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䨻}}}우렛소리 병/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雨|{{{#000,#fff 雨}}}]], 4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000,#fff 미배정}}}}}}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ビョウ, ホ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bèng}}}}}}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렛소리 병/평(䨻)'''. '우렛소리'를 뜻하는 [[한자]]다. 雷의 고자 중에 32획이나 되는 𤴐라는 글자가 있으므로, 䨻의 고자는 𤴐가 4번 반복된 128획짜리 글자라고 추측할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img2.gif]] 그러나 실제로 이런 글자가 쓰였을 리는 없는 데다가 이렇게 쓰였다는 출전도 없으므로 후세의 상상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이 글자의 실존에 대한 부정적인 추측의 근거를 대자면, 𤴐는 주나라 시대에 나타났다가 사라진 글자인데 䨻은 최초 출전이 송나라 때의 광운이라 이미 우레 뢰 하면 雷로 정착된 이후에 만들어져서 𤴐을 반복하는 형태로는 전혀 쓰인 적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상상을 더 해 보자면 雷의 가장 복잡한 형태는 [[http://yedict.com/gif/104/104554.gif|52획]](⿳𤳳霝⿲田田田)[* 출전근거 : 중화자해]이므로, 이를 4번 반복 시 이론상 [[무슨 지거리야|무려 208획짜리 글자를 만들 수도 있기는 하겠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4A3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WMWW(一田一田田)로 입력한다. 한국어 한자 확장 입력에서는 '병'으로 변환 가능하다. [[雷]](우레 뢰)가 가로세로 2개씩 총 4개 모여서 만들어진 [[회의자]]다. 용례는 광운에서 제시한 바에 따르면 이 글자를 반복한 '䨻䨻'이라는 우렛소리뿐이다. == 용례 == === [[창작물]] === * [[龘䶛䨻䆉]]([[다라벙바]]) == 유의자 == * [[砊]](우렛소리 강) [[분류:같은 한자를 네 개 합친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급수 미배정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