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Г г}}}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4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글라골리(глаголи). 많은 언어에서 /g/ 발음을 나타낸다. 유래는 그리스 문자 [[감마]]([[Γ]]/γ). == 상세 == 러시아어에서는 Г를 g처럼 읽지만 Бог /box/, мягкий /ˈmʲæxʲkʲɪɪ̯/처럼 드물게 /x/처럼 읽는 경우도 있고[* 고대 [[교회 슬라브어]] 및 현 교회 슬라브어에서 해당 글자를 /ɣ/로 읽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참고로 현대 러시아어에서는 격 변화에서 등장하는 -го는 -во처럼 읽지만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글자 그대로 읽는다.], 격변화로 발생했을 경우에는 v 발음이 된다. 아울러 표준 러시아어에서는 /h/에 해당하는 발음이 없는데 /g/와 /h/의 조음점이 비슷하기도 하고, 또 일부 러시아어 방언에서 Γ를 /h/~/ɦ/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어서, 러시아어에서는 한때 [[외래어]]의 /h/ 발음을 이것으로 옮기기도 했다. 그 예시가 [[해리 포터|Гарри Поттер]] --가리 뽀떼르-- 및 [[헤르만 괴링|Герман Геринг]] ~~게르만 게린크~~ 현대 들어서는 대부분 Х로 쓰지만 Герат([[헤라트]])와 Ханой([[하노이]])처럼 둘의 과도기에 러시아어 표기법이 정립된 경우 두 문자가 뒤섞이기도 한다. 러시아어 외에 [[우크라이나어]]나 [[벨라루스어]]에서는 지금도 /h/와 비슷한 /ɦ~ʢ/(우크라이나어), /ɣ/(벨라루스어) 발음으로 남아있으며, 우크라이나어의 경우 /ɡ/ 발음은 ґ라는 별도의 자음으로 표기하나 해당 글자가 빈번하게 사용되지는 않는다. 비슷한 이유로 [[루한스크|루'''간/한'''스크]] 등 우크라이나 동남부(특히 [[크림 반도]]나 [[돈바스]] 지역) 쪽의 지명이나 인명은 이 철자 때문에 러시아어와의 혼동이 잦다. [[체코어]]에서 러시아어의 г에 일괄적으로 h가 대응하는 것도 눈여겨볼만하다. (град - hrad 등) 러시아어 필기체로는 S를 뒤집은 모습으로 쓰지만, 세르비아어 필기체로는 ī 모습으로 쓴다. == Ґ ґ == Г г의 파생형. 거의 우크라이나어에서만 쓴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Г г을 ㅎ처럼 읽기 때문에 /g/ 발음에 대해서는 Ґ ґ을 쓴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어에서조차 이 문자는 거의 쓰이지 않는데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g/ 발음이 나던 것이 우크라이나어에서 그대로 /h/로 변했기 때문. 그러니까 우크라이나어에서 /g/ 발음은 [[고유어]]에 없고 모두 외래어다. 필기체에서 Г г가 거꾸로 된 S모양인 것과는 달리 Ґ ґ의 필기체는 Г г 모양으로 쓴다. == Ғ ғ == 역시 Г의 파생형으로 [[카자흐어]], [[타지크어]], [[바시키르어]], [[하카스어]]를 비롯해 중앙아시아나 시베리아 등지의 언어들에서 /ɣ/ 내지는 /ʁ/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일반적으로 라틴 문자로 적을 땐 gh나 ğ 등으로 전사되는 발음. [[사하어]], 옛 [[압하스어]], [[돌간어]]의 Ҕ, [[압하스어]], [[니브흐어]]의 Ӷ도 비슷한 용도로 쓰이며, [[니브흐어]]에서는 Ғ /ɣ/와 Ӻ /ʁ/가 또 구별되어 쓰인다. 라틴 문자 [[F]]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닮은꼴 문자]]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소련 붕괴]] 이전이나 직후의 자료에는 F를 쓴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 Ѓ ѓ == [[마케도니아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 /ɟ/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세르보크로아트어]]의 Ђ ђ를 옮길 때 주로 사용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4)]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