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姓}}}성 성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女|{{{#000,#fff 女}}}]],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イ,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ばね}}}}}}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ì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姓은 ''''성 성''''이라는 [[한자]]로, '[[성씨|성]](姓)', '[[성씨]](姓氏)' 등을 뜻한다. '성씨 성'이라고도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성 || || {{{-1 '''음'''}}} ||성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ìng || || {{{-1 '''[[광동어]]'''}}} ||sing^^3^^[*文 [[문독]]] / seng^^3^^[*白 [[백독]]] || || {{{-1 '''[[객가어]]'''}}} ||siang || || {{{-1 '''[[민북어]]'''}}} ||sia̿ng || || {{{-1 '''[[민동어]]'''}}} ||séng[*文] / sáng[*白] || || {{{-1 '''[[민남어]]'''}}} ||sìng[*文] / sìⁿ[* 백독, 타이베이 등], sèⁿ[* 백독, 가오슝 등] || || {{{-1 '''[[오어]]'''}}} ||xin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セイ, ショウ || || {{{-1 '''훈독'''}}} ||''かばね'' || ||<-3> || ||<-2> '''[[베트남어]]''' ||tính || [[유니코드]]에는 U+59D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VHQM(女竹手一)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와 음을 나타내는 [[生]](날 생)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정장상팡(郑张尚芳)과 Baxter-Sagart의 상고음 재구에는 이러한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生]] 역시 뜻을 가진 것으로 보아 [[회의자]]로 여기는 것도 가능하다. [[설문해자]]는 '姓이란 사람이 태어나는 바이다. 고대의 신성한 어머니가 감천(感天)하여 아이를 낳았으니, 고로 천자(天子)라고 부른다. [[춘추]]전(春秋傳)에서는 천자가 태어남으로 인하여 성(姓)을 하사받았다고 말한다.'라고 설명했다. 참고로 이 글자는 [[갑골문]] 때부터 이미 등장하는 글자이다. 고대에는 모계 위주로 성씨를 이어받았음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性과 姓을 헷갈리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性은 남녀, 姓은 성씨를 뜻한다. 옛 옥저어에서는 (姓)성의 훈독을 구쿠라고 읽었다. == 용례 == === [[단어]] === * 각성([[各]]姓) * 구성([[舊]]姓) * [[동성]]([[同]]姓) * [[동성동본]]([[同]]姓[[同]][[本]]) * [[동성고]]([[東]]姓[[考]]) * [[백성]]([[百]]姓) * [[복성]]([[複]]姓) * [[성명]](姓[[名]]) * [[성씨]](姓[[氏]]) * [[성함]](姓[[銜]]) * [[집성촌]]([[集]]姓[[村]])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氏]](성 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珄]](금빛 생) * [[泩]](넘칠 생) * [[殅]](소생할 생) * [[鉎]](쇳녹 생) * [[貹]](재물 생/성) * [[栍]](찌 생) * [[牲]](희생 생) * [[𨠠]]^^[⿰酉生]^^(깰 성)[* [[醒]](깰 성)의 [[동자#s-2]]] * [[鮏]](비릴 성) * [[胜]](비릴 성, 이길 승, 새이름 정) * [[狌]](성성이 성) * [[性]](성품 성) * [[甡]](수두룩할 신) * [[徃]](갈 왕)[* [[往]](갈 왕)의 [[속자]]] * [[夝]](맑을 청) * [[﨡]](생) * [[𥑥]]^^[⿰石生]^^(차) * [[𠇷]]^^[⿰亻生]^^ * [[𫦽]]^^[⿰勤生]^^ * [[𡊳]]^^[⿰土生]^^ * [[𠰮]]^^[⿰口生]^^ * [[𭒿]]^^[⿰子生]^^ * [[𬈤]]^^[⿰泥生]^^ * [[𤇣]]^^[⿰火生]^^ * [[𭤯]]^^[⿰方生]^^ * [[𰠑]]^^[⿰爿生]^^ * [[𱫟]]^^[⿰灵生]^^ * [[𮁢]]^^[⿰礻生]^^ * [[𤬸]]^^[⿰瓦生]^^ * [[𮄫]]^^[⿰立生]^^ * [[𰤢]]^^[⿰皮生]^^ * [[𰫡]]^^[⿰糸生]^^ * [[𰮛]]^^[⿰肉生]^^ * [[𦎡]]^^[⿰美生]^^ * [[𫕹]]^^[⿰靑生]^^ * [[𮪨]]^^[⿰骨生]^^ * [[𪊟]] * [[𱋲]]^^[⿰黃生]^^ * [[𱌔]]^^[⿰鼻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