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rd1=廿(BEMANI 시리즈))] [include(틀:숫자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廿}}}스물 입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廾|{{{#000,#fff 廾}}}]], 1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ジュ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にじゅう}}}}}}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nià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廿획순.gif|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물 입(廿).'''' [[스물]]을 뜻하는 [[한자]]다. [[유니코드]]는 U+5EF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廿)로 입력한다. [[十]]이 두 번 합쳐져 생긴 [[회의자]]다. 비슷한 자로 [[卅]](서른 삽), [[卌]](마흔 십) 등이 있다. 이체자로 아래쪽 획이 빠진 卄가 있다. [[KS X 1001]]에는 廿이 없고 卄이 있다. 주로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서 쓰인다.[* [[Windows 10]]의 추가달력 기능을 사용하면 음력을 한자로 표시해주는데 이 때 21일부터 29일까지를 廿一~廿九로 표시한다.] 한국에선 1960년대 초까지는 신문 기사에서 검색되는 등 어느 정도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잘 안 쓰이고, 일본에서도 신사나 사찰과 같은 곳에서 옛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쓰는 경우를 빼면 일상에선 二十으로 쓰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한국에선 숫자를 한자로 써도 그냥 이십([[二]]十)이라고 두 글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廿은 [[廾]] 부수이지만 정작 卄은 十 부수이다. || {{{+5 廿}}} || {{{+5 [[𠥻]]}}} || || 스물 입 || 병 질 || [[疾]]자의 옛 자 중에 이 한자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자도 있다. [[𠥻]]([[:파일:𠥻.svg|이미지]])는 [[十]] 부수에 속한다. == 용례 == === [[단어]] === * 廿 (20, 하츠카) * 廿四年 (24년) === [[인명]] === * [[토도로키 텐마]](廿[[六]][[木]] [[天]][[馬]]) === [[지명#s-2]] === * 입천정(卄[[川]][[亭]])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92호. * 히로시마현 하츠카이치시(廿[[日]][[市]][[市]]) * 도쿄도 하치오지시 토도리마치(廿[[里]][[町]]) === [[창작물]] === * [[廿(BEMANI 시리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廾]](받들 공) * [[甘]](달 감) * [[卅]](서른 삽) * [[卌]](마흔 십) * [[𠥻]](병 질) * [[冊]](책 책)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