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국명·지명 한자 약칭)]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丁}}}고무래/장정 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一|{{{#000,#fff 一}}}]],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ョウ, テイ, {{{#c88 ト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たる, ひの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ī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파일:丁획순.gif|width=200]] || || 丁의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丁은 ''''고무래/장정 정''''이라는 [[한자]]로, '장정'을 뜻한다. == 상세 == 읽기 4급, 쓰기 3급에 2획인 간단한 한자. [[부수]]는 [[一|한 일]]이다. 고무래[* 곡식을 그러 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를 말한다.]를 나타내는 한자라고 알려져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못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이후 못의 뜻으로는 앞에 金을 붙인 [[釘]]이 떨어져 나갔다. 넷째 [[천간]]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당장 정유년(丁酉年)에 이 한자가 쓰였다. 그 외에는 16살이 넘은 성년 남성을 뜻하기도 한다. 장정(壯丁)에 그 뜻이 바로 나타난다. 여기서 파생되어 인구(人口) 등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때는 대개 요역이나 병역을 부담하는 사회의 핵심이라는 뜻이라 여자나 어린아이는 포함되지 않는다. [[정(성씨)|성씨]]로도 쓰는데 [[복(성씨)|복(卜)씨]]와 함께 가장 획수가 적다. [[유니코드]]는 U+4E0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弓(MN)으로 입력한다. 유니코드 통합 한자에서 2번째다. [[갑골문]]에서 작은 네모 모양이었는데, [[금문]]에서는 '''아예 점이 되었다'''. 그 후 지금과 같은 丁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성적 체계에서 가장 낮은 점수이다. [include(틀:십간과 십이지)] [[닮은꼴 문자]]로 [[그리스 문자]]인 [[τ]](타우), [[알파벳]] [[J]]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정축]](丁[[丑]]) * [[정묘]](丁[[卯]]) * [[정사]](丁[[巳]]) * [[정미]](丁[[未]]) * [[정유]](丁[[酉]]) * [[정해]](丁[[亥]]) * 감정([[監]]丁) * 고정([[雇]]丁) * 교정(轎丁) * 군정(軍丁) * 낙정(落丁) * 남정(男丁) * 농정(農丁) * 누정(漏丁) * 독정(禿丁) * 마정(馬丁) * 병정(兵丁) * 빙정(氷丁) * 사정(使丁) * 삼정(三丁) * 상정(上丁) * 성정(成丁) * 양정(良丁) * 여정(輿丁/餘丁) * 역정(役丁/驛丁) * 오정(梧丁) * 옥정(沃丁/獄丁) * 이정(里丁) * 장정(壯丁/莊丁) * [[정남]](丁男) * 정년(丁年) * 정녕(丁寧) * [[정묘]](丁卯) * [[정묘호란]](丁卯胡亂) * [[정미]](丁未) * [[정미 7조약]](丁未七條約) * 정방(丁方) * [[정사]](丁巳) * 정시(丁時) * 정월(丁月) * 정역(丁役) * [[정유]](丁酉) * [[정유재란]](丁酉再亂) * 정일(丁日) * 정장(丁匠/丁壯) * 정정(丁丁/正丁) * 정제(丁祭) * [[정축]](丁丑) * 정축기(丁丑旗) * [[정축자]](丁丑字) * [[삼학사|정축척화신]](丁丑斥和臣) * [[삼전도의 굴욕|정축하성]](丁丑下城) * [[정해]](丁亥) * [[정향]](丁香) * 족정(足丁) * 중정(中丁) * 지정(地丁) * 징정(懲丁) * 차정(次丁) * 하정(下丁) * 한정(閑丁) * 정녀(丁女) === [[고사성어]]/[[숙어]] === * 목불식정([[目]][[不]][[識]]丁) * 벌목정정([[伐]][[木]]丁丁)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통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43,803명, 전체 34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나주 정씨(丁)|나주(羅州)]], 압해(押海), [[영광 정씨|영광(靈光)]]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압해 정씨]] 문서 참조. 성이 정씨인 사람의 소수. * [[모리 잇쵸]]([[森]] [[一]]丁) * [[이정재(조직폭력배)|이정재]]([[李]]丁[[載]]): 조직폭력배 * [[임창정]]([[任]][[昌]]丁) * [[테이레이다 마이]](丁[[礼]][[田]] [[舞]]) * [[테이레이타도지]](丁[[禮]][[多]][[童]][[子]]) === 기타 === * [[궁보계정]]([[宮]][[保]][[鷄]]丁) * [[카트#s-1.1|잡정차]]([[卡]]丁[[車]]) * [[工으후루꾸十卞丁下丁卞十꾸루후으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丂]](공교할 교) * [[十]](열 십) * [[于]](어조사 우)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灯]](등잔 정) * [[釘]](못 정) * [[汀]](물가 정) * [[訂]](바로잡을 정) * [[町]](밭두둑 정) * [[酊]](술취할 정) * [[玎]](옥소리 정) * [[頂]](정수리 정) * [[亭]](정자 정) * [[疔]](정 정) == 여담 == * [[만적의 난]]을 공모한 노비들이, 양민을 의미하는 丁 자를 노란 종이에 적어 몸에 붙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