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漿}}}즙 장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水|{{{#000,#fff 水}}}]], 11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5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1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ショ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おもゆ, しる, のみもの}}}}}}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jiāng, jià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漿은 ''''즙 장''''이라는 [[한자]]로, '[[즙]]', '미음'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즙 || || {{{-1 '''음'''}}} ||장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iāng, jiàng || || {{{-1 '''[[광동어]]'''}}} ||zoeng^^1^^ || || {{{-1 '''[[객가어]]'''}}} ||chiông || || {{{-1 '''[[민북어]]'''}}} ||cióng || || {{{-1 '''[[민동어]]'''}}} ||ciŏng || || {{{-1 '''[[민남어]]'''}}} ||chiong[*文 [[문독]]] / chiuⁿ[*白 [[백독]]] || || {{{-1 '''[[오어]]'''}}} ||jia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ョウ'' || || {{{-1 '''훈독'''}}} ||''おもゆ'', ''しる'', ''のみもの'' || ||<-3> || ||<-2> '''[[베트남어]]''' ||tương || [[유니코드]]에는 U+6F3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IE(女戈水)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將]](장수 장)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계장([[桂]]漿) * 근장([[筋]]漿) * 뇌장([[腦]]漿) * 다장근([[多]]漿[[根]]) * 다장식물([[多]]漿[[植]][[物]]) * 담장([[淡]]漿) * 두장([[痘]]漿) * 매장([[梅]]漿) * 모과장([[木]][[瓜]]漿) * 배장([[杯]]漿) * 번장([[潘]]漿) * 산장([[酸]]漿) * 상장([[爽]]漿) * 수합장([[穗]][[合]]漿) * 신장([[神]]漿) * 심장([[瀋]]漿) * 암장([[巖]]漿) * 암장수([[巖]]漿[[水]]) * 암장([[揞]]漿) * 여지장([[荔]][[枝]]漿) * 옥액금장([[玉]][[液]][[金]]漿) * 온장([[溫]]漿) * 우장([[牛]]漿) * [[유장]]([[乳]]漿/[[柚]]漿) * [[육장]]([[肉]]漿) * 의장([[義]]漿) * 작장초([[酢]]漿[[草]]) * 작장초과([[酢]]漿[[草]][[科]]) * 장경(漿[[莖]]) * 장과(漿[[果]]) - [[베리]]류를 가리키는 명칭. * 장막(漿[[膜]]) * 장수(漿[[水]]) * 장액(漿[[液]]) * 장액막(漿[[液]][[膜]]) * 장제(漿[[劑]]) * 장탕반(漿[[湯]][[飯]]) * 장태(漿[[胎]]) * 장포(漿[[疱]]) * 지장([[地]]漿) * 천장자([[天]]漿[[子]]) * 철장([[鐵]]漿) * 철장수([[鐵]]漿[[水]]) * 초장조([[酢]]漿[[藻]]) * 탕장([[湯]]漿) * [[토장]]([[土]]漿) * 해장([[醢]]漿) * [[혈장]]([[血]]漿) ==== 한자와 한글이 접목된 단어 ==== * [[된장]], [[고추장]][* [[고추]]는 한자어(고초(苦草))가 순우리말이 된 케이스. ], [[초고추장]], [[쌈장]], [[초장]], [[간장]] 등 ( ━ 漿 ) === [[고사성어]]/[[숙어]] === * 호장([[壺]]漿) * 단사호장([[簞]][[食]][[壺]]漿)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뇌장작렬 걸]]([[脳漿炸裂ガール]]) === 기타 === == 유의자 == * [[液]](진 액) * [[汁]](즙 즙)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𩱑]]^^[⿱將鬲]^^(삶을 상) * [[䵼]](익힐 상) * [[㢡]](도울 장) * [[𧽩]]^^[⿱將走]^^/[[𨄚]]^^[⿱將足]^^/[[𤴠]]^^[⿱將疋]^^(비틀거릴 장) * [[槳]](상앗대 장) * [[螿]](쓰르라미 장) * [[醬]](장 장) * [[獎]]/[[奬]](장려할 장) * [[䊢]]/[[𩝫]]^^[⿱將食]^^(즙 장)[* [[漿]](즙 장)의 [[동자#s-2]]] * [[墏]](터 장) * [[𫦔]]^^[⿱將刀]^^ * [[𭒝]]^^[⿱將女]^^ * [[𡑶]]^^[⿱將⿱人土]^^ * [[𤍵]]^^[⿱將火]^^ * [[𤖛]]^^[⿱將且]^^ * [[𫌏]]^^[⿱將衣]^^ * [[𨫥]]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