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С с}}}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19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슬로보(слово). /s/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유래는 [[그리스 문자]] [[시그마]]([[Σ]]/σ). == 상세 == [[그리스 문자]] 시그마는 이미 [[동로마]] 말기에 가면 C처럼 쓰이기 시작한다. 동로마 이콘에서 [[예수 그리스도]](Ιησους Χριστος)의 약자 ΙΣΧΣ를 ICXC처럼 쓴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키릴 문자에서는 이 모양을 따갔다. [[라틴 문자]] [[C]]와는 관련이 없다. 이쪽은 [[감마]]에서 왔다. 라틴 문자 C가 /s/ 발음을 낼 때도 있지만, 원래 /k/였다가 구개음화를 거쳐 /s/가 됐기 때문으로 우연의 일치이다. == С́ с́ == [[몬테네그로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 /ɕ/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한국어]]의 '시'와 발음이 같다.] 다만 유니코드에 정식으로 등록된 글자는 아니라 글자와 악센트가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з́와 마찬가지로 [[몬테네그로어]]를 [[세르비아어]]와 차별화하기 위한 목적 단 하나 때문에 탄생한 글자라(...) 몬테네그로 의회가 2017년 이 문자를 공문서 표기에서 배제하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 Ҫ ҫ == [[추바시어]]와 [[바시키르어]]에서 쓰이는 키릴 문자. 추바시어에서는 /ɕ/ 발음을 나타내는 반면 바시키르어에서는 Ҙ /ð/와 한 세트로 쓰여 /θ/ 발음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인다. 라틴 문자 Ç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폰트에 따라서 아래 달린 꼬리가 오른쪽으로 휜 경우도 있고 왼쪽으로 휜 경우도 있다. 몇몇 폰트에서는 그냥 직선처럼(|) 나타나기도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19)]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