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寫}}}베낄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宀|{{{#000,#fff 宀}}}]],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ャ{{{#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つ-す, うつ-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ě{{{#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寫는 ''''베낄 사''''라는 [[한자]]로, '베끼다', '본뜨다', '그리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베끼다 || || {{{-1 '''음'''}}} ||사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iě || || {{{-1 '''[[광동어]]'''}}} ||se^^2^^ || || {{{-1 '''[[객가어]]'''}}} ||siá || || {{{-1 '''[[민북어]]'''}}} ||siǎ || || {{{-1 '''[[민동어]]'''}}} ||siā || || {{{-1 '''[[민남어]]'''}}} ||siá || || {{{-1 '''[[오어]]'''}}} ||xia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ャ || || {{{-1 '''훈독'''}}} ||うつ-す, うつ-る || ||<-3> || ||<-2> '''[[베트남어]]''' ||tả || [[유니코드]]에는 U+5BE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HXF(十竹難火)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舄]](신 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화권에서는 주로 '쓰다'[書]라는 뜻의 기본동사로 사용한다. 원래는 갓머리 아래의 舄을 舃자로 쓴 형태가 정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녹사([[錄]]寫) * 뇌사([[腦]]寫) * [[등사]]([[謄]]寫) * [[등사기]]([[謄]]寫[[機]]) * 모사([[模]]寫) * [[성대모사]]([[聲]][[帶]][[模]]寫) * [[묘사]]([[描]]寫) * [[복사]]([[複]]寫) * [[복사기]]([[複]]寫[[機]]/[[複]]寫[[器]]) * 복사판([[複]]寫[[版]]) * [[사본]](寫[[本]]) * 사상(寫[[象]]) * [[사상#s-2]](寫[[像]]) * [[사생]](寫[[生]]) * 사수(寫[[手]]) * [[사실#s-4]](寫[[實]]) * 사영(寫[[映]]) * 사음(寫[[音]]) * 사의(寫[[意]]) * 사자(寫[[字]]) * 사자관(寫[[字]][[官]]) * 사자청(寫[[字]][[廳]]) * [[사장(동음이의어)|사장]](寫[[場]]) * 사조(寫[[照]]) * [[사진]](寫[[眞]]) * [[사진가]](寫[[眞]][[家]]) * [[사진관]](寫[[眞]][[館]]) * [[사진기]](寫[[眞]][[機]]) * [[사진기능사]](寫[[眞]][[技]][[能]][[士]]) * 사진부(寫[[眞]][[部]]) * [[사진작가]](寫[[眞]][[作]][[家]]) * [[사진첩]](寫[[眞]][[帖]]) * 색사진([[色]]寫[[眞]]) * [[청사진]]([[靑]]寫[[眞]]) * 사출(寫[[出]]) * 서사([[書]]寫) * 선사([[善]]寫/[[繕]]寫) * 속사([[速]]寫) * 수사([[手]]寫) * 수사본([[手]]寫[[本]]) * 영사([[映]]寫) * [[영사기]]([[映]]寫[[機]]) * [[영사기능사]]([[映]]寫[[技]][[能]][[士]]) * [[영사산업기사]]([[映]]寫[[産]][[業]][[技]][[士]]) * 영사([[影]]寫) * 잠사([[潛]]寫) * 전사([[全]]寫/[[電]]寫/[[傳]]寫) * [[전사#s-4]]([[轉]]寫) * [[역전사]]([[逆]][[轉]]寫) * [[역전사효소]]([[逆]][[轉]]寫[[酵]][[素]]) * [[전사 인자]]([[轉]]寫[[因]][[子]]) * 축사([[縮]]寫) * [[투사]]([[透]]寫) * 투사형([[透]]寫[[型]]) * [[필사]]([[筆]]寫) * [[필사본]]([[筆]]寫[[本]]) === [[고사성어]]/[[숙어]] === * 도사금수([[圖]]寫[[禽]][[獸]]) * 심복수사([[心]][[腹]][[輸]]寫) === [[인명]] === * [[미야마 샤에이]]([[美]][[山]] 写[[影]]) === [[지명#s-2]] === === [[창작물]] === * [[写るんです]] === 기타 === * [[쇼샤산 로프웨이]]([[書]]写[[山]]ロープウェイ) * [[야사#s-4]]([[冶]]寫) * [[엽사]]([[獵]]寫) * [[졸사]]([[卒]]寫) * [[증사]]([[證]]寫) == 유의자 == * [[謄]](베낄 등) * [[摹]](베낄 모) * [[描]](그릴 묘) * [[抄]](베낄 초) * [[搨]](베낄 탑)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䉣]](꺾어진대나무채찍 사) * [[冩]](베낄 사) * [[蕮]](질경이 석)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𧸿]](보낼 돈) * [[䥱]](거푸집 사) * [[𧭠]](베낄 사) * [[瀉]](쏟을 사) * [[𥶘]](죽간 사) * [[𣞐]](책상 사) * [[藛]](풀이름 사) * [[𥖽]](주춧돌 석)[* [[磶]](주춧돌 석)의 [[속자]]] * [[𧓺]] * [[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