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喪}}}잃을 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も, {{{#c88 うしな-う, ほろ-びる, ほろ-ぼす}}}}}}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āng, s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喪획순.gif|width=100]] 喪의 획순 [목차] [clearfix] == 개요 == 喪은 ''''잃을 상''''이라는 [[한자]]로, '잃다', '죽다', '[[상례]](喪禮)' 등을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잃다 || || {{{-1 '''음'''}}} ||<-2>상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āng ||sàng || || {{{-1 '''[[광동어]]'''}}} ||song^^1^^ ||song^^3^^ || || {{{-1 '''[[객가어]]'''}}} ||sông ||song || || {{{-1 '''[[민북어]]'''}}} ||só̤ng ||so̤̿ng || || {{{-1 '''[[민동어]]'''}}} ||sŏng ||sáung || || {{{-1 '''[[민남어]]'''}}} ||song[*文 [[문독]]] / sng[*白 [[백독]]] ||sòng || || {{{-1 '''[[오어]]'''}}} ||saan (T1) ||saan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2>ソウ || || {{{-1 '''훈독'''}}} ||<-2>も, {{{#c88 うしな-う, ほろ-びる, ほろ-ぼす}}} || ||<-4> || ||<-2> '''[[베트남어]]''' ||tang ||táng || [[유니코드]]에는 U+55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RRV(土口口女)로 입력한다. 원래 [[갑골문]]에서 이 글자는 뽕나무 사이에 [[口]](입 구) 여러 개가 끼어 있는 형태로 그려져,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桑]](뽕나무 상)이 합쳐진 [[형성자]]였다. [[금문]]에 이르면 밑에 [[亡]](망할 망)이 추가되는데, 이는 뜻과 소리를 동시에 나타낸다. [[소전]]에서 桑이 일그러져 [[犬]](개 견)과 같은 형태가 되고, [[예서]]에서 형태가 전체적으로 뭉개져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장례', '상'(喪)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사성|평성]]으로, '잃다', '죽다'와 같은 뜻을 나타낼 때는 [[사성|거성]]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경심상담([[驚]][[心]]喪[[膽]]) * 도령상 구방상([[都]][[令]]喪 [[九]][[方]][[相]]) * 득상([[得]]喪) * 모상([[耗]]喪) * [[상#s-1.3]](喪) * 거상([[居]]喪) * 불근거상([[不]][[謹]][[居]]喪) * 거애임상([[擧]][[哀]][[臨]]喪) * [[국상#s-1]]([[國]]喪) * 기상([[己]]喪) * 내간상([[內]][[艱]]喪) * 내상([[內]]喪) * 소내상([[小]][[內]]喪) * 단상([[短]]喪) * 당상([[當]]喪) * 대상([[大]]喪/[[代]]喪) * 도상([[悼]]喪) * 면상([[免]]喪) * 모상([[母]]喪) * 조모상([[祖]][[母]]喪) * 모상([[冒]]喪) * 몽상([[蒙]]喪) * [[문상]]([[問]]喪) * 문상객([[問]]喪[[客]]) * 반상([[返]]喪) * [[발상#s-3]]([[發]]喪) * 비불발상([[祕]][[不]][[發]]喪) * 백일상([[百]][[日]]喪) * 벌상([[伐]]喪) * 변상([[變]]喪) * 복상([[服]]喪) * 본인상([[本]][[人]]喪) * [[부상#s-8]]([[父]]喪) * 조부상([[祖]][[父]]喪) * 부상([[夫]]喪) * 분상([[奔]]喪) * 불승상([[不]][[勝]]喪) * [[삼년상]]([[三]][[年]]喪) * 삼상([[三]]喪) * [[상가#s-8]](喪[[家]]) * 상고(喪[[故]]) * [[상구#s-3]](喪[[具]]) * 상기(喪[[期]]) * 상란(喪[[亂]]) * [[장례식|상례]](喪[[禮]]) * 상립(喪[[笠]]) * 상망(喪[[亡]]) * 상문(喪[[門]]) * 상문살(喪[[門]][[煞]]) * 상문상(喪[[門]][[床]]) * 상배(喪[[配]]) * 상백(喪[[魄]]) * 혼상백치([[魂]]喪[[魄]][[褫]]) * 상변(喪[[變]]) * 상보(喪[[報]]) * [[상복]](喪[[服]]) * 상복도(喪[[服]][[圖]]) * 상복도감(喪[[服]][[都]][[監]]) * 상복법(喪[[服]][[法]]) * 상부(喪[[夫]]) * 상부살(喪[[夫]][[煞]]) * 상부(喪[[父]]) * [[상비#s-3]](喪[[費]]) * 상사(喪[[事]]) * 좌수상사([[座]][[首]]喪[[事]]) * 상선(喪[[扇]]) * 상수(喪[[需]]) * 상수미(喪[[需]][[米]]) * 상심(喪[[心]]) * [[상여]](喪[[輿]]) * 남상여([[男]]喪[[輿]]) * 여상여([[女]]喪[[輿]]) * 상여(喪[[餘]]) * 상용물(喪[[用]][[物]]) * 상우(喪[[偶]]) * 상유(喪[[帷]]) * 상인(喪[[人]]) * [[상장#s-4]](喪[[杖]]) * 오동상장([[梧]][[桐]]喪[[杖]]) * 상장(喪[[葬]]) * 상장례(喪[[葬]][[禮]]) * 상장의궤(喪[[葬]][[儀]][[軌]]) * 상장지절(喪[[葬]][[之]][[節]]) * [[상장#s-4]](喪[[章]]) * 상제(喪[[祭]]) * 상제(喪[[制]]) * 출환상제 추입제청([[出]][[還]]喪[[制]] [[趨]][[入]][[祭]][[廳]]) * [[상조]](喪[[助]]) * [[상주(장례)|상주]](喪[[主]]) * 섭상주([[攝]]喪[[主]]) * 상주(喪[[酒]]) * 상중(喪[[中]]) * 상중납비(喪[[中]][[納]][[妃]]) * 상채(喪[[債]]) * [[상처#s-2]](喪[[妻]]) * 상청(喪[[廳]]) * 상체(喪[[遞]]) * 상측(喪[[側]]) * 상탈(喪[[頉]]) * 상포(喪[[布]]) * 상포계(喪[[布]][[契]]) * [[상혼]](喪[[婚]]/喪[[魂]]) * [[소상#s-4]]([[小]]喪) * 수상([[隨]]喪) * 순상([[順]]喪) * 심상([[心]]喪) * 심상인([[心]]喪[[人]]) * [[악상(죽음)|악상]]([[惡]]喪) * 애상([[哀]]喪) * 여상([[女]]喪) * [[연상#s-2]]([[連]]喪) * 완상([[頑]]喪) * 외간상([[外]][[艱]]喪) * 외상([[外]]喪) * 운상([[運]]喪) * 재상([[在]]喪) * 저상([[沮]]喪) * 의기저상([[意]][[氣]][[沮]]喪) * 제상([[除]]喪) * 조상([[弔]]喪) * 조상객([[弔]]喪[[客]]) * 종상([[終]]喪) * 종신지상([[終]][[身]][[之]]喪) * 주상([[主]]喪) * [[중상#s-9]]([[重]]喪) * 승중상([[承]][[重]]喪) * 집상([[執]]喪) * 참상([[慘]]喪) * 처상([[妻]]喪) * 초상([[初]]喪) * 생초상([[生]][[初]]喪) * 초상계([[初]]喪[[契]]) * 초상록([[初]]喪[[錄]]) * 초상중([[初]]喪[[中]]) * 출상([[出]]喪) * [[치상#s-3]]([[治]]喪) * 친상([[親]]喪) * 모친상([[母]][[親]]喪) * 부친상([[父]][[親]]喪) * 타상([[墮]]喪) * 탁상([[椓]]喪) * 탈상([[脫]]喪) * 패상([[敗]]喪) * 하상([[下]]喪) * 해상([[解]]喪) * 형제상([[兄]][[弟]]喪) * 호상([[護]]喪) * 호상객([[護]]喪[[客]]) * 호상소([[護]]喪[[所]]) * 호상원([[護]]喪[[員]]) * 호상차지([[護]]喪[[次]][[知]]) * [[호상#s-1]]([[好]]喪) * 혼상([[婚]]喪) * 상국(喪[[國]]) * 상기(喪[[氣]]) * 낙담상기([[落]][[膽]]喪[[氣]]) * 상성(喪[[性]]) * 상신(喪[[神]]) * [[상실#s-1]](喪[[失]]) * [[기억상실]]([[記]][[憶]]喪[[失]]) * 상실감(喪[[失]][[感]]) * 상실자(喪[[失]][[者]]) * 심신상실자([[心]][[神]]喪[[失]][[者]]) * 정신상실자([[精]][[神]]喪[[失]][[者]]) * 상실증(喪[[失]][[症]]) * [[기억상실증]]([[記]][[憶]]喪[[失]][[症]]) * 전도언어상실증([[傳]][[導]][[言]][[語]]喪[[失]][[症]]) * 시야상실([[視]][[野]]喪[[失]]) * [[심신상실]]([[心]][[神]]喪[[失]]) * 심장기능상실([[心]][[臟]][[機]][[能]]喪[[失]]) * [[자격상실]]([[資]][[格]]喪[[失]]) * 자아감상실([[自]][[我]][[感]]喪[[失]]) * 전자상실원자([[電]][[子]]喪[[失]][[原]][[子]]) * 상채(喪[[彩]]) * 이득비상([[以]][[得]][[裨]]喪) * 전상([[全]]喪) * 행상([[行]]喪) * 휴상([[虧]]喪) * 흥상([[興]]喪) === [[고사성어]]/[[숙어]] === * [[관혼상제]]([[冠]][[婚]]喪[[祭]]) * 낙담상혼([[落]][[膽]]喪[[魂]]) * 동패서상([[東]][[敗]][[西]]喪) * 병풍상성([[病]][[風]]喪[[性]]) * 부재모상([[父]][[在]][[母]]喪) * 삼상불문([[三]]喪[[不]][[問]]) * 상가지구(喪[[家]][[之]][[狗]]) * 상명(喪[[明]]) * 상명지통(喪[[明]][[之]][[痛]]) * 상혼낙담(喪[[魂]][[落]][[膽]]) * 수두상기([[垂]][[頭]]喪[[氣]]) * 완물상지([[玩]][[物]]喪[[志]]) * 완인상덕([[玩]][[人]]喪[[德]]) * 조상부모([[早]]喪[[父]][[母]]) === [[인명]] === * [[모모조노 모모]]([[桃]][[園]] 喪々) === [[지명#s-2]] === * 희상봉([[稀]]喪[[峯]]) === [[창작물]] === * 광해초상록([[光]][[海]][[初]]喪[[錄]]) * 상례보편(喪[[禮]][[補]][[編]])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상례비요(喪[[禮]][[備]][[要]]) * 상례비요변설(喪[[禮]][[備]][[要]][[辨]][[說]]) * 상례비요보(喪[[禮]][[備]][[要]][[補]]) * 상례의주(喪[[禮]][[儀]][[注]]) * 상제례초(喪[[祭]][[禮]][[抄]]) * 상제요록(喪[[祭]][[要]][[錄]]) * 상제집홀(喪[[祭]][[輯]][[笏]]) * 상제촉정례(喪[[祭]][[燭]][[定]][[例]]) * 의례상복편주소의([[儀]][[禮]]喪[[服]][[篇]][[注]][[疏]][[義]]) === 기타 === == 유의자 == * [[閪]](잃을 서) * [[失]](잃을 실) * [[抎]](잃을 운) * [[𢖑]]^^[⿰彳賛]^^(잃을 찬) == 상대자 == * [[得]](얻을 득) * [[敊]](얻을 수) * [[𨵍]]^^[⿵門沾]^^(얻을 점) * [[𤇠]]^^[⿱乎灬]^^(얻을 호) * [[獲]](얻을 획)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畏]](두려워할 외) * [[長]](긴 장)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𩦌]]^^[⿰馬喪]^^(꼬리흰누런말 상)[* [[䮣]](꼬리흰누런말 상)의 [[동자#s-2]]] * [[𦅇]]^^[⿰糸喪]^^(담황색 상) * [[𣾓]]^^[⿰氵喪]^^ * [[𰘧]]^^[⿰木喪]^^ * [[𫟣]]^^[⿰𧾷喪]^^ * [[𬦟]]^^[⿺走喪]^^ * [[𰷑]]^^[⿰貝喪]^^ * [[𫛑]]^^[⿰喪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