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因}}}인할 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囗|{{{#000,#fff 囗}}}]],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イ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よ-る, {{{#c88 ちなみ, ちな-む, よす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ī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因은 ''''인할 인''''이라는 [[한자]]로, '인(因)하다'[* 정작 현실에서는 '인할', '인하는', '인하며' 등으로 [[불완전 동사|활용되지 않고]] '인하여(서)', '인한'으로만 활용되므로 '인할'은 사실상 [[자전(사전)#낡은 훈풀이|낡은 훈풀이]]이다.], '말미암다', '[[원인]](原因)', '까닭'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56E0에 배정되어있다. [[파일:因 자형 변천과정.jpg]] [[囗]]([[에워쌀 위]])와 [[大]]([[큰 대]])[* 여기서는 사람이 누워있는 모양을 나타낸다.]가 합쳐진 [[회의자]]로, '''사람이 방석([[囗]])에 누워있는([[大]]) 모습'''을 나타낸다. 그래서 원래 뜻은 [[자리]]였으나 후에 [[艹]](초두머리)를 붙인 茵(자리 인)으로 바뀌고 [[원인]]이라는 뜻이 추가되어 지금의 因이 되었다. 因을 음으로 가져다 쓰는 한자의 음은 대부분 '인' 또는 '은'이다. 대표적으로 [[恩]]([[은혜 은]]), [[姻]]([[혼인 인]]), [[咽]]([[목구멍 인]])이 있다. [[이체자]]로는 囙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기인]]([[起]]因/[[基]]因) * 동인([[動]]因) * 무인([[無]]因) * [[변인]]([[變]]因) * [[사인]]([[死]]因/[[事]]因) * 승인([[勝]]因) * 실인([[實]]因) * 외인([[外]]因) * [[요인]]([[要]]因) * [[원인]]([[原]]因) * 인공(因[[公]]) * [[인과]](因[[果]]) * 인과관계(因[[果]][[關]][[係]]) * [[인과율]](因[[果]][[律]]) * 인병(因[[病]]) * [[인수#s-1]](因[[數]]) * [[소인수]]([[素]]因[[數]]) * [[소인수 계량 함수]]([[素]]因[[數]] [[計]][[量]] [[函]][[數]]) * [[소인수분해]]([[素]]因[[數]][[分]][[解]]) * [[인수분해]](因[[數]][[分]][[解]]) * 인순(因[[循]]) * [[인습]](因[[習]]/因[[襲]]) * [[인연]](因[[緣]]) * 인의(因[[依]]) * [[패인#s-1|패인]]([[敗]]因) === [[고사성어]]/[[숙어]] === * [[인과응보]](因[[果]][[應]][[報]]) * 인순고식(因[[循]][[姑]][[息]]) * 인인성사(因[[人]][[成]][[事]]) === [[인명]] === * [[김인위]]([[金]]因[[渭]]) * [[노인 법사]]([[能]]因 [[法]][[師]]) * [[이나바 카게로자]](因[[幡]] [[影]][[狼]][[佐]]) * [[이나바 테위]](因[[幡]] てゐ) * [[이나바 하네루]](因[[幡]] はねる) * [[환인]]([[桓]]因) === [[지명#s-2]] === === [[창작물]] === * [[原因は自分にある。]]: 일본의 음반 === 기타 === * [[원인은 자신에게 있다.|原因は自分にある。]]([[원인은 자신에게 있다.]]): 일본의 보이그룹 == 유의자 == * [[緣]](인연 연) * [[由]](말미암을 유) * [[仍]](인할 잉) *[[依]](의지할 의)[* '인하다'는 어떤 사건으로 말미암을 때, '의하다'는 누구나 무엇으로 말미암을 때. 이 뜻으로 쓰이는 '의하다'는 [[번역체 문장/영어·일본어 공통 번역체|번역체]]이기도 하다.] == 반대자 == * [[果]](열매 과)[* 인과(因果)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因은 원인을, 果는 결과를 뜻한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困]](곤할 곤) * [[囚]](가둘 수)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