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숫자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一}}}한 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一,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イチ, イ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ひと, ひと-つ, {{{#c88 はじ-め, ひ, ひ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4%B8%80-order.gif]] 一의 필순 [목차] [clearfix] == 개요 == [[1]]과 그 서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들 중 하나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4> '''[[한국어]]''' || {{{-1 '''훈'''}}} ||한 || || {{{-1 '''옛훈'''}}} ||낳[* ㅎ 종성체언] || || {{{-1 '''음'''}}} ||일 || || {{{-1 '''옛음'''}}} || || ||<-3> || ||<|11>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ī || || {{{-1 '''[[광동어]]'''}}} ||jat^^1^^ || || {{{-1 '''[[감어]]'''}}} ||it6 || || {{{-1 '''[[객가어]]'''}}} ||yit || || {{{-1 '''[[진어]]'''}}} ||ieh4 || || {{{-1 '''[[민북어]]'''}}} ||ĭ[*文 [[문독]]] / cì[*白1 [[백독]], 본자는 蜀] || || {{{-1 '''[[민동어]]'''}}} ||ék[*文] / siŏh[*白1] || || {{{-1 '''[[민남어]]'''}}} ||it[*文] / chit[*白1] || || {{{-1 '''[[오어]]'''}}} ||iq (T4) || || {{{-1 '''[[상어]]'''}}} ||i6 || || {{{-1 '''기타'''}}} ||yāo[* 숫자 7(qī)과 운모 부분의 발음이 같아서 헷갈릴 여지가 있기 때문에 일상에서 숫자를 읽을 때에는 야오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幺]] 참조.] || ||<-3> || ||<|2> '''[[일본어]]''' || {{{-1 '''[[음독(독법)|음독]]'''}}} ||イチ, イツ || || {{{-1 '''[[훈독]]'''}}} ||ひと, ひと-つ, {{{#c88 はじ-め, ひ, ひい}}} || ||<-3> || ||<-2> '''[[베트남어]]''' ||nht || [[유니코드]]에는 U+4E00에 배당되어 있고[* 한자 유니코드 영역에서 첫 번째 순서이다.], [[주음부호]]로는 ㄧ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一)으로 입력한다. 공교롭게도, 모양이 거의 같은 가로선 하나인 한글 모음 ㅡ도 두벌식 자판 기준 M과 같은 키 자리에 배정되어 있다. 가로선을 하나 그어서 만든 [[지사자]]이다. 위조 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갖은자]]에서는 [[壹]]이라고 쓴다. 옛날 [[지폐]]나 [[수표]], [[어음]] 같은 증권 문서 등에서 이 [[한자]]를 볼 수 있다. 일본의 남성 인명에는 [ruby(一, ruby=いち)]로 끝나는 것이 많으며, 이럴 때는 보통 첫째 아들임을 의미한다. 인명에서는 いち, いつ, ひと 등뿐만 아니라 かず, はじめ, つい 등으로 읽히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방 번호 혹은 전화번호 등을 부를 때 yāo라고 부른다. 자형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한자]]를 공부할 때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이며, 한자를 부수 순으로 배열한 [[자전(사전)|한자사전]]에서 맨 첫 번째로 나오는 글자이기도 하다. 아무리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라도 모두들 알고 있으며, 심지어 한자와는 전혀 상관없는 삶을 사는 '''서양인들'''도 상식으로 은근히 알기도 한다. 그냥 글자 자체가 획수 하나로 선 하나를 찍 그은 거니까. == 이체자 == * 壱(유니코드 58F1, 士(사)부 4획, 土月心(토월심)(GBP)) * [[壹]](유니코드 58F9, 士(사)부 9획, 土月一廿(토월일입)(GBMT)) * 弌(유니코드 5F0C, 弋(익)부 1획, 戈心一(과심일)(IPM)) * [* 글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 사진을 참고하자.[br][[파일:.png]]](유니코드 2092A, 匕(비)부 16획) [[壹]]은 一의 갖은자, 壱은 壹의 [[신자체]], 弌은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은 동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균일([[均]]一) * [[금일봉]]([[金]]一[[封]]) * [[단일]]([[單]]一) * 동일([[同]]一) * 동일시([[同]]一[[視]]), 동일체([[同]]一[[體]]) * 만일([[萬]]一) * [[삼일절]]([[三]]一[[節]]) * [[유일]]([[唯]]一) * [[유일]]([[惟]]一) * 제일([[第]]一) * [[통일]]([[統]]一) * [[남북통일]]([[南]][[北]][[統]]一), [[정신통일]]([[精]][[神]][[統]]一), [[통일부]]([[統]]一[[部]]), 통일성([[統]]一[[性]]) * '''[[1|일]](一)''' * [[일가]](一[[家]]) * 일가족(一[[家]][[族]]), 일가화목(一[[家]][[和]][[睦]]) *[[일고]](一[[考]]) * [[일각]](一[[刻]]) * [[일각]](一[[角]]) * 일갈(一[[喝]]) * [[일개]](一[[介]]) * 일거(一[[擧]]) * 일과(一[[過]]) * 일과성(一[[過]][[性]]) * 일관성(一[[貫]][[性]]) * 일괄(一[[括]]) * 일괄적(一[[括]][[的]]) * 일금(一[[金]]) * 일급(一[[級]]) * 일낙(一[[諾]]) * 일년(一[[年]]) * 일념(一[[念]]) * [[일단]](一[[團]] / 一[[旦]] / 一[[端]]) * 일단락(一[[段]][[落]]) * 일당(一[[黨]]) * 일당백(一[[當]][[百]]) * 일대(一[[代]] / 一[[帶]]) * [[일동]](一[[同]]) * 일등(一[[等]]) * 일련(一[[連]]) * 일렬(一[[列]]) * 일례(一[[例]]) * 일로(一[[路]]) * 일류(一[[流]]) * 일률적(一[[律]][[的]]) * [[일리]](一[[理]]) * 일말(一[[抹]]) * 일면(一[[面]]) * 일명(一[[名]]) * 일반(一[[般]]) * 일반법(一[[般]][[法]]), [[일반인]](一[[般]][[人]]), 일반적(一[[般]][[的]]), [[일반화]](一[[般]][[化]]) * [[일방]](一[[方]]) * 일방적(一[[方]][[的]]) * 일변도(一[[邊]][[倒]]) * [[일병]](一[[兵]]) * [[일부]](一[[部]]) * 일부분(一[[部]][[分]]) * [[일색]](一[[色]]) * [[일생]](一[[生]]) * 일선(一[[線]]) * [[일소]](一[[掃]]) * 일순간(一[[瞬]][[間]]) * 일시불(一[[時]][[拂]]) * 일시적(一[[時]][[的]]) * 일심(一[[心]]) * [[일원]](一[[員]] / 一[[圓]]) * 일일(一一) * 일임(一[[任]]) * 일절(一[[切]]) * [[일정]](一[[定]]) * [[일제]](一[[齊]]) * 일종(一[[種]]) * 일주(一[[週]]) * [[일주일]](一[[週]][[日]]) * 일지춘(一[[枝]][[春]]) * 일차(一[[次]]) * 일차적(一[[次]][[的]]) * 일체(一[[切]]) * 일축(一[[蹴]]) * 일치(一[[致]]) * 거국일치([[擧]][[國]]一[[致]]), 불일치([[不]]一[[致]]) * [[일침]](一[[鍼]]) * 일행(一[[行]]) * 일환(一[[環]]) * 일회성(一[[回]][[性]]) * [[진일보]]([[進]]一[[步]]) * 획일([[劃]]一) * 획일적([[劃]]一[[的]]) === [[고사성어]] === * [[건곤일척]]([[乾]][[坤]]一[[擲]]) * [[구우일모]]([[九]][[牛]]一[[毛]]) * 일거양득(一[[擧]][[兩]][[得]]) * [[일망타진]](一[[網]][[打]][[盡]]) * [[일사천리]](一[[瀉]][[千]][[里]]) * [[일석이조]](一[[石]][[二]][[鳥]]) * 일언반구(一[[言]][[半]][[句]]) * 일엽지추(一[[葉]][[知]][[秋]]) * [[일장춘몽]](一[[場]][[春]][[夢]]) * [[일촉즉발]](一[[觸]][[卽]][[發]]) * 일이관지 (一[[以]][[貫]][[之]]) * 정문일침([[頂]][[門]]一[[針]]) * [[천재일우]]([[千]][[載]]一[[遇]]) === 지명 ===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上]]一[[洞]]) * [[부산광역시]] [[동구(부산광역시)|동구]] [[범일동]] ([[凡]]一[[洞]]) * [[대구광역시]] *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남일동]] ([[南]]一[[洞]]) * [[중구(대구광역시)|중구]] [[동일동]] ([[東]]一[[洞]]) * [[중구(대구광역시)|중구]] [[사일동]] ([[射]]一[[洞]])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고양)|일산동]] (一[[山]][[洞]])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서구]] (一[[山]][[東]][[區]], 一[[山]][[西]][[區]]) *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一[[老]][[邑]]) === 전철역 === * [[강일역]]([[江]]一[[驛]]) * [[구일역]]([[九]]一[[驛]]) * [[범일역|범]][[범일역(동해선)|일역]]([[凡]]一[[驛]]) * [[상일동역]]([[上]]一[[洞]][[驛]]) * [[일로역]](一[[老]][[驛]]) * [[일산역]](一[[山]][[驛]]) === 인명 === ==== 한국식 '일' ==== * 실존 인물 * [[오재일]] ([[吳]][[在]]一) * [[카광|이상일]] ([[李]][[相]]一) * [[차일목]] ([[車]]一[[木]]) * [[태일찬]] ([[太]]一[[讚]]) * [[허일]] ([[許]]一) * [[박일호]]([[朴]]一[[浩]]) * [[정일우]]([[丁]]一[[宇]]) * [[박일(1927)|박일]]([[朴]]一) * [[지일주]]([[池]]一[[株]]) ==== 중국식 '이' ==== * 실존 인물 * [[왕이보]]([[王]]一[[博]]) * [[이일동|리이통]]([[李]]一[[桐]]) * [[주일룡]]([[朱]]一[[龙]]) * [[탕이쥔]]([[唐]]一[[军]]) * [[호일천]]([[胡]]一[[天]]) * 가상 인물 * [[장일소]]([[長]]一[[笑]]) ==== 일본식 '하지메' ==== [[하지메]] 문서도 참조 * 실존 인물 * [[모리야스 하지메]]([[森]][[保]] 一) * [[사이토 하지메]] ([[斎]][[藤]]一) * 가상 인물 * [[도쿄 리벤저스]] - [[코코노이 하지메]] ([[九]][[井]]一) * [[라이브 온 카드리버]] - 쿠로보시 하지메 ([[黑]][[星]]一) [[라이브 온 카드리버]]의 [[주인공]]인 [[은우랑]]의 친구. 국내명은 하성일. * [[노다 하지메]]([[野]][[田]] 一)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기타 등장인물#s-3.2|히토츠이 하지메]] (一一一): [[한자]]가 강희자전 [[부수]] 순서로 배당되어 있는 [[유니코드]] 기준으로 정렬하면 한자로 된 인명 중 가장 앞에 온다. ==== 일본식 '잇' ==== * 실존 인물 * [[사가와 잇세이]]([[佐]][[川]]一[[政]]) * 가상 인물 * [[극장판 가면라이더 카부토 GOD SPEED LOVE]] - [[쿠로사키 잇세이]]([[黒]][[崎]]一[[誠]]) * [[겁쟁이 페달]] - [[카부라기 잇사]]([[鏑]][[木]]一[[差]]) * [[낙제 기사의 영웅담]] - [[쿠로가네 잇키]]([[黒]][[鉄]]一[[輝]]) * [[더 파이팅]] - [[마쿠노우치 잇포]]([[幕]][[之]][[内]]一[[歩]], 전일보) * [[슈퍼전대 시리즈]]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카스미 잇코]], [[카스미 잇슈]]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에나리 센이치]] * [[하이스쿨 D×D]] - [[효도 잇세]]([[兵]][[藤]]一[[誠]]) ==== 일본식 '이치' ==== * [[이치]] 계열 : [[코이치]], [[신이치]], [[준이치]], [[류이치]], [[이치로]], [[이치류]] 등. 성, 이름 관계 없이도 쓰인다. * 실존 인물 * [[마스다 준이치]]([[増]][[田]] [[順]]一, [[増]][[田]] [[潤]]一) * [[마스조에 요이치]]([[舛]][[添]] [[要]]一) * [[오다 에이이치로]] ([[尾]][[田]][[栄]]一[[郎]]) * [[잇키 치히로]](一[[木]] [[千]][[洋]]) * [[코이즈미 이츠키]] ([[古]][[泉]]一[[樹]]) *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純]]一[[郎]]) * [[모치즈키 신이치]] ([[望]][[月]][[新]]一) * [[오츠이치]] ([[乙]]一) * 가상인물 * [[5등분의 신부]] - [[나카노 이치카]]([[中]][[野]]一[[花]]) * [[꽃이 피는 첫걸음]] - [[타네무라 코우이치]]([[種]][[村]][[孝]]一) * [[데이트 어 라이브]] - [[토비이치 오리가미]] ([[鳶]]一[[折]][[紙]])[* 그녀가 세피로트의 나무 첫 번째 세피라인 케테르의 천사 [[메타트론]]을 지닌 정령이 되는 것을 암시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 [[명탐정 코난]] - [[쿠도 신이치|쿠도 신이치(남도일)]]([[工]][[藤]] [[新]]一) * [[바보걸]] - [[쿠로사키 류이치]]([[黒]][[崎]][[龍]]一) * [[블리치]] - [[쿠로사키 이치고]]([[黑]][[崎]]一[[護]])[* 얘는 이름부터가 [[숫자]]와 관련이 있다. 一五, 15라던지...], [[마다라메 잇카쿠]]([[斑]][[目]]一[[角]]), [[쿠로사키 잇신]]([[黒]][[崎]]一[[心]]) * [[소년탐정 김전일]] - [[긴다이치 하지메|긴다이치 하지메(김전일)]]([[金]][[田]]一一)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이치노세 시키]](一ノ[[瀬]] [[志]][[希]]) * [[역전검사2]] - [[이치야나기 유미히코]] (一[[柳]] [[弓]][[彦]])[* 성 '이치야나기(一柳)'에서 柳(야나기)는 '류(りゅう)'로 읽을 수 있는데, 이러면 「[[일류]](一流, 이치류)」와 발음이 같아진다. 자세한 내용은 [[이치야나기 유미히코#s-2|문서]] 참조] * [[역전재판 시리즈]] - [[나루호도 류이치]]([[成]][[歩]][[堂]] [[龍]]一) * [[오소마츠 군]], [[오소마츠 상]] - [[마츠노 이치마츠]] ([[松]][[野]]一[[松]]) * [[인피니트 스트라토스]] - [[오리무라 이치카]]([[織]][[斑]]一[[夏]]) *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 - [[이치죠 신]](一[[条]] シン) * [[형형색색의 빛]] [[형형색색의 빛#s-3.3|이치노세 아유무]](一[[之]][[瀬]]あゆむ) * [[효스베 이치베]]([[兵]][[主]][[部]] 一[[兵]][[衛]]) * [[휴먼버그대학교]] - [[나가세 코이치]]([[永]][[瀬]] [[光]]一), [[미카도 이치로타]]([[三]][[門]] 一[[朗]][[太]]), [[소노다 케이이치]]([[園]][[田]] [[圭]]一), [[와나카 소이치로]]([[和]][[中]] [[蒼]]一[[郎]]), [[이치죠 코메이]](一[[条]] [[康]][[明]]), [[카미도 신이치]]([[上]][[堂]] [[新]]一), [[코미나토 케이이치]]([[小]][[湊]] [[圭]]一), [[키도 죠이치로]]([[城]][[戸]] [[丈]]一[[郎]]) * [[귀멸의 칼날]]-[[토키토 무이치로]]([[時]][[透]] [[無]]一[[郞]]) ==== 일본식 '카즈' ==== * 실존 인물 * [[카즈하(LE SSERAFIM)|나카무라 카즈하]]([[中]][[村]]一[[葉]]) * [[데라시(베이시스트)|오노데라 카즈타카]]([[小]][[野]][[寺]] 一[[貴]])[* 활동명은 데라시] * [[요시다 토모카즈]](吉田友一) * 가상 인물 * [[도쿄 리벤저스]] - [[하네미야 카즈토라]] ([[羽]][[宮]]一[[虎]]) * [[작안의 샤나]] - [[요시다 카즈미]]([[吉]][[田]]一[[美]]) * [[하야테처럼!]] - [[하야테처럼!/등장인물#s-2|니시자와 카즈키]]([[西]][[沢]]一[[樹]]) * [[역전재판6]] [[시간을 뛰어넘은 역전]] - [[시간을 뛰어넘은 역전#s-4.4|쥬몬지 카즈하루]] ([[十]][[文]][[字]] 一[[治]])[* 이름은 한자 [[十]]과 [[一]]로 각각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형상화했다.] * [[MILGRAM]] - [[무쿠하라 카즈이]](椋[[原]] 一[[威]]) ==== 일본식 '니노마에' ==== 이쪽은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성씨이다. [[니노마에]] 문서 참조. * 가상 인물 * [[스펙(드라마)|스펙]] - [[니노마에 쥬이치]](一十一) * [[여고생의 낭비]] - 니노마에 카나데(一奏) * [[hololive ENGLISH]] - [[니노마에 이나니스]](一伊那尓栖) === [[창작물]] === * [[번개의 호흡]] [[번개의 호흡#제1형|제1형 헤키레키잇센]]([[霹]][[靂]]一[[閃]])[* 번역명 '''벽력일섬'''] * [[천일문]]([[千]]一[[文]]) * [[일촉즉발☆선 걸]] === 기타 === * [[1번남|일번남]](一[[番]][[男]]) * [[1번녀|일번녀]](一[[番]][[女]]) * [[일해회]](一[[姟]][[會]]) * [[조선제일검]]([[朝]][[鮮]][[第]]一[[檢]]/[[朝]][[鮮]][[第]]一[[劍]]) * 가상 인물 * [[뉴턴과 사과나무]] - [[뉴턴과 사과나무#s-3.3|우타카네 요츠코]](一[[二]][[三]][[四]][[五]]): 1부터 5까지로 되어 있는 [[별난 이름]] 때문에 별난 의미로 화제가 되었다고 한다. * [[一緒にお酒飲むか?]]([[잇쇼니 오사케 노무까?]])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一은 214 부수 중에서 1번째다. 一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27개이다. 一을 부수로 삼는 [[한자]]들은 대표적으로 [[上]](위 상), [[下]](아래 하), [[世]](세상 세), [[丁]](고무래 정)이 있다. === 부수 예시 === ||기본자||一|| ||1획||[[七]] [[丁]]|| ||2획||[[上]] [[下]] [[三]] [[丈]]|| ||4획||[[世]] [[且]] [[丘]] [[丙]]|| == 차자표기적 관점 == 一은 한국 차자표기에서 /서/로 읽히는 경우가 있다. 확인된 근거는 아래와 같다. 1. 嵩善郡, 本一善那, 眞平主三十六年爲一善州, 置軍主. 神文王七年, 州廢. 景徳王攺名. 今善州. 領縣三. 숭선군(嵩善郡)은 본래 일선군(一善郡)으로 진평왕 36년에 일선주(一善州)로 삼고 군주(軍主)를 두었다. 신문왕 7년에 주(州)를 폐했다.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선주(善州)다. (삼국사기 지리지 숭선군) 해설: 지명 一善(일선)이 嵩善(숭선)에 대응된다. 一의 독음이 /서/라면 嵩을 설명할 수 있다. 뒤이은 이름인 善(선)과도 잘 대응된다. 참고로 善의 독음은 /선/과 /달/이 있다. 2. 星山郡, 夲校勘 126一利郡一云里山郡., 景徳王攺名. 今加利縣. 성산군(星山郡)은 본래 일리군(一利郡)(이산군(里山郡)이라고도 한다)인데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가리현(加利縣)이다. (삼국사기 지리지 성산군) 해설: 지명 一利(일리)가 星山(성산)에 대응된다. 一의 독음이 /서/라면 星을 설명할 수 있다. 山은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郡이 있기에 생략될 수도 있다. 뒤이은 이름인 加利(가리)와도 대응이 되는데, 이는 [[加#s-7|加의 차자표기]] 독음 가운데 /스/시/가 있기 때문이다. 3. 一伐湌(일벌찬, 삼국사기), 一伐干(일벌간, 창녕 신라진흥왕 척경비) 해설: 신라 제 1관등인 伊伐飡([[이벌찬]])의 이칭이다. 또다른 이칭으로 角干(각간), 舒發翰(서발한) 酒多(주다) 등이 있다. 이 관등의 독음은 /서벌간/서벌한/으로 舒發翰와 같다. 伊의 뜻이 /저/라서 伊伐飡는 '즈블찬'으로 읽힌다. 角의 독음이 //이라 角干은 '스블간', 酒와 多의 독음이 각각 /수불/과 /한/이라 酒多는 '수불한'이 된다. 一의 독음이 /서/라면 一伐湌과 一伐干은 각각 서벌찬, 서벌간이 되어 앞서 언급한 소리와 동일해진다. == 여담 == 2018년 중국공안부가 발표한 신생아 통계에 따르면 一이 신생아 이름에 17번째로 많이 쓰인 한자이다. 2021년에는 6위를 차지했다. [[분류:8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1]][[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