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歪}}}기울 왜/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止,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ワ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いが-む, いびつ, ひず-む, ゆが-む}}}}}}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wā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歪는 ''''기울 왜/외''''라는 [[한자]]로, '기울다', '비뚤어지다', '왜곡하다'를 뜻한다. 그래서 ''''비뚤 왜/외''''라고도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기울다 || || {{{-1 '''음'''}}} ||왜, 외[* 원래 '외'가 바른 음이다. [[강희자전]]에서 반절이 오괴절(烏乖切)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남한 한정으로 '왜'라는 독음으로 읽히는 경향이 생겼고, 시간이 흘러 아예 '왜'음이 표준이 되기에 이르렀다. 북한에서는 여전히 '외' 쪽이 표준이다.]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wāi || || {{{-1 '''[[광동어]]'''}}} ||waai^^1^^ || || {{{-1 '''[[객가어]]'''}}} ||vâi || || {{{-1 '''[[민북어]]'''}}} ||uái || || {{{-1 '''[[민동어]]'''}}} ||uăi || || {{{-1 '''[[민남어]]'''}}} ||oai || || {{{-1 '''[[오어]]'''}}} ||hue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ワイ}}} || || {{{-1 '''훈독'''}}} ||{{{#c88 いが-む, いびつ, ひず-む, ゆが-む}}} || ||<-3> || ||<-2> '''[[베트남어]]''' ||oai || [[不]](아니 부)와 [[正]](바를 정)이 합쳐진 [[회의자]]로, 문자 그대로 '바르지 않음', '비뚤어짐'을 뜻한다. 원래 이 글자는 竵 자의 속자이나, 현재는 한중일 모두 歪의 형태를 더 자주 쓰고 있다. * [[유니코드]]: 6B6A * [[창힐수입법]]: 一火一卜一(MFMYM) == 용례 == === [[단어]] === * [[왜곡]](歪[[曲]]) * [[역사왜곡]]([[歷]][[史]]歪[[曲]]) * [[왜도]](歪[[度]]) * 왜력(歪[[力]])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歪んだ神]]([[일그러진 신]]) * [[交差して歪む過去と未来]]([[교차되어 일그러진 과거와 미래]]) * [[歪音エナ]]([[유가미네 에나]]) * [[歪空]]([[유가미소라]]) === [[일본어]] === ==== [[훈독]] ==== * 歪(ゆが)む: 비뚤어지다, 일그러지다. * 歪(ゆが)み: 비뚤어짐, 일그러짐, 바르지 못함. * 歪(いが)む: 歪(ゆが)む와 같다. * 歪(いびつ): 비뚤어진 모양, 원형으로 찌그러진 것. * 歪(ひず)む: 비뚤어지다, 일그러지다. * 歪(ひず)み: 비뚤어짐, 일그러짐, 나쁜 여파, (물체의) 변형. 歪가 비상용한자이지만 실제로는 한자로 많이 표기하므로 알아둬야 한다. ==== [[음독#s-1]] ==== ワイ. * 歪曲(わいきょく): 왜곡 * 歪度(わいど): 왜도 * 歪力(わいりょく): 왜력 === [[중국어]] === 성조에 따라 뜻이 다르다. * 歪[wāi]: 비스듬하다, 비뚤다, 기울다. * 以歪就歪/倚歪就歪[yǐwāijiùwāi]: 잘못인 줄 알면서도 계속 밀고 나가다, 잘못된 김에 계속 그 길로 가다. * 歪[wǎi]: (관절을) 삐다. == 유의자 == * '''비뚤다''' * [[傾]](기울 경) * [[斜]](비낄 사) * [[𣨎]](기울 좌) * [[仄]](기울 측) * '''잘못되다''' * [[謬]](그르칠 류) * [[誤]](그르칠 오) == 상대자 == * [[可]](옳을 가) * [[是]](옳을 시) * [[正]](바를 정) * [[義]](옳을 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奀]](파리할 망) * [[盃]](잔 배) * [[否]](아닐 부) * [[丕]](클 비) * [[整]](가지런할 정) * [[昰]](여름 하, 이 시, 옳을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