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埋}}}묻을 매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土|{{{#000,#fff 土}}}]],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マ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める, う-まる, う-もれる,[br]{{{#c88 い-ける, うず-まる,[br]うず-める, うず-もれ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ái, m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埋는 ''''묻을 매''''라는 [[한자]]이다. '묻다', '메우다', '채우다', '감추다'의 뜻으로 쓰이는 게 보통이며, 나아가 '장사를 지내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7C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GWG(土田土)로 입력한다. == 자원 == 훈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음을 나타내는 [[里]](마을 리)가 합쳐진 [[형성자]]로 里는 薶(묻을 매)의 생략형이다. [[파일:埋갑골1.png]]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흙구덩이를 파고 소(牛)를 거꾸로 넣고 주변에 흙을 뿌린 것을 그렸다. 주위의 토사는 생략되기도 하고 소 대신에 개(犬), 양(羊), 사슴(鹿)이 들어가기도 한다. [[전서]]로 오게 되면 자형이 크게 변해서 구덩이와 가축이 모습이 里가 되었고 동물과 풀이 자란 것을 나타낸 薶(U+85B6)로 바뀌었다. 이것의 생략형에 흙(땅)에 묻는다는 의미를 분명히 하여 土가 덧붙은 것이 埋다. == 용례 == === [[단어]] === * 매립(埋[[立]]) * 매명(埋[[名]]) * 매몰(埋[[沒]]) * [[매몰 비용]](埋[[沒]][[費]][[用]]) * [[매복]](埋[[伏]]) * 매설(埋[[設]]) * [[매장]](埋[[葬]]) * [[생매장]]([[生]]埋[[葬]]) * [[암매장]]([[暗]]埋[[葬]]) * [[매장]](埋[[藏]]) * 매장량(埋[[藏]][[量]]) * 매장물(埋[[藏]][[物]]) * 매장지(埋[[藏]][[地]]) * 매향(埋[[香]]) === [[고사성어]]/[[숙어]] === 유명한 한문 서적 추구(推句)에 나온 성어가 있다. * 耕田埋春色汲水斗月光(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밭갈 경]], [[밭 전]], [[묻을 매]], [[봄 춘]], [[빛 색]], [[미칠 급]], [[물 수]], [[말 두]], [[달 월]], [[빛 광]]).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한다는 의미이다. * 埋頭沒身(매두몰신) 일에 파묻혀 헤어나지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 埋玉(매옥) 옥(玉)을 파묻는다는 뜻으로, 곧 훌륭한 사람이 세상이 떠나고 땅에 묻힌다는 의미이다. === [[창작물]] === * 龍ヶ嬢七々々の埋蔵金([[류가죠 나나나의 매장금]]) == 유의자 == * [[瘞]](묻을 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悝]](근심할 리, 농할 회) * [[理]](다스릴 리) * [[娌]](동서 리) * [[鋰]](리튬 리) * [[䋥]](문채 리) * [[艃]](배 리) * [[狸]](삵 리) * [[貍]](삵 리, 묻을 매, 썩는냄새날 울) * [[梩]](삼태기 리) * [[裡]](속 리) * [[俚]](속될 리) * [[𦎐]]^^[⿰羊里]^^(양이름 리) * [[哩]](어조사 리) * [[鯉]](잉어 리) * [[䧉]](정자이름 리) * [[粴]](킬로미터 리) * [[浬]](해리 리) * [[𦓵]]^^[⿰耒里]^^(보습 사)[* [[耜]](따비/보습 사)의 [[동자#s-2]]] * [[捚]](손바닥에받을 재) * [[𠗔]]^^[⿰冫里]^^ * [[𰆯]]^^[⿰去里]^^ * [[𢃇]] * [[𱝝]]^^[⿰弓里]^^ * [[𤖃]]^^[⿰爿里]^^ * [[𭮔]]^^[⿰歹里]^^ * [[𪱁]]^^[⿰易里]^^ * [[𭧰]]^^[⿰星里]^^ * [[𥚃]] * [[𥓄]]^^[⿰石里]^^ * [[𥆼]]^^[⿰目里]^^ * [[𭻕]]^^[⿰田里]^^ * [[𰤈]]^^[⿰痣里]^^ * [[𧋎]]^^[⿰虫里]^^ * [[𦕸]]^^[⿰耳里]^^ * [[𨁫]]^^[⿰𧾷里]^^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䨪]](흙비 매)[* [[霾]](흙비 매)의 [[동자#s-2]]] * [[榸]](마른나무뿌리 채) * [[𠹺]] * [[𪤿]]^^[⿱⿰夕夕埋]^^ * [[𢆪]]^^[⿱幸埋]^^ * [[𱝁]]^^[⿰幸埋]^^ * [[𫮷]]^^[⿰埋咅]^^ * [[𢲪]]^^[⿰扌埋]^^ * [[𱧮]]^^[⿰氵埋]^^ * [[𪰹]]^^[⿱日埋]^^ * [[𦷯]]^^[⿱艹埋]^^ * [[𱿊]]^^[⿱蓬埋]^^ * [[𥕄]]^^[⿰石埋]^^ * [[𦄆]]^^[⿰糸埋]^^ * [[𰳎]]^^[⿱埋虫]^^ * [[𱼼]]^^[⿰舟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