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상 리플렉트''' [[파일:attachment/gensou_reflecjpg.jpg]] == 개요 == 명의는 イルカブ으로, 원 작곡은 [[wac]], 작사 및 편곡은 [[비트매니아 IIDX 17 SIRIUS]]부터 IIDX에 참여하기 시작한 이쿠타 마신(生田真心). == 가사 == ||隣合わせの太陽と雨は言う 토나리 아와세노 타이요오토 아메와 유우 맞닿아 있는 태양과 비는 말해 負ける訳にはいかないさ 僕は行く 마케루 와케니와 이카나이사 보쿠와 유쿠 질 수만은 없으니 나는 갈 거야 月の光 何処まででも 追いかける 츠키노 히카리 도코마데데모 오이카케루 달빛을 어디까지라도 쫓아가는 心に想い描く ファンタジー どんな時も 코코로니 오모이에가쿠 판타지 돈나 토키모 마음에 떠올려 그려나가는 판타지 어느 때이든 押し寄せる 波は時に 僕を不安にするけれど 오시요세루 나미와 토키니 보쿠오 후안니 스루케레도 밀려 들어오는 물결이 때때로 나를 불안하게 해도 跳ね返してしまえ 하네카에시테시마에 되받아쳐버려 さぁ 進め 僕の光よ ボールを投げる様に 高く高く跳べ 사아 스스메 보쿠노 히카리요 보-루오 나게루 요오니 타카쿠 타카쿠 토베 자 뻗어라 나의 빛이여 공을 던지는 것처럼 높게 높게 뛰어라 未来はいつも 気持ちで決まる 心のリフレクション 미라이와 이츠모 키모치데 키마루 코코로노 리플렉숀 미래는 언제나 내 마음대로 정해져 마음의 리플렉션 返って来るんだ 投げかけた愛 そう全て鏡の様 카엣테 쿠룬다 나게카케타 아이 소오 스베테 카가미노 요오 돌아 왔다가 던져졌던 사랑 그 모든 것이 거울과도 같이 君の想いが 僕の想いが 二人のリフレクション 키미노 오모이가 보쿠노 오모이가 후타리노 리플렉숀 너의 마음이 나의 마음이 두 사람의 리플렉션 今 君の光 放て 強く 反射して行く 이마 키미노 히카리 하나테 츠요쿠 한샤시테유쿠 지금 너의 빛이 쏘아져 강하게 반사되어가네 今日も 明日も 輝き続けるよ 쿄오모 아스모 카가야키츠즈케루요 오늘도 내일도 계속 빛나고 있어||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4> '''REFLEC BEAT 1 글래스''' || || 1-3 글래스 || || '''幻想リフレクト''', [[イミテーション語ル死ス]], [[SPECIAL SUMMER CAMPAIGN!]] (60) || || ▼ || || [[KOROBUSHKA (Ryu☆Remix)]], [[THE FALLEN]] (110) || || ▼ || || [[Broken]], [[Hollywood Galaxy]] (165) || || ▼ || || [[DEADLOCK(BEMANI 시리즈)|DEADLOCK]] (215) || ||<-7>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6> 난이도 || ||<|2> 138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 {{{#green 3}}} || {{{#orange 7}}} || {{{#red 9}}} || {{{#08afdb 10}}} || || 스킬 레이트 || {{{#green 8}}} || {{{#orange 30}}} || {{{#red 51}}} || {{{#08afdb 59}}} || || 오브젝트 || {{{#green 177}}} || {{{#orange 283}}} || {{{#red 410}}} || {{{#08afdb 543}}} || || 수록버전 ||<-4> [[리플렉 비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4> MUSIC PACK 08 || ||<-5>{{{#orange MEDIUM}}} : 난이도 1 증가 (라임라이트)[br]{{{#ff0090 S}}}{{{#ffaa08 P}}}{{{#08afdb E}}}{{{#ff0090 C}}}{{{#08afdb I}}}{{{#ffaa08 A}}}{{{#08afdb L}}} : 보면 추가 (그루빈) || ||<-7> [[리플레시아]] 이후의 난이도 체계 || || [[BPM]] ||<-6> 난이도 || ||<|2> 138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6}}} || {{{#orange 9}}} || {{{#red 11}}} || {{{#magenta 12}}} || || 스킬 레이트 || {{{#green 22}}} || {{{#orange 39}}} || {{{#red 53}}} || {{{#magenta 61}}} || || 오브젝트 || {{{#green 178}}} || {{{#orange 283}}} || {{{#red 410}}} || {{{#magenta 543}}} || || MAX COMBO || {{{#green 248}}} || {{{#orange 355}}} || {{{#red 518}}} || {{{#magenta 664}}} || || JUST REFLEC || {{{#green 8}}} || {{{#orange 10}}} || {{{#red 12}}} || {{{#magenta 16}}} || [youtube(2N8xjHHE4N8)] 하드 난이도 영상 레벨11에선 중~상급 수준으로, 중간에 잠시 쉬는 곳(3/8박자)를 제외하고 모두 '''6/8'''박자이다. 박자를 세는 데에 상당히 주의가 필요한데, BPM의 정의 자체가 곡에서 4분음표가 분당 얼마나 나오는가라서 '''정의대로 138의 BPM'''을 가지지만, 6/8의 곡들이 가지는 특성상 박자를 [[Chronos|점4분음표 하나당으로 세는 느낌이나 8분음표 하나씩마다 세기 때문에]] 실제 체감 박자는 '''276(8분음표)''' 또는 '''92(점4분음표)'''가 된다. 주의할 점은 인트로가 시작하자마자 롱오브젝트 + 일반 오브젝트가 나오며 '''한 롱 오브젝트가 끝나는부분에서 또다른 롱 오브젝트가 시작되기때문에''' 롱 오브젝트에서 미스가 나기가 쉽다. 여길 넘긴다 하더라도, 중반부로 넘어가기 전에 나오는 롱 오브젝트 → 롱 오브젝트 직전에 나오는 체인 오브젝트도 골칫거리. 마지막에서 투탑-체인의 투탑은 한쪽만 나오다가 양쪽 둘다 나오기도 하므로 마지막에서 방심하면 점수 손실이 크다. 거기에 곡이 조금 느린축인지라 오브젝트가 밀집되어있어서 복잡하게 보이기도 하며, 거기에 느리게 오는 오브젝트와는 다르게 체인 오브젝트 박자는 16비트이기 때문에 투탑뿐만 아니라 체인 오브젝트도 주의해야한다.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로 넘어오면서 오브젝트 숫자는 그대로이지만 기존에 없었던 탑 롱노트들이 대거 등장하여 기존 패턴에 익숙했던 사람이나 탑노트 처리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들에게 혼란을 가져오기도했다. [youtube(jkN54C4hjhg)] 화이트하드 (구 스페셜) 난이도 영상 그루빈에서 스페셜 보면이 추가되었다. === 아티스트 코멘트 === ||[[리플렉 비트]]에서 제가 할 일은 완전히 끝났다고 방심하고 있을 때, 곡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예상도 하지 못했고 타이밍도 완전 최악인 상황에서, 어떻게 생각해 봐도 시간을 짜낼 수가 없어서, "리플렉 비트이니까 의뢰를 리플렉트 할 수밖에~" 라고 생각하던 참에 [[DJ YOSHITAKA|요시타카]] 군이 "[[팝픈뮤직]]에는 이제까지 없었던 "킬러 튠"을 만들 겁니다!" 라는 도발[* 이 곡이 수록될 당시 wac은 팝픈뮤직의 사운드 디렉터였다.]을 걸어와, 결국 만들게 되었습니다. 요시 군이 말한 필승책 - "프로페셔널한 대단한 분에게 가사와 어레인지를 맡긴다" - 로 밀고 나가는 쪽으로 정해졌습니다. 멜로디와 [[피아노]]밖에 없는, 데모라고 하기도 참 뭐한 상태에서 여기까지의 음세계로 이끌어 주셔서, 역시 프로페셔널이구나- 라고 감격할 뿐이었습니다. 가사도 제목만 정해놓은 상태에서, 저라면 쓸 수 없을 것 같은 가사를 써 주셨습니다. 프로의 일하는 모양새는, 평소에 제가 일하는 모양새에 슬프고도 눈부시게 반사되는 것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해봅시다. -[[wac]], OST 수록 코멘트|| == [[유비트 시리즈]] == [include(틀:LIGHT CHAT/비욘드 디 애비뉴)]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3 ||<:>5 ||<:>8 || ||<:>노트 수||<:>189 ||<:>293 ||<:>603 || ||<:>BPM||<-3><:>138||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1e1e1c>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html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FFFFFF (2023. 9. 20. ~ )}}} || ||<:>모바일||<-3><:> 미수록 || * 관련 칭호 *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 * 心に想い描くファンタジー(마음에 그리는 판타지) : 모든 보면 클리어 * そう全て鏡の様(그렇게 모두 거울처럼)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ViwegwjTKKs)] EXT 채보 영상 [youtube(TXvO-vSnTXA)] EXT 엑설런트 영상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의 메인 해금 시스인 LIGHT CHAT의 MIKAGAMI 캐릭터 코스에서 해금되는 곡이다. 전작 [[유비트 애비뉴]]의 [[Flying soda]] 같은 저레벨 오프닝곡 포지션. 두 곡 모두 리플렉 비트 시리즈 이식곡인 것도 특징이다. EXT는 평범한 8레벨 채보 같아 보이지만 자세히 봐야 알 수 있는 점이 있는데, 각 파트마다 같은 패턴이 90도 방향, 180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계속 등장한다는 것. 말그대로 곡 제목에 맞추어서 패턴이 반사(reflect)되는 구성이다. 출신 기종인 리플렉 비트 시리즈에 대한 리스펙트가 엿보이는 부분. 난이도는 곡과 잘 어울리게 무난한 편이다. [[분류:리플렉 비트의 수록곡]][[분류: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