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6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和}}}화할 화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ワ, (オ), {{{#c88 カ}}}}}}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やわ-らぐ, やわ-らげる, なご-む,[br]なご-やか, {{{#c88 あ-える, な-ぐ, かず}}}}}}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é, hè, hú, huó, huò, hu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和 화하다, 어우러진다는 뜻의 [[한자]]이다. 대만에서 접사로 쓸 때는 hàn으로 읽는다. 대만어의 접사 hām에 이끌린 발음이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禾]](벼 화)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주요 이체자로는 口 자와 禾 자의 위치가 뒤바뀐 咊(U+548A), 또 口 자 대신 [[龠]](피리 약) 자가 들어간 龢(U+9FA2) 자가 있다.[* 咊는 금문과 소전체이고, 龢는 원형인 갑골문자에서 비롯된 것이다. 咊가 지금까지 쓰였다면 咊가 본자이고 和가 속자인 셈.] [[중국어]]에서는 '그리고', '~와'를 뜻하는 등위 접속사로 자주 쓰인다. 발음은 hé(허).[* [[대만]]에서는 ㄏㄢˋ(hàn)으로 읽을 때가 많다. 오래된 북경 방언에서 hàn/hài/huàng 등으로 발음 되었는데, 이 발음이 세대가 지나면서 hé로 수렴된 것으로 보고 있다. 대만의 경우는 해당 세대가 지나기 전에 대륙에서 이주해 와서 중국어를 전파했기 때문에 hàn 발음이 남아있는 것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자국을 지칭할 때 '和'([[わ]], [[와]])를 자주 사용한다. [[가나(문자)|가나]] [[わ]], ワ도 和로부터 비롯된 글자이다. [[먼나라 이웃나라]]에서는 일본을 상징하는 사상이 '和'로 정리될 수 있다고 하면서, 이것이 [[섬나라]]라는 특성에서 기원한 것일 수 있다고 했다.[* 같은 책에서 [[한국]]은 '[[忠]]'으로, [[중국]]은 '[[一]]'로 상징화할 수 있다고 했다.] 오죽하면 '和', '大和'라고 쓰고 '[[야마토]]'라고 읽는 독음도 있을 정도이다.[* 그래서 [[스타크래프트]]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의 '[[야마토 포]]'도 중국어로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중국식 표기|大和砲]]라고 하고 음으로 읽는다.] 일본어에서는 [[사칙연산]]의 결과값을 뜻하는 和差積商(한국어로는 각각 합, 차, 곱, 몫) 중 덧셈(足し算)의 결과값을 부르는 용어이다. 인명한자로서는 かず로 읽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和가 만엽집의 시에서 '합치다'는 의미를 가진채 かて로 활용된 모습(기본형은 かつ)으로 처음 등장하고 음운 변화가 나타난 것이라는 설, 和의 발음이 숫자를 의미하는 [[數|数]](かず)와 같고 덧셈의 결과값을 和라고 부른다는 점에서 운수가 좋은 글자(縁起物)로 취급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和에는 화합, 합치다, 누그러지다라는 뜻이 있다.[[https://blog.goo.ne.jp/shugohairanai/e/c50a35bd8fff22a378f89a145531b4da|#]] A와 B의 합 A+B는 和 이고 A와 B의 곱 A*B는 [[積]]이다. '포화', '[[중화반응|중화]]' 등 물질을 자주 섞는 [[화학]] 분야에서 용어로 자주 쓰인다. '-化'를 쓰는 단어들도 있고 의미가 사뭇 다를 때도 있다. '수화'(水和/水化)처럼 둘 다 쓸 수 있는 예도 있다. == 용례 == === [[단어]] === * [[강화]]([[講]]和) * 강화조약([[講]]和[[條]][[約]]) * 강화회의([[講]]和[[會]][[議]]) * [[단독강화]]([[單]][[獨]][[講]]和) * [[공화]]([[共]]和) * [[공화국]]([[共]]和[[國]]) * [[공화당]]([[共]]和[[黨]]) * [[동화]]([[同]]和) * [[부화]]([[附]]和) * [[불화]]([[不]]和) * [[가정불화]]([[家]][[庭]][[不]]和) * [[쌍화탕]]([[雙]]和[[湯]]) * [[안화]]([[安]]和) * 온화([[溫]]和) * 완화([[緩]]和) * [[위화감]]([[違]]和[[感]]) * 유화([[柔]]和) * 융화([[融]]和) * [[조화]]([[調]]和) * 공기조화([[空]][[氣]][[調]]和) * [[모음조화]]([[母]][[音]][[調]]和) * 부조화([[不]][[調]]和) * [[중화(동음이의어)|중화]]([[中]]和) * 척화([[斥]]和) * 친화([[親]]和) * 태화([[太]]和) * [[평화]]([[平]]和) * 강국제평화기구([[國]][[際]][[平]]和[[機]][[構]]) * [[만국평화회의]]([[萬]][[國]][[平]]和[[會]][[議]]) * 평화공존([[平]]和[[共]][[存]]) * [[평화선]]([[平]]和[[線]]) * 평화적([[平]]和[[的]]) * 평화통일([[平]]和[[統]][[一]]) * [[포화]]([[飽]]和) * [[포화상태]]([[飽]]和[[狀]][[態]]) * 협화([[協]]和) * [[협화어]]([[協]]和[[語]]) * [[화과자]](和[[菓]][[子]]) * 화답(和[[答]]) * 화락(和[[樂]]) * [[화목]](和[[睦]]) * [[화백]](和[[白]]) * [[화백회의]](和[[白]][[會]][[議]]) * [[화상]](和[[尙]]) * 화색(和[[色]]) * [[화성]](和[[聲]]) * [[화성학]](和[[聲]][[學]]) * 화약(和[[約]]) * [[화음]](和[[音]]) * 화의(和[[議]]) * [[화창]](和[[暢]]) * 화친(和[[親]]) * 화합(和[[合]]) * [[화해]](和[[解]]) === [[고사성어]]/[[숙어]] ===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오족협화]]([[五]][[族]][[協]]和) * 화기애애(和[[氣]][[靄]][[靄]]) * 화이부동(和[[而]][[不]][[同]]) === [[창작물]] === * [[나옹화상가송]]([[懶]][[翁]]和[[尙]][[歌]][[頌]]) * 나옹화상어록([[懶]][[翁]]和[[尙]][[語]][[錄]]) === [[중국어]] === 중국어로 和는 주로 ~과 라는 뜻의 접속사로 사용한다. * [[허셰]](和[[諧]]) - [[검열]]당하는 특수한 사정상 중국어 발음이 같은 [[동음이의어]] '河蟹'라고도 적는다. === [[일본어]] === 한국어에서 대개 '일-'([[日]])을 넣는 단어들이 일본어에서는 '和-'가 된다. '[[일본 요리|일식]]'(日食)도 和食인 등. * [[겐나]](元和) * [[메이와]](明和) * [[쇼와 시대|쇼와]]([[昭]]和) * [[레이와 시대|레이와]]([[令]]和) * [[오란다]](和[[蘭]]): 한국식으로 '화란'도 간간히 쓰인다. 앞 글자를 줄이면 일본 자국을 줄이는 '和'하고 같은 탓인지 대개 '蘭'으로 줄인다('난학' 등). * [[야마토]]([[大]]和) 동사로 쓸 때는 “나고”로 훈독한다. 예를 들어 和む(なごむ, 나고무)는 진정시키다, 화를 가라앉히다 등의 의미이다. 인명으로 和를 쓸 때도 “나고무”로 읽는 경우가 있다. === [[인명]] === * [[강경화]]([[康]][[京]]和) * [[김정화]]([[金]][[晶]]和) * [[류화영]]([[柳]]和[[榮]]) * [[마루오카 와카나]]([[丸]][[岡]] 和[[佳]][[奈]]) * [[사이죠 나고미]]([[西]][[條]] 和) * [[사이토 치와]]([[斎]][[藤]] [[千]]和) * [[사화현]]([[謝]]和[[弦]]) * [[악화(수호전)|악화]]([[樂]]和) * [[야마모토 카즈토미]]([[山]][[本]] 和[[臣]]) * [[야마토 알렉산더]]([[大]]和 アレクサンダー) * [[엄화생]]([[嚴]]和[[生]]) * [[와라쿠바미 스미카]](和[[楽]][[喰]] [[淑]][[光]]) * [[와쿠이 유우]](和[[久]][[井]] [[優]]) * [[와키 아즈미]](和[[氣]] あず[[未]]) * [[이나미네 카즈이치]]([[稲]][[嶺]] 和[[市]]) * [[이문화]]([[李]][[文]]和) * [[이화성]]([[李]]和[[星]]) * [[이화수]]([[李]]和[[洙]]) * [[임화]]([[林]]和) * [[장은화]]([[張]][[恩]]和) * [[전인화]]([[錢]][[忍]]和) * [[정승화]]([[鄭]][[昇]]和) * [[정용화]]([[鄭]][[容]]和) * [[정화(명나라)|정화]]([[鄭]]和) * [[정화궁주]]([[貞]]和[[宮]][[主]]) * [[차화연]]([[車]]和[[娟]]) * [[카즈노미야 치카코 내친왕]](和[[宮]][[親]][[子]][[內]][[親]][[王]]) * [[하나마키 토와]]([[花]][[巻]] [[乙]]和) * [[현정화]]([[玄]][[靜]]和) * [[홍윤화]]([[洪]][[允]]和) * [[홍화리]]([[洪]]和[[里]]) * [[화억옹주]](和[[憶]][[翁]][[主]])[*A [[조선]] [[영조]]의 딸] * [[화순옹주]](和[[順]]翁主)[*A] * [[화평옹주]](和[[平]]翁主)[*A] * 화덕옹주(和[[德]]翁主)[*A] * [[화협옹주]](和[[協]]翁主)[*A] * [[화완옹주]](和[[緩]]翁主)[*A] * [[화유옹주]](和[[柔]]翁主)[*A] * [[화령옹주]](和[[寧]]翁主)[*A] * [[화길옹주]](和[[吉]]翁主)[*A] * [[후루하타 나오]]([[古]][[畑]] [[奈]]和) * [[후와 마와타]]([[不]]和 [[真]][[綿]]) * [[웨이펑허]]([[魏]][[凤]]和) * [[이토 카즈에]](伊藤 和枝) === [[지명#s-2]] === * 황해북도 [[중화군]]([[中]]和[[郡]]) *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和[[道]][[邑]]) * 일본 [[와카야마현]](和[[歌]][[山]][[県]]) *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和[[歌]][[山]][[市]]) * 서울특별시 [[이화교]]([[里]]和[[橋]]) * 중국 지린성 연변 [[화룡시]](和[[龙]][[市]]) *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和[[順]][[邑]]) * [[중화역]] *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 == 유의자 == * [[旼]](화할 민) * [[雍]](화할 옹) * [[沖]](화할 충) * [[諧]](화할 해) * [[協]](화할 협) * [[冾]](화할 협) * [[龢]](화할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