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止}}}그칠 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止,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まる, と-める, {{{#c88 さ-す,[br]とど-まる, とど-める,[br]や-む, や-める, よ-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止-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칠 지'''(止). '멈추다', '그만두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6B62에 배당되었다. [[창힐수입법]]은 YLM(卜中一). 본래 사람의 발바닥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발을 뜻하는 글자였다. 그러나 후에 멈추다, 그치다라는 뜻으로 [[가차자|가차]]되고, 본래의 발이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足]](발 족)을 붙여 [[趾]](발 지)라는 별도의 한자가 만들어졌다. 그래서 이 글자가 [[從]](좇을 종), [[步]](걸음 보)와 같이 다른 한자의 구성 요소로 쓰일 때는 '가다'와 관련된 뜻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之]](갈 지)와 어원이 같아서 止를 之처럼 흘려쓰는 경우도 많았으며(초서체) 현대에도 종종 발견된다. 足 역시 𠯣(⿱口之)처럼 흘려쓴 형태가 고문서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乏]](모자를 핍)은 그 흘려쓴 형태가 아예 활자체로 굳어진 경우이다. 자형 상으로는 止(발)에서 줄 하나가 추가되어 之(가다)가 파생되었으나, 어원 상으로는 반대로 之(가다, 평성)에서 止(발 < 가는 것, 상성)가 파생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금지]]([[禁]]止):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함. * [[금지령]]([[禁]]止[[令]]) * 단결금지법([[團]][[結]][[禁]]止[[法]]) * 반입금지([[搬]][[入]][[禁]]止) * 재혼금지기간([[再]][[婚]][[禁]]止[[期]][[間]]) * [[출입금지]]([[出]][[入]][[禁]]止) * 방지([[防]]止):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나지 못하게 막음. * 앙지([[仰]]止) * [[억지]]([[抑]]止) * [[저지]]([[沮]]止): 막아서 못하게 함. * [[정지]]([[停]]止): 움직이고 있던 것이 멎거나 그침. 또는 중도에서 멎거나 그치게 함. 하고있던 것을 그만둠. * 제지([[制]]止) * [[종지]]([[終]]止) * [[종지부]]([[終]]止[[符]]) * [[중지]]([[中]]止) * [[지사제]](止[[瀉]][[劑]]) * [[지양]](止[[揚]]): 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 ‘피함’, ‘하지 않음’으로 순화. * 지접(止[[接]]) * 진지([[進]]止) * 차지([[車]]止/[[遮]]止) * [[폐지]]([[廢]]止): 실시하여 오던 제도나 법규, 일 따위를 그만두거나 없앰. * 해지([[解]]止) * [[휴지]]([[休]]止): 하던 것을 멈추고 쉼. === [[고사성어]]/[[숙어]] === * 관지([[觀]]止) * 망매지갈([[望]][[梅]]止[[渴]]) * 매림지갈([[梅]][[林]]止[[渴]]) * 매합용지([[媒]][[合]][[容]]止) * 명경지수([[明]][[鏡]]止[[水]]) * 소지천만([[笑]]止[[千]][[萬]]) * 영행금지([[令]][[行]][[禁]]止) * 왕자물지([[往]][[者]][[勿]]止) * 용지약사([[容]]止[[若]][[思]]) * 자행자지([[自]][[行]][[自]]止) * 지갈지계(止[[渴]][[之]][[計]]) * 지어지선(止[[於]][[至]][[善]]) * 지어지처(止[[於]]止[[處]]) * 지족지계(止[[足]][[之]][[戒]]) * 행동거지([[行]][[動]][[擧]]止) === [[지명#s-2]] === * 전라북도 고창군 신림면 법지리([[全]][[羅]][[北]][[道]] [[高]][[敞]][[郡]] [[新]][[林]][[面]] [[法]]止[[里]])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정지리([[忠]][[淸]][[南]][[道]] [[論]][[山]][[市]] [[城]][[東]][[面]] [[定]]止[[里]]) * 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지지리([[全]][[羅]][[北]][[道]] [[長]][[水]][[郡]] [[蟠]][[巖]][[面]] [[知]]止[[里]])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그칠지부 강희자전 안에 77번째에 기록 돼 있는 부수로써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99개다. 止가 붙은 자는 대개 발 다리 보행 또는 다리의 동작에 관한것을 나타내며 足, 疋 ,走, 辵의 아래부분에서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 [[일본어]]에서의 활용 == * 止(ま)る (とまる / JLPT N4): 멈추다, 멎다, 그치다 * 止める (やめる / JLPT N4): 그만두다, 중지하다, 끊다 * 止まる (とどまる / JLPT N2): 움직이지 않다, 머물다 * 停止 (ていし / JLPT N2): [[정지#s-1]] == 유의자 == * [[留]](머무를 류) * [[泊]](머무를 박) * [[停]](머무를 정) * [[駐]](머무를 주) * [[輟]](그칠 철) == 상대자 == * [[動]](움직일 동)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上]](위 상) * [[正]](바를 정) == 여담 == 止를 세 개 합치면 [[歮]](웃을 색)이 된다.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