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夢}}}꿈 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夕|{{{#000,#fff 夕}}}]],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ム, {{{#c88 ボ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ゆめ{{{#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è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夢은 ''''꿈 몽''''이라는 [[한자]]로, '[[꿈]]'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922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WLN(廿田中弓)으로 입력한다. 원시한장어 s/r-ma-ng/k(dream)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티베트어]] r-mil lam, [[버마어]] အိမ္မက္(eim mak)과 기원이 같다. === 자원(字源) === ||[[파일:external/pic.zdic.net/68A6.gif]]||[[파일:external/9f7e4a8c7f8fea7d27b0d9d8a6e599180d3509e57e862afb96ad65629f267d28.gif]]|| || 갑골문 || 소전 || 초기 [[갑골문]]에서는 침상([[爿]])에 사람([[人]])이 누워있고 사람의 눈과 눈꺼풀([[眉]])을 나타냈고, 후기 갑골문에서는 침상(爿)에 사람(人)이 누워 눈([[目]])을 손으로 가리고 있는 모양이다. 모두 '누워서 자고 있는 사람과 눈을 감고 있는 것'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전서]]로 옮겨 가면서 침상(爿)이 생략되고 나머지 부분은 변형되면서 밤이라는 시간을 나타내는 [[夕]](저녁 석)이 추가되었다. 이체자 중에 {{{+1 㝱}}}에는 침상(爿)의 형상이 살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언어별 자형 차이 === [[파일:attachment/u5922.png]] (G: [[중국]] 중국어, T: [[대만]] 표준 자형,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어]]) === 이체자 === 夣 (유니코드 5923, 夕부 11획, YIWN) 梦 (유니코드 68A6, 木부 7획, DDNI) 㒱 (유니코드 34B1, 入부 3획, ONI) 㝱 (유니코드 3771, 宀부 18획, JVMN) 𡪎 (유니코드 21A8E, 宀부 11획, JDDN) 𦴋(유니코드 26D0B, 艹부 9획, TWLE) 梦은 夢의 간체자로, [[중국]]에서 사용한다. 㒱은 한국에서 만들어져 쓰이는 국자(國字)인데 밤(夕) 잠에 드는 것(入)이라는 뜻을 [[회의자|회의]]로 나타냈다. === 용례 === ==== 단어, [[고사성어]] ==== * [[길몽]]([[吉]]夢) * [[몽마]](夢[[魔]]) * [[몽어정]](夢[[漁]][[亭]]) * [[몽환]](夢[[幻]]) * [[악몽]]([[惡]]夢) * [[자각몽]]([[自]][[覺]]夢) * 춘몽([[春]]夢) * [[몽정]](夢[[精]]) * [[동상이몽]]([[同]][[床]][[異]]夢) * [[일장춘몽]]([[一]][[場]][[春]]夢) * [[호접지몽]]([[蝴]][[蝶]][[之]]夢) * [[삼도지몽]]([[三]][[刀]][[之]]夢) * [[남가일몽]] ([[南]][[柯]][[一]]夢) ==== [[인명]] ==== * [[정주영]]의 아들들의 돌림자가 이 한자다. 아래는 대표적으로 알려진 사람들. 이 일가를 제외하면 한국에서 夢을 인명자로 쓰는 사람은 극소수다. * [[정몽구]](鄭夢九) * [[정몽헌]](鄭夢憲) * [[정몽준]](鄭夢準) * [[엔무]]([[魘]]夢) * [[유메]](夢) * [[유메하라]](夢原) * [[유메미]](夢見) * [[아사쿠라 네무]](朝倉 音夢) * [[아다치 아스무]](安達 明日夢) * [[오카자키 유메미]](岡崎 夢美) * [[우에하라 아유무]](上原歩夢) * [[키요카와 모토무]](清川 元夢) * [[쿠로코우지 유메지]](黒河内 夢路) * [[쿠로유메]](黒夢) * [[콘파쿠 요우무]](魂魄 妖夢) * [[사쿠라이 유메코]](桜井 夢子) * [[게게게의 키타로/등장인물#3기|텐도 유메코]](天童 夢子) * [[니오우노미야 이즈무]](匂宮 出夢) * [[하쿠타쿠 유메미]](白澤 夢視) * [[하쿠레이 메이무]](博麗 冥夢) * [[하쿠레이 레이무]](博麗 霊夢) * [[후지와라 유메지]](藤原 夢路) * [[무게츠]](夢月) * [[무겐 마미야]](夢幻 魔実也) * [[무토 토무]](武藤 十夢) * [[야미노 유메코]](闇野 夢子) * [[유메코]](夢子) * [[유메사키 산지로]](夢前 三治郎) * [[유메노 안즈]] (夢野 杏) * [[유메노 마호]] (夢乃 マホ) ==== [[지명#s-2]] ==== * [[몽전]](夢[[殿]]) * [[몽촌토성]](夢[[村]][[土]][[城]]) * [[몽촌토성역]](夢村土城[[驛]]) * [[몽탄역]](夢[[灘]][[驛]]) * [[유메노시마]](夢の[[島]]) ==== [[창작물]] ==== * [[꿈빛 파티시엘]](夢色パティシエール) * [[꿈을 다시 한 번]](夢をもう一度) * [[꿈이 여기에서부터 시작돼]]([[夢がここからはじまるよ]]) * [[꿈을 먹는 메리]](夢喰いメリー) * [[꿈의 사도]](夢使い) * [[동방요요몽]](東方妖々夢) * [[동방췌몽상]](東方萃夢想) * [[몽환의 뱌쿠야]](夢幻の白夜) * [[순흑의 악몽|명탐정 코난: 순흑의 악몽]](純黒の悪夢) * [[몽환전사 바리스]](夢幻戦士ヴァリス) * [[아이언 메이든과 몽상가 공주님]]([[鉄の処女と夢見がちなお姫さま]]) * [[夢わたし]] * [[몽환회랑2]](夢幻廻廊2~螺旋~) * [[총몽]](銃夢) * [[홍루몽]](紅樓夢) * [[황금몽상곡]](黄金夢想曲) * [[梦想的旗帜]] * [[梦想岛]] * [[早安梦幻岛]] * [[那年夏天的梦]] * [[让梦想闪耀]] * [[Mrs.Pumpkin의 우스꽝스러운 꿈]] (Mrs.Pumpkinの滑稽な夢) * [[MC몽]](MC 夢)[* 저 몽을 '몽키'의 몽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본인도 [[1박 2일]]에서 야생 원숭이 캐릭터를 많이 내세웠지만 사실 '꿈 몽'자를 써서 만든 이름이다. [* 사족이지만 몽 앞에 MC 부분도 힙합의 MC가 아닌 프로그램 진행을 맡는 그 MC다. 즉 진행역을 꿈꾼다는 뜻.] ] * [[몽위과학세기]] (夢違科学世紀) * [[夢見る少女じゃいられない]] * [[夢を死なせるわけにいかない]] * [[사탕 또는 꿈]](飴か夢) * [[몽환의 숲]] * [[꿈터]](夢の跡地) * [[몽마]](夢魔) * [[몽환심모]](夢幻心母) === 기타 === * [[太田夢莉卒業コンサート ~ I wanna keep Ioving you! ~]]: [[오오타 유우리]]의 졸업 콘서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한자)|정자]]''' 夢 * [[㱳]](죽어 쓸쓸할 막) * [[蒙]](어두울 몽) * '''[[간체자]]''' 梦 * [[禁]](금할 금) * [[焚]](불사를 분) == 일본의 3인조 록밴드 [[카라스|鴉]]의 싱글음반 및 수록곡 == === 개요 === [[파일:external/ec2.images-amazon.com/51GMgmAYSNL._SL500_AA300_.jpg]] 싱글음반 자켓 [youtube(zDl_0gOUejU)] PV 영상. 초반에 버럭 소리를 지르기 때문에 듣기 전에 볼륨을 조금 줄여두는 것이 좋다.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여주인공은, [[원한 해결 사무소]]의 주인공 [[키노시타 아유미]]. 2009년 8월 23일에 발매되었다. 수록곡은 꿈도 희망도 없는 내용의 가사가 특징. 드라마 [[원한 해결 사무소]] REBOOT의 오프닝으로 수록되었다. === [[유비트 시리즈]]에 수록 === ||<-4> jubeat copious append 기준 || ||<|2> 레벨 || BASIC || ADVANCED || EXTREME || || 3 || 6 || 7 || || 노트수 || 167 || 349 || 501 || || BPM ||<-3> 171 || || 곡 이력 ||<-3>[[유비트 리플즈 어펜드]]에서 첫 수록[br][[유비트 소서]]에서 출시 전 삭제||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원곡으로 수록되었다. 후반의 16비트 트릴만 조심하면 엑설런트 찍기는 무난한 편이다. 여담으로, [[유비트 리플즈]]시절까지는 [[일본어]]에서 や행(や,ゆ,よ)으로 시작하는 곡이 없었으나, [[유비트 리플즈 어펜드]]에서 이 곡과 [[夢見る少女じゃいられない]]가 들어오게 되면서 최초의 や행 곡이 되었다. [[유비트 니트 어펜드]]까지는 한 플레이에서 や행으로 시작하는 곡만 하면 주는 'やっぱりや行'이라는 칭호도 있었다. == 여담 == 2018년 중국공안부가 발표한 신생아인명통계에 따르면 梦이 신생아 이름에 44번째로 많이 쓰인 한자이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