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涌}}}물솟을 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ユウ, ヨ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わ-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ōng, yǒ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涌은 ''''물솟을 용''''이라는 [[한자]]로, '물이 솟다', '솟아오르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물솟다 || || {{{-1 '''음'''}}} ||용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hōng, yǒng || || {{{-1 '''[[광동어]]'''}}} ||jung^^2^^ || || {{{-1 '''[[객가어]]'''}}} ||yúng || || {{{-1 '''[[민북어]]'''}}} ||ě̤ng || || {{{-1 '''[[민동어]]'''}}} ||ṳ̄ng || || {{{-1 '''[[민남어]]'''}}} ||ióng[*文 [[문독]]] / éng[*白 [[백독]]] || || {{{-1 '''[[오어]]'''}}} ||ion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ユウ, ヨウ}}} || || {{{-1 '''훈독'''}}} ||{{{#c88 わ-く}}} || ||<-3> || ||<-2> '''[[베트남어]]''' ||dũng || [[유니코드]]에는 U+6D8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NIB(水弓戈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甬]](종꼭지 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甬이 아닌 [[勇]](날랠 용)을 성부(聲符)로 가지는 湧(U+6E67)이 있다. 일본에서는 이쪽을 표준자형으로 삼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이쪽을 주로 사용한다. [[한자능력검정시험]]에서는 涌은 [[1급 한자|1급]], 湧은 [[준특급 한자|준특급]]에 배정되었다. [[광동]] 지역에서는 涌으로 쓸 때 이 글자를 cung1(관화 발음: chōng)으로 읽어, '시내\[川\]'라는 뜻을 나타낸다. 홍콩의 지명 [[뚱충역(MTR)|뚱충]](東涌), [[쿼리베이역|쿼리베이]](鰂魚涌) 등에서 이 뜻으로 사용되었다. == 용례 == === [[단어]] === * [[비용#s-4]]([[沸]]涌) * [[용승]](湧[[昇]]) * [[용천]](湧[[泉]]) * 용출(湧[[出]])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김용(1966)|김용]]([[金]]湧) * [[와쿠사와 리카]](涌[[澤]] [[利]][[香]]) === [[지명#s-2]] === * [[뚱충역(옹핑 360)]]([[東]]涌[[站]]) * [[카미와쿠야역]]([[上]]涌[[谷]][[駅]]) * [[쿼리베이역]]([[鰂]][[魚]]涌[[站]]) === [[창작물]]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𪌻]]^^[⿰麥甬]^^(밀기울 부) * [[誦]](욀 송) * [[𠳀]]^^[⿰口甬]^^(구열질날 용) * [[埇]](길돋울 용) * [[踊]](뛸 용) * [[𩛤]]^^[⿰𩙿甬]^^(먹을 용) * [[蛹]](번데기 용) * [[硧]](숫돌 용, 갈 동) * [[鯒]](양태 용, 장갱이 통) * [[㛚]](여자의자 용, 가지런한모양 통) * [[悀]](찰 용) * [[俑]](허수아비 용) * [[銿]](종 종) * [[捅]](나아갈 통, 칠 송) * [[㷁]](불통 통) * [[桶]](통 통) * [[𢓶]]^^[⿰彳甬]^^(통할 통)[* [[通]](통할 통)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𣗧]]^^[⿰束甬]^^ * [[𪴷]]^^[⿰止甬]^^ * [[𦛸]]^^[⿰⺼甬]^^ * [[𭺢]]^^[⿰瓦甬]^^ * [[𭾸]]^^[⿰目甬]^^ * [[𮁾]]^^[⿰示甬]^^ * [[𮄯]]^^[⿰立甬]^^ * [[𧚔]] * [[𬗝]]^^[⿰糸甬]^^ * [[𩊾]]^^[⿰革甬]^^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慂]](권할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