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7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有}}}있을 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月|{{{#000,#fff 月}}}]],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ユウ, 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ǒ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있다'는 의미의 [[한자]]로, 가장 널리, 그리고 많이 쓰이는 한자들 중 하나이다. == 상세 == 갑골문 상에서는 손을 나타내는 [[又]]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 형태로 '가지다'(to have)의 뜻을 나타냈으나 又가 '또', '다시'라는 뜻의 부사로 가차되자 무언가를 가진다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금문부터 [[肉]](고기 육)이 추가 되었다. 이외에도 '(어딘가에) 있다', '존재하다'(to exist)의 뜻으로도 쓰인다. [[설문해자]]에서는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 있다. [[춘추좌전]]에서 이르기를 일식이 일어났다 하였다.(不宜有也. 春秋傳曰, 日月有食之)'라고 설명하며, [[月]](달 월)이 뜻을 나타내고, [[又]] 부분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인 것으로 분석한다. 현재 이 글자의 부수는 月이다. 자매품으로 '''없을 유'''(冇)도 있다(...). [[광동어]]에서 사용되며 광동어 발음은 mou5, [[강희자전]]에 없는 [[국자(한자)|국자]](방언자)이나 임의로 [[위키낱말사전]]에서는 冂부, [[네이버 사전]]에서는 一부로 분류한다. [[주역]] 등의 고문헌에서는 [[풍년]]을 뜻하기도 한다. == 용례 == 상당히 많은 용례가 있다. === [[단어]] === * [[고유]](固有) * [[고유성]](固有性), [[고유어]](固有語) * [[공유]](公有/共有) * [[만유인력]](萬有引力) * 보유(保有) * [[부유]](富有) * [[사유]](私有) * 사유물(私有物), 사유지(私有地) * [[소유]](所有) * [[소유권]](所有權), 소유자(所有者), 소유주(所有主) * 영유(領有) * [[유가]](有價) * [[유가증권]](有價證券) * 유고(有故) * 유공자(有功者) * 유관(有關) * 유권자(有權者) * [[유기]](有機) * 유기물(有機物), 유기적(有機的), 유기체(有機體), [[유기화합물]](有機化合物) * 유능(有能) * 유독(有毒) * 유력(有力) * [[유료]](有料) * [[유리(동음이의어)#有利유리]](有利) * [[유리수]](有理數) * 유망 (有望) * [[유명]](有名) * [[유명인]](有名人) * [[유무]](有無) * 유별(有別) * 유사시(有事時) * [[유선]](有線) * [[유성음]](有聲音) * [[유용]](有用) * [[유익]](有益) * [[유죄]](有罪) * [[유한]](有限) * 유해(有害) * 유효(有效) * 전유(專有) * 점유(占有) * 초유(初有) * 특유(特有) * 함유(含有) === [[고사성어]]/[[숙어]] === * [[무중생유]](無中生有) * [[유비무환]](有備無患) === [[인명]] === * [[김유일]]([[金]]有[[日]]) * [[미나노 유리]]([[水]][[無]][[乃]] 有[[理]]) * [[미야타 유메]]([[宮]][[田]] 有[[萌]]) * [[박양유]]([[朴]][[良]]有) * [[세키네 아리사]]([[関]][[根]] 有[[咲]]) * [[아리하라 코헤이]](有[[原]] [[航]][[平]]) * [[야라 유사쿠]]([[屋]][[良]] 有[[作]]) * [[오구리 유이]]([[小]][[栗]] 有[[以]]) * [[오다가키 아리사]]([[小]][[田]][[垣]] 有[[咲]]) * [[오오타 유키]]([[太]][[田]] 有[[紀]]) * [[이몽유]]([[李]][[夢]]有) * [[장유빈(미래소년)|장유빈]]([[張]]有[[賓]]) * 한유미([[韓]]有[[美]]):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 [[한유진(뷰티풀 군바리)|한유진]]([[韓]]有[[珍]]): [[뷰티풀 군바리]]의 등장인물 === [[지명#s-2]] === * [[카메아리역]]([[亀]]有[[駅]]) === 기타 === * [[문서 사유화]]([[文]][[書]] [[私]]有[[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