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如}}}같을 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女|{{{#000,#fff 女}}}]],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ョ, ニョ{{{#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ごと-し, し-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r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5%A6%82-order.gif]] 如의 필순 [목차] [clearfix] == 개요 == '''같을 여'''(如). "마치 ~와 같다(~와 유사함)"라는 뜻을 나타내며 '동등', '평등'이란 단어에서 쓰는 '[[같다]]'라는 의미는 아니다. [[영어]]로 뜻을 설명하자면 same, equal이 아닌 like, such as에 해당한다. 옛날에는 '답다'라는 형용사를 써서 '다울 여'라고도 했다고 하니 이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같다 || || {{{-1 '''음'''}}} ||여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rú || || {{{-1 '''[[광동어]]'''}}} ||jyu^^4^^ || || {{{-1 '''[[객가어]]'''}}} ||yì || || {{{-1 '''[[민동어]]'''}}} ||ṳ̀ || || {{{-1 '''[[민남어]]'''}}} ||jû[* 가오슝 등] / lû[* 타이베이 등] || || {{{-1 '''[[오어]]'''}}} ||zr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ジョ, ニョ || || {{{-1 '''훈독'''}}} ||{{{#c88 ごと-し, し-く}}} || ||<-3> || ||<-2> '''[[베트남어]]''' ||như || [[유니코드]]에는 U+5982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ㄖㄨ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VR(女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女]](계집 녀)로 구성된 [[형성자]]로도 볼 수 있고, 혹은 女 자와 口 자가 모두 뜻을 나타내는 [[회의자]]로도 볼 수 있다. >恩高'''如'''天 德厚似地(은고여천 덕후사지) >은혜가 높기는 하늘과 '''같고''', 덕이 두텁기는 땅과 같도다. - 사자소학(四字小學) 일본어로는 '-처럼'이라는 표현을 문어적으로 如く(ごとく)이라고 쓴다. 한국어에서 '-처럼'보다 '-와 같이'가 조금 더 문어적인 것과 약간 비슷하다면 비슷할 듯? 한국어에서는 더욱 문어적 표현으로 '-와 여하다'를 쓰기도 하였다. [[하야테처럼!]](ハヤテのごとく!)이 이 단어를 쓴 제목의 예. 한편 しく라고 읽으면 '-에 필적하다'의 뜻이 되는데, 주로 부정형으로 쓰이는 듯하다. '백문이 불여(如)일견'도 일본어로는 '百聞は一見に如(し)かず'라고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불여귀]]([[不]]如[[歸]]) * 여간(如[[干]]) * 여간내기(如[[干]]내기) * 여반장(如[[反]][[掌]]) * 여실(如[[實]]) * 여전(如[[前]]) === [[고사성어]]/[[숙어]] === * [[급급여율령]] - "[[율령]]과 같이 서둘러 행하라"는 뜻. 도사나 음양사들이 퇴마할때 마지막에 붙이는 문구인데, 쉽게 말하면 그냥 빨리 물러거라는 뜻. * 견금여석([[見]][[金]]如[[石]]) - 황금을 보기를 돌 '같이' 하라는 뜻이다. [[최영]] 장군의 아버지 최원직의 유언으로 유명하고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의 가사에도 등장하는 말이다. * 여리박빙(如[[履]][[薄]][[氷]]) - [[박빙]]이란 단어의 유래가 되는 말이다. * [[인심여면]]([[人]][[心]]如[[面]]) *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 아주 짧은 순간이 마치 3년과 '같이' 느껴진다는 뜻이다. *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 하루가 마치 3년과 '같이' 느껴진다는 뜻이다. *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 - 백 번 듣는 게 한 번 보는 것과 '같지 않다' (한 번 보는 것에 미치지 못한다, 한 번 보는 것만 못하다) * 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 (학문을)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다. === [[인명]] === 如는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한자이다 보니 인명이나 지명 같은 고유명사에는 잘 쓰이지 않는 편이나 그래도 굳이 찾아보자면 사례가 꽤 나온다. 대부분 如 다음에 좋은 의미를 가진 한자를 쓰는 식으로 '~같은 사람'이라는 풀이를 갖게 한다. * [[고여율]]([[高]]如[[栗]]) * [[구로다 죠스이]]([[黑]][[田]] 如[[水]]) * 김여란([[金]]如[[蘭]]) - 국악인 * [[나이토 조안]]([[内]][[藤]] 如[[安]]) * [[두여회]]([[杜]]如[[晦]]) * [[사타상여]]([[沙]][[咤]][[相]]如) * [[야야하라 유유]]([[八]]々[[原]] [[熊]]如) * [[오라나랍 여의]]([[烏]][[拉]][[那]][[拉]] 如[[懿]]) * [[유여대]]([[劉]]如[[大]]) - [[개신교]] [[장로회]] [[목사]]. * [[유여의]]([[劉]]如[[意]]) - [[전한]]의 제후왕 * [[이여상]]([[李]]如[[相]]) * [[이여송]]([[李]]如[[松]]) * [[임심여]]([[林]][[心]]如) * 장상여([[張]][[相]]如) * [[주여정]]([[朱]]如[[炡]]) * [[코마쿠사 산뇨]]([[駒]][[草]] [[山]]如) * [[키사라기 루이]](如[[月]] ルヰ) * [[키사라기 모모]](如[[月]] [[桃]]) * [[키사라기 신타로]](如[[月]] [[伸]][[太]][[郎]]) * [[키사라기 유우(스타포라)|키사라기 유우]](如[[月]] ゆう) * [[키사라기 하니]](如[[月]] ハニー) * [[혼간지 켄뇨]]([[本]][[願]][[寺]] [[顕]]如) === [[지명#s-2]] === * 루가오 시(如[[皋]][[市]]) - 중국의 행정구역. * [[반여농산물시장역]]([[盤]]如[[農]][[産]][[物]][[市]][[場]][[驛]]) * [[반여동]]([[盤]]如[[洞]]) * 여운리(如[[雲]][[里]]) === [[창작물]] === * [[여의전]](如[[懿]][[传]]) * [[향밀침침신여상]]([[香]][[蜜]][[沉]]沉[[烬]]如[[霜]]) == 유의자 == * [[似]](닮을 사) * [[偌]](이와 같을 야) * [[若]](같을 약)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加]](더할 가) * [[扣]](두드릴 구) * [[始]](비로소 시) * [[知]](알 지) * [[和]](화할 화) == 여담 == * [[여성가족부]](女性家族部)의 '여'가 [[女]](계집 녀)가 아닌 如라는 [[루머]]가 돈 적이 있는데, 이 如가 남녀가 '동등하다'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는 如가 '동등하다'라는 의미가 아닌 '마치 ~와 같다'라는 의미임을 모르는 데서 나온 낭설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성가족부/논란 및 사건 사고#s-1.1]] 문서를 참고하자.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