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告}}}고할 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げ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告는 ''''고할 고''''라는 [[한자]]로, '고(告)하다', '알리다'를 뜻한다. 그래서 ''''알릴 고''''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44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GR(竹土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음을 나타내는 [[牛]](소 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홍콩에선 이와 같은 형성 원리를 잘 살려 吿라고 쓴다. == 용례 == === [[단어]] === * [[경고]]([[警]]告) * 경고문([[警]]告[[文]]), 경고반응([[警]]告[[反]][[應]]) * [[고발]](告[[發]]) * [[고백]](告[[白]]) * 고별(告[[別]]) * [[고사]](告[[祀]]) * [[고소(법률)|고소]](告[[訴]]) * [[고시]](告[[示]]) * 고자질(告[[者]]질) * [[고지]](告[[知]]) * 고지서(告[[知]][[書]]) * 고해(告[[解]]) * [[고해성사]](告[[解]][[聖]][[事]]) * [[공고]]([[公]]告) * [[광고]]([[廣]]告) * [[간접광고]]([[間]][[接]][[廣]]告) * [[공익광고]]([[公]][[益]][[廣]]告) * [[옥외광고물|옥외광고]]([[屋]][[外]][[廣]]告) * [[중간광고]]([[中]][[間]][[廣]]告) * [[지역광고]]([[地]][[域]][[廣]]告) * [[허위광고]]([[虛]][[僞]][[廣]]告) * [[권고]]([[勸]]告) * [[권고사직]]([[勸]]告[[辭]][[職]]) * [[무고]]([[誣]]告) * [[무고죄]]([[誣]]告[[罪]]) * [[밀고]]([[密]]告) * [[보고]]([[報]]告) * 결산보고([[決]][[算]][[報]]告), 경과보고([[經]][[過]][[報]]告), [[보고서]]([[報]]告[[書]]), 보고장([[報]]告[[狀]]) * [[부고]]([[訃]]告/[[赴]]告) * [[불고불리]]([[不]]告[[不]][[理]]) * [[상고]]([[上]]告) * [[상고법원]]([[上]]告[[法]][[院]]), [[상고심]]([[上]]告[[審]]) * [[선고]]([[宣]]告) * [[선고유예]]([[宣]]告[[猶]][[豫]]) * [[신고]]([[申]]告) * 개인신고([[改]][[印]][[申]]告), 결근신고([[缺]][[勤]][[申]]告), 분실신고([[紛]][[失]][[申]]告), 세관신고서([[稅]][[關]][[申]]告[[書]]), [[혼인신고]]([[婚]][[姻]][[申]]告) * [[예고]]([[豫]]告) * [[원고]]([[原]]告) * [[충고]]([[忠]]告) * [[친고죄]]([[親]]告[[罪]]) * [[통고]]([[通]]告) * [[포고]]([[布]]告) * [[선전포고]]([[宣]][[戰]][[布]]告) * [[피고]]([[被]]告) * [[피고인]]([[被]]告[[人]]) * [[항고]]([[抗]]告) * [[재항고]]([[再]][[抗]]告), 항고심([[抗]]告[[審]]) === [[고사성어]]/[[숙어]] === * [[出]]告[[反]][[面]](출'''곡'''반면[* 거의 대부분의 경우 '고'로 읽지만 예외적으로 '곡'으로 읽는다.]) : 나갈 때 아뢰고 들어올 때 뵙는다. 밖에 나갈 일이 있을 때는 매번 부모에게 가는 곳을 아뢴다. (出必告反必面으로도 많이 쓴다.) === [[창작물]] === * [[予告]] * [[透明はまだらに世界を告げて]]([[투명은 얼룩에 세계를 알리고]]) * [[かぐや様は告らせたい 〜天才たちの恋愛頭脳戦〜]]([[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 기타 === * [[학사경고|학고]]([[學]]告): [[학사경고]]의 준말 == 유의자 == * [[嚳]](고할 곡) * [[祈]](빌 기) * [[㿦]](고할 녕) * [[紏]](고할 두) * [[報]](갚을 보/알릴 보) * [[誓]](맹서할 서) * [[諗]](고할 심) * [[語]](말씀 어) * [[謂]](이를 위) * [[聄]](고할 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古]](예 고) * [[吉]](길할 길) * [[眚]](재앙 생) * [[先]](먼저 선) * [[舌]](혀 설) * [[占]](점령할 점) 한자는 아니지만 '쏨'하고도 모양이 비슷하다. [[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