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慮}}}생각할 려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000,#fff 心}}}]],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リョ{{{#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もんぱか-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ǜ{{{#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생각할 려(慮)'''. '생각하다', '헤아리다', '걱정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생각하다 || || {{{-1 '''음'''}}} ||려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ǜ || || {{{-1 '''[[광동어]]'''}}} ||leoi^^6^^ || || {{{-1 '''[[객가어]]'''}}} ||li || || {{{-1 '''[[민동어]]'''}}} ||lê̤ṳ || || {{{-1 '''[[민남어]]'''}}} ||lū[* 타이베이 등], lī[* 가오슝 등] || || {{{-1 '''[[오어]]'''}}} ||ly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リョ || || {{{-1 '''훈독'''}}} ||{{{#c88 おもんぱか-る, はか-る}}} || ||<-3> || ||<-2> '''[[베트남어]]''' ||lự || [[유니코드]]에는 U+616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PWP(卜心田心)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思]](생각할 사)와 소리를 나타내는 [[虍]](범 호)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고려([[考]]慮) * [[무려]]([[無]]慮) * [[배려]]([[配]]慮) * 사려([[思]]慮) * 사려증([[思]]慮[[症]]) * 석려([[釋]]慮) * 숙려([[熟]]慮) * 이혼숙려제([[離]][[婚]][[熟]]慮[[制]]) * 심려([[心]]慮/[[深]]慮)[* 心慮는 [[心]](마음 심)을 써서 마음속으로 걱정한다는 뜻이고, 深慮는 [[深]](깊을 심)을 써서 깊이 생각한다는 뜻이다. 흔히 사용하는 표현 '심려를 끼쳐 드려서...' 등의 '심려'는 心慮이며, 深慮는 心慮와 혼동하기 쉬운 까닭에 숙고(熟考), 숙려(熟慮), 심사숙고(深思熟考) 등을 많이 쓰곤 한다.] * 염려([[念]]慮) * 우려([[憂]]慮) * 원려([[遠]]慮)[* 멀리 내다봄. [[일본어]]에서는 えんりょ로 음독하여, '멀리 내다봄'의 뜻보다는 '사양', '겸손'의 뜻으로 훨씬 많이 쓴다.] * 정려([[靜]]慮) * 천려([[淺]]慮) * 후려([[厚]]慮) === [[고사성어]]/[[숙어]] === * 근우원려([[近]][[憂]][[遠]]慮) * 무사무려([[無]][[思]][[無]]慮) * 사려분별([[思]]慮[[分]][[別]]) * 심모원려([[深]][[謀]][[遠]]慮) * 심사숙려([[深]][[思]][[熟]]慮) * 여무소부도(慮[[無]][[所]][[不]][[到]]) * 우자천려([[愚]][[者]][[千]]慮) * 조불려석([[朝]][[不]]慮[[夕]]) * 천려일득([[千]]慮[[一]][[得]]) * 천려일실([[千]]慮[[一]][[失]]) * 천사만려([[千]][[思]][[萬]]慮) * 초심고려([[焦]][[心]][[苦]]慮) === [[인명]] === * [[이벌어려제]]([[伊]][[伐]][[於]]慮[[鞮]]) * [[좌가려]]([[左]][[可]]慮)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慮(おもんぱか)る: 숙고하다, 세세히 배려하다. * 慮(はか)る: 생각하다, 노리다, 꾀하다. 둘 다 비상용독음이다. おもんぱかる는 그래도 慮る로 종종 쓰는 편이지만 はかる는 慮로는 거의 안 쓰고 보통 [[計]](셈 계)를 써서 計る로 쓴다. ==== [[음독#s-1]] ==== リョ. * 考慮(こうりょ): 고려 === [[중국어]] === 虑(lǜ): 생각하다, 고려하다, 우려하다, 걱정하다. 중국어에서는 [[思]](생각 사) 부분을 [[心]](마음 심)으로 간화해서 虑로 쓴다. == 유의자 == * [[勘]](헤아릴 감) * [[考]]/[[攷]](생각할 고) * [[揆]](헤아릴 규) * [[念]](생각할 념) * [[料]](재료 료, 헤아릴 료) * [[思]](생각할 사) * [[想]](생각 상) * [[憶]](생각할 억) * [[惟]](생각할 유) * [[恁]](생각할 임) * [[測]](헤아릴 측, 잴 측) * [[度]](헤아릴 탁)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盧]](밥그릇 로) * [[處]](곳 처) * [[虐]](모질 학/사나울 학) * [[瘧]](학질 학) * [[謔]](희롱할 학) * [[虎]](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