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십음도)] [목차] == 개요 ==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 '''{{{#!html }}}''' || '''{{{#!html }}}''' || ||<-2> || || '''국립국어원 표기법''' || 아 || || '''라틴 문자 표기''' || a || || '''IPA''' || [[저모음#중설평순|[ä\]]] || || '''히라가나 자원''' || [[安]]의 [[초서]] || || '''가타카나 자원''' || [[阿]]의 변 [[阜|阝]] || || '''일본어 통화표''' || [ruby(朝日 , ruby=あさひ)]のア(아사히노 아) || || '''유니코드''' || U+304(A)2 || || '''일본어 모스 부호''' || --・-- || あ행 あ단 글자이다. == あ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あ행의 모든 글자들은 [[모음]]밖에 없기 때문에 [[스테가나|글자를 작게 써서 다른 글자와 조합할 수 있다.]] ==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파일:IPA 모음.png]] 이 글자는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그림을 보다시피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의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갔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즉 의미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변별적 자질(distinctive feature)이 아니라서,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대부분의 영어에서 ə, ʌ, æ로 된 발음기호들을 전부 あ단으로 적는다.[* 예: peanut [pi:'''nʌ'''t\] → ピー'''ナ'''ッツ] 하지만 ɛ는 상황에 따라 え단으로 적는 경우가 있는데 한국어와 문화어의 ㅐ가 이 발음기호지만, 전부 え단으로 쓴다. == 발음 == 진짜 세세하게 따지면 [[ㅏ]]와 다른 발음이라고 하나 위에 말한 대로 사실상 한국인들도 일본인들도 구별 못하기 때문에 [[ㅏ]]와 동일하게 발음하면 된다. 단, あ단 뒤에 오는 경우 /a/가 아닌 앞의 あ단의 장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가끔 일본 애니메이션 등지에서 '''あ゙'''·'''ア゙'''로 표기되는 발음('우주인 흉내'라고 불리며, 선풍기 앞에서 "아~"하는 소리이다)이 있는데, 이는 무려 '''[[후두개음#전동|후두개 전동음(ᴙ)]]'''이다.[* 정확히는, 나는 소리만 비슷할 뿐 진짜 후두개 전동음은 아니다.] == 모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82-bw.png|width=22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A2-bw.png|width=225]] 유래가 된 한자는 각각 다르지만 둘 다 음에서 따왔다. 해당 한자는 지금도 음으로 あ를 넣어서 읽는다. 히라가나 あ는 편안할 안(安)에서 따왔다. 그 때문에 아랫부분이 女의 초서체인 [[め]]와 닮았다. 처음 히라가나를 배울 때 어떻게 써야 하는지 조금 아리까리할 수 있는데, 위 그림에도 나와있듯이 십자를 먼저 긋고 の를 쓰는 식으로 쓴다. 보통은 십자의 가로획을 の의 폭보다 조금 좁게 쓰는 듯하다. 히라가나 あ는 히라가나의 상징으로도 쓰인다. 일본어 IME 히라가나 모드는 あ로 뜬다. 그 외에도 あ행이 [[오십음도]] 제일 첫 줄이기도 하다 보니 일본어를 배울 때 거의 가장 먼저 배우는 글자 중 하나이다. 가타카나 ア는 [[阿]]에서 왔다. 왠지 可가 더 닮은 거 같은데 왼쪽 부분에서 따왔다고 한다. 묘하게도 [[へ]] 역시 部의 오른쪽을 따온 거라서 유래가 된 글자 모양은 같지만 획순이 다르다는 점이 한몫했는지 가나가 되니까 전혀 다른 모양이 되었다. == 한글 표기 == 무난하게 '아'라고 적는다. == 쓰임 == === 원칭 지시사 あ- === こ-, そ-와 함께 세 개의 지시사 쌍을 이루고 있다. 한국어에서 '저것'은 화자로부터 좀 많이 멀어져서 대화의 중심에는 끼지 못할 때가 많다. 얘기하다가 '저게 뭐지?' 하면 정말 저 멀리서 뭔가가 지나갈 때나 쓸 수 있는 표현. あれ는 화자 근처에 없는 것들을 모두 지칭할 수 있어서 '아, 근데 그거 뭐였지?' 하는 '그거'로도 あれ를 쓸 수 있다. [[그날 본 꽃의 이름을 우리는 아직 모른다]] 같은 경우에도 일어로는 'あの日見た...'지만 한국어로 '저날 본'이라고 하면 무언가 이상하다. '이런' '저런'이 될 때 나머지 둘은 こう/そう가 되지만 あ는 あう가 아니라 ああ가 된다. == 한자 == === 음독 === ||
'''日''' || '''韓''' || '''한자''' || '''특수''' || ||ア || 아 ||亜 || || ||<-6> || ||アイ || 애 ||哀挨愛曖 || || ||<-6> || ||アク || 악 ||悪握 || || ||<-6> || ||アツ || 압 ||圧 || [* 상용한자표에서 '알'인 謁는 エツ이다.] || ||<-6> || ||<|2>アン || 안 ||安案 ||<|2>행(行) || || 암 ||暗 || あ 단독으로 변환되는 한자는 12자로 그다지 많지 않다. 하지만 あん / あい 꼴로 뒤에 글자가 들어가면 꽤 많이 보인다. あん은 餡, 案, 闇/暗,[* 暗와 闇는 한국식으로도 일본식으로도 음은 서로 동일하지만(어두울 암) 훈으로는 くらい/やみ 약간 다르게 읽는다. 둘을 합친 暗闇(くらやみ)라는 표현도 있다.] 庵, 杏, 安, 按, 鞍, 行 등이 있다. 이 중 庵按鞍은 잘 쓰이지 않는다. 杏과 行은 한국식으로는 '행'이지만 일본 한자음 중 드문 부류인 당송음으로는 あん이 된다. 杏子(あんず)나 行脚(あんぎゃ) 등의 단어에서만 그렇게 읽는다. あい는 한국식으로 '애'로 읽는 한자들이 많이 배당된다. 원래 [[ㅐ]]가 'ㅏㅣ'로 읽는 모음이었다. [[코마이누]]는 보통 두 개가 한 쌍으로 되어있는데 입을 벌리고 있는 쪽을 아형(阿形)이라고 하고, 닫고 있는 쪽을 운형(吽形)라고 한다. 범자(범어 표기 문자)의 첫 글자가 아(阿), 마지막 글자가 훔(吽)이라 하는데, 이것을 입을 벌린 쪽과 다문 쪽을 가리키는 명칭으로도 쓰는 것이다. 불교에서 유래한 구분법이다. === [[훈독]] === [[훈독]]으로 배당되는 [[한자]]들도 꽤 있다. '만나다'라는 뜻의 あう의 연용형(명사형)이기도 하다. 서로 상(相) 역시 あい로 읽고, 드물게 쪽 람(藍) 역시 훈으로는 あい로 읽는다. == 다른 가나와의 조합 == 작은 글자로 써서 다음 글자와 조합할 수 있다. * [[ヴ]]ァ /βä/ * [[フ]]ァ /ɸä/ * [[ツ]]ァ /t͡sä/ * [[ク]]ァ(グァ) /kwä/(/ɡwä/) [[분류:가나(문자)]][[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