], [[아이네 클라이네]]. 듀엣곡까지 포함한다면 [[쏘아올린 불꽃]]까지 들어갈 수 있다.] ==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JX2iy6nhHc)]}}} || || '''{{{#white 공식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hqb7JJvK6Y)]}}} || || '''{{{#white 공식 음원}}}''' || == 가사 == || [[파일:haiiro_logo.png|width=30%]] ,,'''요네즈 켄시 {{{#2d458a,#748cd2 스다 마사키}}}''',, [ruby(袖丈, ruby=そでたけ)]が[ruby(覚, ruby=おぼ)][ruby(束, ruby=つか)][ruby(無, ruby=な)]い[ruby(夏, ruby=なつ)]の[ruby(終, ruby=お)]わり 소데타케가 오보츠카나이 나츠노 오와리 소매 길이가 애매해진 여름의 끝물에 [ruby(明, ruby=あ)]け[ruby(方, ruby=がた)]の[ruby(電車, ruby=でんしゃ)]に[ruby(揺, ruby=ゆ)]られて[ruby(思, ruby=おも)]い[ruby(出, ruby=だ)]した 아케가타노 덴샤니 유라레테 오모이다시타 새벽 전철에 올라 흔들리며 떠올린 [ruby(懐, ruby=なつ)]かしいあの[ruby(風景, ruby=ふうけい)] 나츠카시이 아노 후-케이 그리운 그 풍경 たくさんの[ruby(遠回, ruby=とおまわ)]りを[ruby(繰, ruby=く)]り[ruby(返, ruby=かえ)]して 타쿠산노 토오마와리오 쿠리카에시테 계속해서 멀리 돌고 돌아서 [ruby(同, ruby=おな)]じような[ruby(街, ruby=まち)][ruby(並, ruby=な)]みがただ[ruby(通, ruby=とお)]り[ruby(過, ruby=す)]ぎた 오나지요-나 마치나미가 타다 토오리스기타 비슷한 거리 풍경들이 그저 지나쳐갔어 [ruby(窓, ruby=まど)]に[ruby(僕, ruby=ぼく)]が[ruby(映, ruby=うつ)]ってる 마도니 보쿠가 우츳테루 창문에 내 모습이 비치고 있네 [ruby(君, ruby=きみ)]は[ruby(今, ruby=いま)]もあの[ruby(頃, ruby=ころ)]みたいにいるのだろうか 키미와 이마모 아노코로미타이니 이루노다로-카 너는 지금도 그때처럼 살아가고 있을까 ひしゃげて[ruby(曲, ruby=ま)]がった あの[ruby(自, ruby=じ)][ruby(転, ruby=てん)][ruby(車, ruby=しゃ)]で[ruby(走, ruby=はし)]り[ruby(回, ruby=まわ)]った 히샤게테 마갓타 아노 지텐샤데 하시리마왓타 찌그러지고 휘어진 그 자전거를 타고 누볐던 [ruby(馬鹿, ruby=ばか)]ばかしい[ruby(綱渡, ruby=つなわた)]り [ruby(膝, ruby=ひざ)]に[ruby(滲, ruby=にじ)]んだ[ruby(血, ruby=ち)] 바카바카시이 츠나와타리 히자니 니진다 치 바보 같은 모험 놀이, 무릎에 고였던 피 [ruby(今, ruby=いま)]はなんだかひどく[ruby(虚, ruby=むな)]しい 이마와 난다카 히도쿠 무나시이 지금은 어쩐지 너무나 허무해 どれだけ[ruby(背, ruby=せ)][ruby(丈, ruby=たけ)]が[ruby(変, ruby=か)]わろうとも 도레다케 세타케가 카와로-토모 아무리 키가 변하더라도 [ruby(変, ruby=か)]わらない[ruby(何, ruby=なに)]かがありますように 카와라나이 나니카가 아리마스 요니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기를 くだらない[ruby(面影, ruby=おもかげ)]に[ruby(励, ruby=はげ)]まされ 쿠다라나이 오모카게니 하게마사레 시시한 추억 속 모습에 북돋아져 [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 이마모 우타우 이마모 우타우 이마모 우타우 지금도 노래해, 지금도 노래해, 지금도 노래해 {{{#2d458a,#748cd2 [ruby(忙, ruby=せわ)]しなく[ruby(街, ruby=まち)]を[ruby(走, ruby=はし)]るタクシーに 세와시나쿠 마치오 하시루 타쿠시-니 바쁘게 거리를 내달리는 택시에 ぼんやりと[ruby(背負, ruby=せお)]われたままくしゃみをした 봉야리토 세오와레타 마마 쿠샤미오 시타 멍하니 올라탄 채로 재채기를 했어 [ruby(窓, ruby=まど)]の[ruby(外, ruby=そと)]を[ruby(眺, ruby=なが)]める 마도노 소토오 나가메루 창밖을 바라봐 [ruby(心, ruby=こころ)]から[ruby(震, ruby=ふる)]えたあの[ruby(瞬, ruby=しゅん)][ruby(間, ruby=かん)]に 코코로카라 후루에타 아노 슌칸니 진심으로 떨렸던 그 순간에 もう[ruby(一, ruby=いち)][ruby(度, ruby=ど)][ruby(出会, ruby=であ)]えたらいいと[ruby(強, ruby=つよ)]く[ruby(思, ruby=おも)]う 모- 이치도 데아에타라 이이토 츠요쿠 오모우 다시 한번 만날 수 있다면 좋겠다고 강하게 생각해 [ruby(忘, ruby=わす)]れることはないんだ 와스레루 코토와 나인다 잊어버리는 일은 없을 거야 [ruby(君, ruby=きみ)]は[ruby(今, ruby=いま)]もあの[ruby(頃, ruby=ころ)]みたいにいるのだろうか 키미와 이마모 아노코로미타이니 이루노다로-카 너는 지금도 그때처럼 살아가고 있을까 [ruby(靴, ruby=くつ)]を[ruby(片方, ruby=かたほう)][ruby(茂, ruby=しげ)]みに[ruby(落, ruby=お)]として[ruby(探, ruby=さが)]し[ruby(回, ruby=まわ)]った 쿠츠오 카타호- 시게미니 오토시테 사가시마왓타 한쪽 신발을 수풀에 떨어트려서 찾아 헤맸지 「[ruby(何, ruby=なに)]があろうと[ruby(僕, ruby=ぼく)]らはきっと [ruby(上手, ruby=うま)]くいく」と 나니가 아로-토 보쿠라와 킷토 우마쿠이쿠토 “무슨 일이 있더라도 우리는 분명 잘 될 거야” 하고 [ruby(無, ruby=む)][ruby(邪, ruby=じゃ)][ruby(気, ruby=き)]に[ruby(笑, ruby=わら)]えた [ruby(日々, ruby=ひび)]を[ruby(憶, ruby=おぼ)]えている 무쟈키니 와라에타 히비오 오보에테이루 천진난만하게 웃었던 날들을 기억하고 있어 どれだけ[ruby(無, ruby=ぶ)][ruby(様, ruby=ざま)]に[ruby(傷, ruby=きず)]つこうとも 도레다케 부자마니 키즈츠코-토모 아무리 흉하게 상처입더라도 [ruby(終, ruby=お)]わらない[ruby(毎日, ruby=まいにち)]に[ruby(花束, ruby=はなたば)]を 오와라나이 마이니치니 하나타바오 끝나지 않는 매일에 꽃다발을 くだらない[ruby(面影, ruby=おもかげ)]を[ruby(追, ruby=お)]いかけて 쿠다라나이 오모카게오 오이카케테 시시한 추억 속 모습을 뒤쫓으며 [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 이마모 우타우 이마모 우타우 이마모 우타우 지금도 노래해, 지금도 노래해, 지금도 노래해}}} [ruby(朝, ruby=あさ)][ruby(日, ruby=ひ)]が[ruby(昇, ruby=のぼ)]る[ruby(前, ruby=まえ)]の[ruby(欠, ruby=か)]けた[ruby(月, ruby=つき)]を 아사히가 노보루 마에노 카케타 츠키오 아침 해가 뜨기 전의 이지러진 달을 [ruby(君, ruby=きみ)]もどこかで[ruby(見, ruby=み)]ているかな 키미모 도코카데 미테이루카나 너도 어딘가에서 보고 있을까 [ruby(何故, ruby=なぜ)]か[ruby(訳, ruby=わけ)]もないのに[ruby(胸, ruby=むね)]が[ruby(痛, ruby=いた)]くて 나제카 와케모 나이노니 무네가 이타쿠테 왜인지 이유도 없는데 가슴이 아파서 [ruby(滲, ruby=にじ)]む[ruby(顔, ruby=かお)] [ruby(霞, ruby=かす)]む[ruby(色, ruby=いろ)] 니지무 카오 카스무 이로 번져가는 얼굴, 흐려지는 색 [ruby(今更, ruby=いまさら)][ruby(悲, ruby=かな)]しいと[ruby(叫, ruby=さけ)]ぶには 이마사라 카나시이토 사케부니와 이제 와서 슬프다고 외치기에는 あまりに[ruby(全, ruby=すべ)]てが[ruby(遅, ruby=おそ)]すぎたかな 아마리니 스베테가 오소스기타카나 모든 게 너무나 늦어버린 걸까 もう[ruby(一, ruby=いち)][ruby(度, ruby=ど)][ruby(初, ruby=はじ)]めから[ruby(歩, ruby=ある)]けるなら 모- 이치도 하지메카라 아루케루나라 다시 한번 처음부터 걸을 수 있다면 すれ[ruby(違, ruby=ちが)]うように[ruby(君, ruby=きみ)]に[ruby(会, ruby=あ)]いたい 스레치가우요-니 키미니 아이타이 스쳐 지나가듯이 너와 만나고 싶어 {{{#2d458a,#748cd2 どれだけ[ruby(背, ruby=せ)][ruby(丈, ruby=たけ)]が[ruby(変, ruby=か)]わろうとも 도레다케 세타케가 카와로-토모 아무리 키가 변하더라도 [ruby(変, ruby=か)]わらない[ruby(何, ruby=なに)]かがありますように 카와라나이 나니카가 아리마스요니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기를 くだらない[ruby(面影, ruby=おもかげ)]に[ruby(励, ruby=はげ)]まされ 쿠다라나이 오모카게니 하게마사레 시시한 추억 속 모습에 북돋아져 [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ruby(今, ruby=いま)]も[ruby(歌, ruby=うた)]う 이마모 우타우 이마모 우타우 이마모 우타우 지금도 노래해, 지금도 노래해, 지금도 노래해}}} [ruby(朝, ruby=あさ)][ruby(日, ruby=ひ)]が[ruby(昇, ruby=のぼ)]る[ruby(前, ruby=まえ)]の[ruby(欠, ruby=か)]けた[ruby(月, ruby=つき)]を 아사히가 노보루 마에노 카케타 츠키오 아침 해가 뜨기 전의 이지러진 달을 [ruby(君, ruby=きみ)]もどこかで[ruby(見, ruby=み)]ているかな 키미모 도코카데 미테이루카나 너도 어딘가에서 보고 있을까 [ruby(何, ruby=なに)]もないと[ruby(笑, ruby=わら)]える[ruby(朝, ruby=あさ)][ruby(日, ruby=ひ)]がきて 나니모 나이토 와라에루 아사히가 키테 아무것도 아니라며 웃을 수 있는 아침 해가 떠올라서 [ruby(始, ruby=はじ)]まりは[ruby(青, ruby=あお)]い[ruby(色, ruby=いろ)] 하지마리와 아오이 이로 시작은 푸른 빛깔 [br] || == 관련 문서 == [include(틀:요네즈 켄시)] [[분류:요네즈 켄시/음악]][[분류:2017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