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5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切}}}끊을 절, 온통 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刀|{{{#000,#fff 刀}}}]],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ツ, (サ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き-る, き-れ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iē, q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切는 ''''끊을 절'''' 또는 ''''온통 체''''라는 [[한자]]로, '끊다', '베다', '온통'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20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PSH(心尸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刀]](칼 도)와 음을 나타내는 [[七]](일곱 칠)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七은 끊다는 뜻의 [[十]]에서 왔는데, [[10]]을 나타내는 丨이 十으로 변형되고, 아래획이 굽은 뒤에 '일곱'이란 뜻으로 가차되었다. 대신 刀를 넣어서 '끊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한국에서는 '칠'에서 '절'로 바뀌는 것이 어색한 편이지만 중국어 병음으로는 七[qī]와 切[qiē]로 바뀌어 七이 음부로 들어간 것이다. 한자로 '끊을 절'자만 무려 '''3개'''다. 각각 '[[絶]]'자와 '[[截]]'자로 의미와 사용하는 곳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면 안 된다. 특히나 切과 絶은 혼동하기가 굉장히 쉽다. 참고로 표준중국어로는 3자 모두 발음이 다르다. [[初]](처음 초)와 함께 [[刀]]가 '방' 자리에 위치할 때 刂로 변하지 않는 한자이다. 일본 훈독인 '키리'는 현지 창작물에서 검이나 검사 캐릭터의 이름에 많이 붙인다. [[아메노하바키리|아메노하바''키리'']], [[세츠나(반요 야샤히메)|유카리노타치''키리'']], [[키리토|''키리''토]] 등등... == 용례 == === [[단어]] === * 간절([[懇]]切) * 단절([[斷]]切) * 단절기([[斷]]切[[機]]) * 단절면([[斷]][[切]]面) * 단절선([[斷]]切[[線]]) * 대절([[貸]]切) * 두절([[頭]]切) * 두절목([[頭]]切[[木]]) * 박절([[迫]]切) * 반절([[半]]切) * 사륙반절([[四]][[六]][[半]]切) * [[반절]]([[反]]切) * 반절본문([[反]]切[[本]][[文]]) * [[반절표]]([[反]]切[[表]]) * 애절([[哀]]切) * '''일절/일체'''([[一]]切)[* 똑같이 '一切'로 쓰는데 '일절'로 읽느냐, '일체'로 읽느냐에 따라 뜻이 '''완전히 바뀐다!'''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211400|일절]]과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240300|일체]] 참조.]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화엄경]]의 핵심 사상으로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뜻. * [[적절]]([[適]]切) * 부적절([[不]][[適]]切) * 절감(切[[感]]) * 절개(切[[開]]) * [[제왕절개]]([[帝]][[王]]切[[開]]) * [[절단]](切[[斷]]) * 산소절단([[酸]][[素]]切[[斷]]) * [[절단기]](切[[斷]][[機]]) * 절단면(切[[斷]][[面]]) * [[절망#s-2]](切[[望]]) * 절박(切[[迫]]) * 절상(切[[上]]) * 절실(切[[實]]) * 절취(切[[取]]) * 절치(切[[齒]]) * 추흉절치([[槌]][[胸]]切[[齒]]) * [[절친]](切[[親]]) * 절하(切[[下]]) * 평가절하([[平]][[價]]切[[下]]) * [[처절]]([[凄]]切) * [[친절]]([[親]]切) * [[절제#s-2|절제]](切[[除]]) === [[고사성어]]/[[숙어]] === * 교아절치([[咬]][[牙]]切[[齒]]) * 나절([[羅]]切) * 노파심절([[老]][[婆]][[心]]切) * 절마(切[[摩]]) * 절마(切[[磨]]) * 절마잠규(切[[磨]][[箴]][[規]]) * 절차(切[[磋]]) * [[절차탁마]](切[[磋]][[琢]][[磨]]) * [[절치부심]](切[[齒]][[腐]][[心]]) * 절치액완(切[[齒]][[扼]][[腕]]) === [[인명]] === * [[네네키리 후타라]]([[祢]]々切 ふたら) * [[망절]]([[網]]切): 한국의 성씨 * [[쇼쿠다이키리 미츠타다]]([[燭]][[台]]切 [[光]][[忠]]): [[도검난무]]의 등장인물 * [[아카츠키 키리카]]([[暁]] 切[[歌]]) * [[야만바기리 쿠니히로]]([[山]][[姥]]切 [[国]][[広]]) * [[에미야 키리츠구]]([[衛]][[宮]] 切[[嗣]]) * [[오다기리 조]]([[小]][[田]]切 [[譲]]) * [[오시키리 렌스케]]([[押]]切 [[蓮]][[介]]) * [[치기리 효마]]([[千]]切 [[豹]][[馬]]) * [[카마키리 토가루]]([[鎌]]切 [[尖]]) * [[키리시마 에이지로]](切[[島]] [[鋭]][[児]][[郎]]) * [[키리후 메구미]](切[[斑]] [[芽]][[美]]) * [[타카나시 키리코]]([[鷹]][[縁]] 切[[子]]) * [[토카게 세츠나]]([[取]][[蔭]] 切[[奈]])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여량면]] [[구절리]]([[九]]切[[里]]), [[구절안길]]([[九]]切안길), [[구절양지말길]]([[九]]切[[陽]][[地]]말길) * [[구절역]]([[九]]切[[驛]]) * [[시모기리역]]([[下]]切[[駅]]) * [[타기리역]]([[田]]切[[驛]]) === [[창작물]] === * [[大切なもの]] * [[雷切-RAIKIRI-]] * [[御伽噺に幕切れを]] * [[Queens are trumps -切り札はクイーン-]] * [[すべてが大切な出会い〜Meeting with you creates myself〜]] * [[指切り]]([[손가락 걸기]]) * [[裏切り者のレクイエム]]([[배신자의 레퀴엠]]) * [[大切な人たちへ]]([[소중한 사람들에게]]) * [[裏切りのクレタ]]([[배신의 크레타]]) * [[指切りげんまん]]([[새끼손가락 걸고 약속]]) === 기타 === * [[뇌절#s-3.1]]([[雷]]切) * [[손절]]([[損]]切) * [[익절]]([[益]]切) * [[岡田奈々ソロコンサート〜私が大切にしたいもの〜]]: [[오카다 나나]]의 솔로 콘서트 == 유의자 == * '''끊다''' * [[斷]](끊을 단) * [[絶]]/[[截]](끊을 절) * '''온통''' * [[皆]](다 개) * [[都]](도읍 도)[* '도읍' 이외에 '모두'라는 뜻이 있다.] * [[悉]](다 실) * [[諸]](모두 제) * [[僉]](다 첨) * [[總]]/[[摠]](다 총) * [[咸]](다 함) == 상대자 == * [[繼]](이을 계) * [[絡]](이을 락) * [[連]](이을 련, 잇닿을 련) * [[紹]](이을 소) * [[續]](이을 속) * [[接]](이을 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𨾅]]^^[⿰七隹]^^/[[𩾔]]^^[⿰七鳥]^^(새이름 차)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沏]](갈 절) * [[苆]](벽토 절) * [[䟙]](헛디딜 절) * [[窃]](훔칠 절)[* [[竊]](훔칠 절)의 [[신자체]]이자 [[간체자]]] * [[袃]](옷찢어질 제, 꼭지 체) * [[𢪃]]^^[⿰扌切]^^(문지를 졸, 갈 절) * [[彻]](통할 철)[* [[徹]](통할 철)의 [[간체자]]] * [[𦕀]]^^[⿰耳切]^^(귀밝을 체) * [[䀙]](볼 체) * [[砌]](섬돌 체) * [[𱏉]]^^[⿱俎切]^^ * [[𠯦]]^^[⿰口切]^^ * [[𭎄]]^^[⿰土切]^^ * [[𰎊]]^^[⿱切山]^^ * [[𮤺]]^^[⿰⻖切]^^ * [[𢗠]]^^[⿰忄切]^^ * [[𤆻]]^^[⿰火切]^^ * [[𣐆]]^^[⿰木切]^^ * [[𢗧]]^^[⿱切心]^^ * [[𬍔]]^^[⿰⺩切]^^ * [[𥾛]]^^[⿰糸切]^^ * [[𫊧]]^^[⿰虫切]^^ * [[𮅀]]^^[⿱𥫗切]^^ * [[𨥓]]^^[⿱切金]^^ * [[𨥔]]^^[⿰金切]^^ * [[𩚦]]^^[⿰𩙿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