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乙}}}새 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乙,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オツ, {{{#c88 イ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と, きの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乙획순.gif|width=130]] 乙의 획순 [목차] [clearfix] == 개요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乙은 ''''새 을''''이라는 [[한자]]로, '새[鳥]', '둘째 [[천간]]'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4E5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山(NU)으로 입력한다. 사물이 구부러진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강희자전]]에서 5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방에 올 때는 乚로 변형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乛 부수에서 기술하고 있다. 인명으로도 쓰는데, 예를 들자면 [[권오을]](權五乙), [[김을동]](金乙東) 등이 있다. == 십간의 하나 == [include(틀:십간과 십이지)] 을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등으로 이루어진 [[십간]]의 '''두 번째''' 단위로, [[십이지]]와 함께 [[갑자]]를 구성한다. 때문에 '''둘째'''를 의미한다. 사물이 '''둘''' 이상 있을때나 순서나 순위를 매길때 '''두 번째'''의 것을 보통 을이라고 칭한다. ~~'''[[콩라인]]'''~~ 중국어에서는 탄소가 두 개 있는 화합물을 뜻하기도 한다. ex) [[에탄올|乙醇]] 과거 [[병역판정검사]]에서는 2~4급을 1을종, 2을종, 3을종으로 불렀으며, 3을종은 항상 [[방위병]], 1을종과 2을종은 학력 등에 따라 [[현역병]]과 방위병으로 갈렸다. 일제강점기 당시 성적 체계에서 2번째로 높은 점수이다. 현대 대학 학점으로 치면 B학점. === 법학에서의 을 === 법학에서는 주로 갑의 아래에 있는 사람을 을로 칭하는 편이다. 주로 갑에게 고용된 사람들이 이렇게 불리는 경우가 많다. ==== 갑을관계로의 확장 ==== [[갑과 을]]이라 하여 갑에게 불이익을 당하는 사람들을 을이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 [[슈퍼 을]] === 갑을관계에 상관없이 승승장구하는 을을 슈퍼 을이라고 칭한다. == 용례 == === [[단어]] === * [[을축]](乙[[丑]]) * [[을축년 대홍수]](乙[[丑]][[年]][[大]][[洪]][[水]]) * [[을축양요]](乙[[丑]][[洋]][[擾]]) * [[을묘]](乙[[卯]]) *[[을묘왜변]](乙[[卯]][[倭]][[變]]) * [[을사]](乙[[巳]]) * [[을사사화]](乙[[巳]][[士]][[禍]]) * [[을사의병]](乙[[巳]][[義]][[兵]]) * [[을사조약]](乙[[巳]][[條]][[約]]) * [[을사오적]](乙[[巳]][[五]][[賊]]) * [[을미]](乙[[未]]) * [[을미정난]](乙[[未]][[靖]][[難]]) * [[을미개혁]](乙[[未]][[改]][[革]]) * [[을미사변]](乙[[未]][[事]][[変]]) * [[을미의병]](乙[[未]][[義]][[兵]]) * [[을유]](乙[[酉]]) * [[을해]](乙[[亥]]) === [[인명]] === * [[강을준]]([[姜]]乙[[俊]]) * [[미천왕|고을불]]([[高]]乙[[弗]]) * [[리을설]]([[李]]乙[[雪]]) * [[박두을]]([[朴]][[杜]]乙) * [[사오토메 요이치]]([[早]]乙[[女]] [[与]][[一]]) * [[야마부키 오토메]]([[山]][[吹]] 乙[[女]]) * [[오츠이치]](乙[[一]]) * [[오토노타치바나 마키에]](乙[[橘]] [[槇]][[絵]]) * [[오토와 효코]](乙[[和]] [[瓢]][[湖]]) * [[오토타케 히로타다]](乙[[武]] [[洋]][[匡]]) * [[오토하나 스미레]](乙[[花]] スミレ) * [[옷코토누시]](乙[[事]][[主]]) * [[옷코츠 유타]](乙[[骨]] [[憂]][[太]]) * [[옷파타 타다시]](乙[[幡]] [[忠]][[志]]) * [[윤여을]]([[尹]][[汝]]乙) * [[을지문덕]](乙[[支]][[文]][[德]]) * [[을파소]](乙[[巴]][[素]]) * [[이을용]]([[李]]乙[[容]]) * [[임어을운]]([[林]][[於]]乙[[云]]) * [[정을]]([[鄭]]乙) * [[제을]]([[帝]]乙) * [[포도을]]([[包]][[道]]乙) * [[하나마키 토와]]([[花]][[巻]] 乙[[和]]) * [[후지와라노 오토무로]]([[藤]][[原]] 乙[[牟]][[漏]]) === [[지명#s-2]] === * '''한국''' * [[을지로]](乙[[支]][[路]])[* 상술된 을지문덕의 이름에서 딴 지명이다.] * [[을지로입구역]](乙[[支]][[路]][[入]][[口]]) * [[을지로3가역]](乙[[支]][[路]][[三]][[街]]) * [[을지로4가역]](乙[[支]][[路]][[四]][[街]]) * '''일본''' * [[에베오츠역]]([[江]][[部]]乙[[駅]]) * [[오토마루역]](乙[[丸]][[駅]]) * [[오토메역]](乙[[女]][[駅]]) * [[오토베초]](乙[[部]][[町]]) * [[옷카와역]](乙[[川]][[駅]]) * [[옷토모역]](乙[[供]][[駅]]) * [[온바라역]](乙[[原]][[駅]]) * [[치라이오츠역]]([[知]][[来]]乙[[駅]]) === [[창작물]] === * [[愛乙女☆DOLL]] * [[乙女式れんあい塾]]([[소녀식 연애 학원]]) * [[乙女よ大志を抱け!!]]([[소녀여 큰 뜻을 품어라!!]]) === 기타 === * [[을용타]](乙[[容]][[打]]) * [[丕刀卜乙卜人丨凹卜乙卜口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己]](몸 기) * [[巳]](뱀 사) * [[已]](이미 이) * [[巴]](꼬리 파) == 여담 == * [[한글 전 한국어 표기]]에서는 'ㄹ' 받침이나 조사 '을/를'을 뜻하는 한자로 쓰이기도 했다. 이것을 응용해서 한국어에만 쓰이는 [[국자]] 乭, 㐘, 乽과 같은 글자가 만들어졌다. * 나름 용례가 있는 한자 중 음이 '을'인 한자는 乙밖에 없다. * 乙(おつ)라는 [[2ch]] 계통의 사이트들에서 자주 쓰이는 은어가 있다. 수고했다는 뜻의 お疲れ(おつかれ)를 줄인 것이다. 앞의 おつ만 타이핑을 하면 자동으로 乙로 변환되기 때문. 한국웹으로 따지자면 ㅅ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니코동]]에서 자주 보이는 うぽつ 또한 여기서 파생됐다고 할 수 있다. うp(up)와 乙(otsu)가 합쳐서 うぽつ(upotsu)가 되는 것이다. 한국에서 쓰는 은어인 [[즐]]이나 [[ㅅㄱ]]와 거의 상통되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또는 남자들이 인사할 때 オッス라는 말을 대신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 乙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거의 다 [[음역자]]들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을, version=45,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