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曾}}}일찍 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曰|{{{#000,#fff 曰}}}]],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ウ, (ゾ){{{#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さ-なる, かつ-て, すなわ-ち}}}}}}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éng, zē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曾은 ''''일찍 증''''이라는 [[한자]]로, '일찍', '곧', '거듭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6F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金田日(CWA)로 입력한다. 갑골문에서부터 나타나나 자원은 명확하지 않은데, 제기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라는 설도 있고[* https://ephpth.ephhk.com/resource/tools/lcprichi/search/show_word.php?id=1259], 시루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甑]](시루 증)의 원 글자였다는 설도 있다.[*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5208.html] 글자체에 따라 八자 변을 丷로 쓰기도 한다. == 용례 == === [[단어]] === * 증사(曾[[思]]) * [[증손]](曾[[孫]]) * 증왕(曾[[往]]) * 증유(曾[[遊]]) * [[증조]](曾[[祖]]) * 증자모(曾[[祖]][[母]]) * [[증조부]](曾[[祖]][[父]]) * 재증([[再]]曾) * [[재증걸루]]([[再]]曾[[桀]][[婁]]) === [[고사성어]]/[[숙어]] === * 공맹안증([[孔]][[孟]][[顔]]曾) * 미증유([[未]]曾[[有]]) * [[증삼살인]](曾[[參]][[殺]][[人]]) === [[인명]] === * [[김증한]]([[金]]曾[[漢]]) * [[미내증부의미]]([[彌]][[奈]]曾[[富]][[意]][[彌]]) * [[소가 마치코]](曽[[我]] [[町]][[子]]) * [[소네노 요시타다]](曽[[禰]] [[好]][[忠]]) * [[소네 아라스케]](曾[[禰]] [[荒]][[助]]) * [[소노 슌타]](曽[[野]] [[舜]][[太]]) * [[소다 히로히사]](曽[[田]] [[博]][[久]]) * 윙한짱(曾[[詠]][[韓]]) * [[이증백]]([[李]]曾[[伯]]) * [[재증걸루]]([[再]]曾[[桀]][[婁]]) * [[주증녀]]([[朱]]曾[[女]]) * 증공(曾[[鞏]]) * [[증삼]](曾[[參]]) * [[증자(인물)|증자]](曾[[子]]) * [[샤오하이|쩡줘진]](曾[[卓]][[君]]) === [[지명#s-2]] === * [[소오시]](曽[[於]][[市]]) * [[증미역]](曾[[米]][[驛]]) * [[증평군]](曾[[坪]][[郡]]) * [[증평역]](曾[[坪]][[驛]]) * [[증평읍]](曾[[坪]][[邑]]) *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증자동리(曾[[者]][[洞]][[里]]) === 기타 === == 유의자 == * [[夙]](이를 숙) * [[早]](이를 조) * [[朁]](일찍이 참)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會]](모일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