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글자모)] ||<-3><#ccc,#333> '''{{{+3 ㅖ}}}''' || ||<-2> 이름 || 예 || ||<-2> 분류 || 이중모음 || ||<-2> 음성 || je~je̞ || [목차] == 개요 == [[한국어]]에 있는 이중 모음. == 발음 == 발음은 [je]이다. 하지만 자음과 결합할 시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자음이 없는 예와 례, 외래어를 제외하면 [[ㅔ]]([e])로 발음할 수도 있다.[* 다만 자음동화로 례의 발음이 바뀌는 경우 (상견례/상견녜/)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례도 레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거기에 [[ㅐ와 ㅔ의 구별]]이 희미해진 현대 국어에서는 '''ㅖ, ㅔ, ㅒ, ㅐ를 전부 같은 발음''' 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생긴다. 참고로 북한 [[문화어]]에서는 '몌'와 '폐'를 각각 '메'와 '페'로 바꿨다([[1948년]] 개정). '몌'야 볼 일이 별로 없지만(연몌, 몌별), '폐'는 '폐지', '철폐' 등 꽤 볼 일이 많다. 이 외에도 문화어에서는 단어 첫머리에 오는 '례'를 [례\]가 아닌 [레\]로 발음한다. 즉 '례의', '례절'을 [레이/레의\], [레절\]로 발음하는 것이다. == 여담 == 한자에선 전혀 쓰이지 않는 [[ㅒ]]와 달리 ㅖ는 한자음에 쓰인다. 계, 례, 예, 폐, 혜 등. 몌도 드물게 쓰인다. 또한 ㅣ가 붙은 재출자 중 유일하게 한자음에 쓰인다. [[외래어]]에서는 중국어 표기 시에 자주 나온다. [[한어병음]]으로 ye/-ie이거나 yan/-ian이면 '예', '옌'으로 적는다. [[다롄시]](Dalian), [[녜웨이핑]](Niè Wèipíng) 등. 한국어 가요에서 음절 구분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경구개 접근음을 넣어 '에'를 '예'로 발음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너에게 다가갈래"를 "너'''예'''게 다가갈래"라고 발음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셰'의 경우 [[ㅅ]]이 [s]와 [ʃ]를 동시에 표기하다보니 외래어에서 활약하는 일이 많다. '시'가 [ʃ] 역할을 하기 때문에, 거기에 다른 모음이 붙은 [ʃe]와 [ʃε] 등을 '셰'로 표기하게 된 것이다. [[셰일]], [[셰어웨어]] 등등. 하지만 난데없이 나타난 잘못된 표기인 [[쉐]] 때문에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 자세한 것은 [[쉐]] 문서 참고. 한국 [[트위치]]에서 '네'를 의미하는 [[ㅔ]]와 함께 '예'라는 뜻으로 쓰인다. 이쪽은 [[스트리머]]가 무언가 물어보았을 때 사용되는 편. --[[한화의 김성근 감독님 사랑해|ㅖㅖㅖ~ㅖㅖㅖ~ㅖㅖㅖ]]-- [[분류:한글 자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