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嗔}}}성낼 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シ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いか-り, いか-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ē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嗔은 ''''성낼 진''''이라는 [[한자]]로, '성내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음을 나타내는 [[眞]](참 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55D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JBC(口十月金)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원진(동음이의어)#s-1|원진]]([[元]]嗔) * [[원진살]]([[元]]嗔[[煞]]) * 진갈(嗔[[喝]]) * 진심(嗔[[心]]) * 진언(嗔[[言]]) * 진에(嗔[[恚]]) * 진욕(嗔[[慾]]) * 진책(嗔[[責]]) === [[고사성어]]/[[숙어]] === * 농과성진([[弄]][[過]][[成]]嗔) * 회진작소([[回]]嗔[[作]][[笑]])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愾]](성낼 개) * [[洸]](성낼 광) * [[䫴]](성낼 금) * [[𧨚]](성낼 녈) * [[怒]](성낼 노) * [[嫼]](성낼 묵) * [[怀]](성낼 부) * [[憤]](분할 분) * [[忿]](성낼 분) * [[奰]](성낼 비) * [[𧮆]](성낼 앵) * [[𢛨]](성낼 어) * [[恚]](성낼 에) * [[悁]](성낼 연/조급할 견) * [[𠱝]](성낼 열) * [[噁]](성낼 오) * [[慍]](성낼 온) * [[䚴]](성낼 왈) * [[愑]]/[[愹]](성낼 용) * [[讉]](성낼 유) * [[𢖫]](성낼 의) * [[懠]](성낼 제) * [[䞣]](성낼 차) * [[懥]]/[[懫]]/[[𧪡]](성낼 치) * [[怶]](성낼 피) * [[撊]](성낼 한) * [[悻]](성낼 행) * [[奭]]/[[嚇]](성낼 혁) * [[喛]](성낼 환) * [[譮]](성낼 홰) * [[謢]](성낼 획) * [[哮]](성낼 효) * [[𢜴]](성낼 후)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愼]](삼갈 신) * [[槇]](나무 끝 전) * [[塡]](메울 전) * [[𩄠]](빗소리 전) * [[瑱]](귀막이옥 진) * [[縝]](맺을 진) * [[禛]](복받을 진) * [[瞋]](부릅뜰 진) * [[䐜]](부을 진) * [[稹]](빽빽할 진) * [[䡩]](수레 뒤쪽 가로장 진) * [[鎭]](진압할 진) * [[㣀]](튕길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