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斗를 간체자로 하는 한자, rd1=鬪,other2=斗를 간체자로 하는 또 다른 한자,rd2=鬥)]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斗}}}말 두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斗,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ト, {{{#c88 ト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ひしゃく, ます}}}}}}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dǒu{{{#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斗-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곡식을 담아 양을 헤아리는 말 모양을 본떠서 만든 문자이다. 이름에서도 쓰이는데, 이름에서는 두목, 두목머리 등을 의미한다. == 상세 == 글자의 자원은 양을 재는 자루가 달린 국자를 본뜬 [[상형자]]. 또한 그 국자의 형상 때문에 성좌의 이름([[북두칠성]])이 되었다. 중국에서는 [[鬪]]/[[鬥]]의 [[간체자]]로 斗자를 사용한다. [[유니코드]]에는 U+659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J(卜十)로 입력한다. == 자형 == ||[[파일:斗-oracle.svg.png]]||[[파일:120px-斗-bronze.svg.png]]||[[파일:斗-bigseal.svg.png]]||[[파일:斗-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전서]]||<:>소전체|| == 용례 == === [[단어]] === * 두둔(斗[[頓]]) * [[두산]](斗[[山]]) * [[북두칠성]]([[北]]斗[[七]][[星]]) * [[오두미도]]([[五]]斗[[米]][[道]]) === [[인명]] === 일본에서 '토'로 끝나는 남자 이름을 지을 때 [[人]](사람 인)과 더불어 자주 쓰인다. * [[권두현]]([[權]]斗[[鉉]]) * [[김두겸]]([[金]]斗[[謙]]) * [[김두한]]([[金]]斗[[漢]]) * [[나가오 마나토]]([[長]][[尾]] [[愛]]斗) * [[마가츠 타이토]]([[凶]] [[戴]]斗) * [[마부치 하루토]]([[馬]][[渕]] [[春]]斗) * [[배두나]]([[裵]]斗[[娜]]) * [[배두훈]]([[裴]]斗[[勳]]) * [[스미노 하야토]]([[角]][[野]] [[隼]]斗) * [[스즈메노미야 카이토]]([[雀]][[宮]] [[快]]斗) * [[아시키바 타쿠토]]([[葦]][[木]][[場]] [[拓]]斗) * [[안두희]]([[安]]斗[[熙]]) * [[유두열]]([[柳]]斗[[烈]]) * [[윤두준]]([[尹]]斗[[俊]]) * [[장두진]]([[張]]斗[[軫]]) * [[전두환]]([[全]]斗[[煥]]) * [[조두순]]([[趙]]斗[[淳]]) * [[츠키요미 이쿠토]]([[月]][[詠]] [[幾]]斗) * [[쿠누기 미나토]](椚 [[三]][[波]]斗) * [[타카미자와 토마]]([[高]][[見]][[沢]] 斗[[真]]) * [[하야마 이쿠토]]([[羽]][[山]] [[郁]]斗) * [[호리고메 유토]]([[堀]][[米]] [[雄]]斗) * [[황희두]]([[黃]][[熙]]斗)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두산동]](斗[[山]][[洞]]) * [[경기도]] [[오산시]] 두곡동(斗[[谷]][[洞]]) * [[광주광역시]] [[광산구]] [[두정동]](斗[[亭]][[洞]])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 [[두암동]](斗[[巖]][[洞]])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斗[[東]][[面]])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斗[[西]][[面]]) * [[두실역]](斗[[實]][[驛]]) * [[두정역]](斗[[井]][[驛]]) === 기타 === * [[범두]]([[犯]]斗), [[범죄두]]([[犯]][[罪]]斗) * [[혼두라]]([[魂]]斗[[羅]])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말두부 강희자전 안에 6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32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斗|| ||6획||[[料]]|| ||7획||[[斜]]|| ||9획||[[斟]]|| ||13획||[[斣]]||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말두부 * 중국: [ruby(斗部, ruby=dǒubù)] * 일본: と・ます・とます * 미국: Radical dipper == 여담 == * 斗를 세 개 합치면 [[𣁾]] 된다. [[분류:준4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