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키노(밴드)]][[분류:1988년 노래]][[분류:포스트 펑크]] [include(틀:키노)] [include(틀:혈액형(앨범))] ||<-2><#fff> '''{{{#000 {{{+1 Группа крови }}}[br]혈액형}}}'''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xtxjm7ciwmc,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88년]] [[1월 5일]] || || '''녹음 기간''' ||[[1987년]]|| || '''장르''' ||[[포스트 펑크]], [[뉴웨이브]], 러시안 록 || || '''재생 시간''' ||04:47) || || '''작곡/작사''' ||[[빅토르 초이]] || || '''언어''' ||[[러시아어]] || || '''수록 앨범''' ||[[Группа крови]]|| [목차][clearfix] == 개요 == 러시아의 국민가요.--진정한 [[내래 인민의 락을 보여주갔어|인민의 락]]-- 동명의 앨범에 실린 타이틀곡이자 키노의 대표곡. 이 앨범을 시작으로 [[빅토르 초이]]의 보컬이 중저음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며, 현대 "키노"하면 떠오르는 진지한 가사가 등장한다. == 역사 == [[빅토르 초이]]의 연인 나탈리야 라즐로고바의 회고에 따르면 1987년 1~2월경, 초이가 영화 Acca 촬영을 위해 [[얄타]]에 있을 때 해당곡을 자신에게 처음으로 선보였다고 한다. 유리 카스파랸의 회고에 따르면 혈액형은 초이가 몇 안되게 모든 악기 파트를 작곡한 후 자신을 포함한 키노 멤버들에게 선보였다고 한다. 1987년 제5회 [[레닌그라드]] 록 페스티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빅토르 키노의 곡 중 유일하게 영어 버전이 존재하며 1988년 컴필 마지막 영웅과 함께 녹음되었다. 영어 버전은 조안나의 스팅레이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 키노가 영미권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유일한 소련 록 밴드이며, 이를 위해서는 영어 버전을 녹음해야 한다는 것이 그녀의 논지였다. 키노 멤버들은 이를 받아드려 영어 버전을 녹음했다. 하지만 영어 버전 녹음은 진지하기보다는 흥미와 실험적 측면이 더 강했기에 오랫동안 공개되지 않다가 2002년, 앨범 마지막 녹음이 발매되고 나서야 공개되었다. == 의미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페레스트로이카]] 등 당시 시대적 환경과 맞물려 사실상 반전 가요로 간주되나, 본인이 이에 대해 말한 적이 없으므로 확답을 내리기는 힘들다. 의외로 초이는 본인을 "저항의 아이콘"으로 보는 것을 탐탁치 않아 했다. 러시아 및 동구권에서 사실상 민중 가요로 등극한 "우리는 변화를 원한다!"의 경우, 초이 본인이 생전 인터뷰에서 [[페레스트로이카]]나 정치적 저항과는 연관이 없다고 여러 차례 선을 그었다. 모험과 도전에 지쳐 현 자리에 안주하고 싶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을 나서겠다는 전사의 노래로 해석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초이가 [[스타워즈]]를 보고 영감을 얻어 작곡했다는 썰까지 돈다. 물론 현대 러시아에서도 대부분은 반전 가요로 받아들인다. == 들어보기 == || [youtube(94F2K2njFTA,width=420,height=315)] || [youtube(SKP3hpWEgEs,width=420,height=315)] || || ▲ 데모 버전 || ▲ 영어 버전[* [[Grand Theft Auto IV]]에 수록되었었지만, 현재는 저작권이 만료되어서 못 듣는다.] || || [youtube(EByofhvVRco,width=420,height=315)] || [youtube(r0B76oXmnyM, width=420,height=315)] || || ▲ 마지막 영웅 버전 || ▲ [[이글라#s-3]] 버전 || || [youtube(zvhKcLoZOKw,width=420,height=315)] || [youtube(oHaSwcdPBgw, width=420,height=315)] || || ▲ 1987년 제5회 레닌그라드 록 페스티벌 || ▲ 1990년 [[도네츠크]] 라이브 || || [youtube(ulwLR3fSm94,width=420,height=315)] || [youtube(qbRYc1cNCGg, width=420,height=315)] || || ▲ 1990년 6월 24일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 ]]라이브[* 초이는 두 달 후인 1990년 8월 15일 사망한다.] || ▲ 2021년 모스크바 CSKA 아레나 라이브 || === 커버 === || [youtube(BMgLIsE5dcU,width=420,height=315)] || [youtube(vB1JhW2edF0,width=420,height=315)] || || ▲ YB의 1999년 버전 || ▲ YB의 2010년 버전 || || [youtube(8cQ8utxtzSk,width=420,height=315)] || [youtube(Z44KhHx6Gu0,width=420,height=315)] || || ▲ [[우즈벡]] 출신 가수 잔나 킴 버전 || ▲ 이글라 리믹스 버전 || || [youtube(zjBNr1HpEhs, width=420,height=315)] || [youtube(WD8R781c98Y,width=420,height=315)] || || ▲ [[한대수]]가 편곡한 버전(7집 수록) || ▲ 2019년 [[메탈리카]]의 커버 || || [youtube(l6jJRiM1LNg,width=420,height=315)] || [youtube(XqXouk97qBw,width=420,height=315)] || || ▲ Симфоническое Кино 버전 || ▲ [[워 썬더]] 'Drone age' 업데이트 티저 삽입판 || == 여담 == * 유리 카스파랸과 게오르기 구리야노프가 나셰고 라디오의 한 프로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동명의 앨범 작업 도중 혈액형의 디스코 버전을 만들었는데 이 사실을 안 초이가 정색하며 빠꾸를 먹였다고 한다. 구리야노프는 여기에 덧붙혀 들으며 춤추기 좋고 아주 매력적이었는데 초이가 빠꾸를 먹여 아쉽다고 말했다. * 국내에서도 리메이크 되었다. [[YB]]가 1999년 "한국 ROCK 다시 부르기" 앨범에 한국어 개사 버전이 수록되었고[* 다만 '이 들판에 남겨지지 않기를'이라는 대목을 '여기 싸늘한 이 땅에서 나의 피를 묻으리'란 가사로 번안하여 뜻이 정반대가 되어 논란이 있다.], 이후 2010년 "YB vs RRM"에 원어 [[일렉트로니카]] 리믹스 버전이 수록되었다. [[한대수]]도 7집에 한국어 개사 버전을 수록했다. * 게임 덕후들에겐 의외로 친숙한 곡일 수도 있다. 전설적인 비디오 게임인(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Grand Theft Auto IV]](GTA 4)에서 자동차를 타면 들을 수 있는 라디오 채널 중에 동구권 음악채널인 Vladivostok FM에서 '''이 음악이 나온다.''' 리메이크는 아니고, 해외 진출을 모색하던 초이가 스튜디오 작업 중 영어 버전으로 녹음한 걸 그대로 실은 것이다.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도 들을 수 있었는데, 선수 입장 중 [[https://youtu.be/ygluZ0tB8S4?t=5864|1:37:44(터키~노르웨이)]] 부분에서 리믹스로 등장한다. 이 외 키노의 곡인 Кончится лето(여름이 끝난다) 리믹스판 또한 나왔다. [[https://youtu.be/ygluZ0tB8S4?t=3952|1:05:52(홍콩)]] ~~재밌는 건, 폐막식에서는 류베의 '웃기지 마라, 미국아'도 리믹스로 나왔다. 무슨 생각을 했던 걸까~~ * [[메탈리카]]도 2019년 러시아 공연 때 이 곡을 불렀다. [[https://youtu.be/WD8R781c98Y|#]]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개전되자 러시아 반전 시위대 측의 집회곡으로써도 자주 쓰인다. 무의미한 전쟁, 높으신 분들의 잘못을 비판하는 곡인데다 이미 전러시아인들이 알만한 곡이니 어찌 보면 당연하기도 하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2023년 2월 22일,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개최된 '''[[https://cm.asiae.co.kr/article/world-all/2023022308545565613|침공 1주년을 기념하는 애국 집회]]'''에서 이 곡이 불렸다는 [[https://edition.cnn.com/2023/02/22/europe/putin-russia-ukraine-war-rally-intl/index.html|소식]]이 보도되었다. * 2022년 빅토르 최 60주년과 키노 40주년을 동시에 기념하여 발틱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워 썬더]]의 합작으로 'Drone age' 업데이트 티저 영상에 리메이크되어 삽입되었다. 녹음은 제정 러시아 시절부터 존속되어온 역사와 전통의 렌독 스튜디오(Lendoc studio)에서 진행되었다. * 러시아 록 밴드 레닌그라드의 [[https://www.youtube.com/watch?v=o-piOZUqfOo|동명의 곡]]의 주제로 쓰였다. 가사의 내용은 혈액형이 구리다는 사람에게 혈액형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곡이니 욕하지 말라는 내용.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Группа крови, version=164, paragraph=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