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備}}}갖출 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ビ{{{#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そな-える, そな-わる, {{{#c88 つぶさ-に}}}}}}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è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갖출 비(備)'''. '갖추다', '준비(準備)하다', '마련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갖추다 || || {{{-1 '''음'''}}} ||비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èi || || {{{-1 '''[[광동어]]'''}}} ||bei^^6^^ || || {{{-1 '''[[객가어]]'''}}} ||phi || || {{{-1 '''[[민남어]]'''}}} ||pī || || {{{-1 '''[[오어]]'''}}} ||b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ビ || || {{{-1 '''훈독'''}}} ||そな-える, そな-わる, {{{#c88 つぶさ-に}}} || ||<-3> || ||<-2> '''[[베트남어]]''' ||bị || [[유니코드]]에는 U+509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THB(人廿竹月)로 입력한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화살통에 화살이 가지런히 꽂혀 있는 모습으로 본래는 화살통을 나타내는 상형자였다. 이후 화살이 갖추어져 전쟁을 대비한다는 뜻에서 '갖추다'라는 뜻이 인신되었다. [[금문]]에 와서 위쪽은 화살 깃의 형태가 뭉개져 卝과 비슷해지고, 아래쪽은 화살촉과 화살통의 모습이 합쳐져 [[用]](쓸 용)과 비슷한 형태가 되었다. 이후 다시 옆에 [[人]](사람 인)을 더해서 뜻을 보강한 [[회의자]]가 되었다. 본래의 의미였던 화살통이라는 뜻은 [[服]][* 備와 服은 상고음이 비슷하다]을 가차해서 쓰다가 의부인 [[竹]]을 더하여 [[箙]](전동 복)이라는 글자를 만들어 쓰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겸비([[兼]]備) * [[문무겸비]]([[文]][[武]][[兼]]備) * [[재색겸비]]([[才]][[色]][[兼]]備) * [[경비]]([[警]]備) * [[해안경비대]]([[海]][[岸]][[警]]備[[隊]]) * 구비([[具]]備) * 대비([[對]]備) * 미비([[未]]備) * 방비([[防]]備) * 비고(備[[考]]) * 비축(備[[蓄]]) * 비치(備[[置]]) * 설비([[設]]備) * [[수비]]([[守]]備) * [[수비수]]([[守]]備[[手]]) * 예비([[豫]]備) * [[예비군]]([[豫]]備[[軍]]) * 완비([[完]]備) * [[우비]]([[雨]]備) * [[장비]]([[裝]]備) * [[정비]]([[整]]備) * [[준비]]([[準]]備) * 채비(←[[差]]備) === [[고사성어]]/[[숙어]] === * [[유비무환]]([[有]]備[[無]][[患]]) === [[인명]] === * [[은비(마카마카)|신은비]]([[申]][[恩]]備): [[마카마카]]의 멤버 [[은비(마카마카)|은비]]의 본명 * [[카네야스 빈고]]([[兼]][[康]] 備[[後]]) === [[지명#s-2]] === * [[고키시치도|비젠]]이 들어간 역명 및 지명 * [[비젠니시이치역]](備[[前]][[西]][[市]][[駅]]) * [[고키시치도|빗츄]]가 들어간 역명 및 지명 * [[빗츄미시마역]](備[[中]][[箕]][[島]][[駅]]) * [[고키시치도|빈고]]가 들어간 역명 및 지명 * [[빈고오치아이역]](備[[後]][[落]][[合]][[駅]]) === [[창작물]] ===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상유비람([[桑]][[楡]]備[[覽]]) * [[여도비지]]([[輿]][[圖]]備[[誌]]) * 오륜전비언해([[五]][[倫]][[全]]備[[諺]][[解]]) == 유의자 == * [[具]]/[[俱]](갖출 구) * [[諨]](갖출 복) * [[僎]](갖출 선) * [[咃]](갖출 타) * [[辨]]/[[弁]](갖출 판) * [[該]]/[[晐]]/[[賅]](갖출 해) * [[𤰅]](갖출 황)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