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В в}}}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3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베데(вѣдѣ). 대부분의 언어에서 /v/ 발음을 나타낸다. == 역사 ==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Β/β가 /b/ 음가를 갖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키릴 문자가 만들어질 시기의 [[그리스어]](중세)는 음가의 상당한 변화 이후 현대 그리스어와 동일하게 /v/ 음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때문에 키릴 문자에서도 B는 /v/ 음가를 갖고 있다. 이외에도 중세 그리스어의 음가를 간직하고 있는 글자가 몇 개 더 있다. == 상세 == [[러시아어]]에서는 가끔 w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ㅜ로 옮기는 경우도 있다. 예로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푸틴]]은 '울라지미르 울라지미로비치 뿌찐'으로 쓰고, [[블라디보스토크]]도 '울라지보스또끄'로 쓴다. 한국어에서도 Правда('진리' 또는 [[소련 공산당]] 기관지)를 [[프라우다]]라고 쓴다(북한에선 쁘라브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더 두드러져 어말이나 자음 앞에 쓰일 경우 정말 /w/ 발음으로 변한다. 반대로 [[러시아]]에서는 /w/발음을 이 문자로 음역하고 한국어 고유명사에서 이중모음에 쓰이는 반모음 ㅗ/ㅜ도 마찬가지로 이 문자로 옮긴다. [[원산시|원산]]을 Вонсан으로 쓴다거나. 그러나 어떤 때는 발음을 고려해 그냥 У로 옮기기도 한다. [[로마자]]로 전사할 때는 대부분 v로 전사하지만 가끔 b로 전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대개 그리스어 표기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세바스토폴]](Севастополь)의 과거 로마자 표기는 Se'''b'''astopol이었고, 현재 표기는 Se'''v'''astopol이다. 또한 [[로마자]] [[U]]는 라틴어의 [[V]]가 기원이기 때문에 [[키릴 문자]]에서 유럽 언어권, 특히 [[라틴어]]가 어원인 로마자의 U를 전사할 때는 U가 아닌 V로 보고 그에 해당하는 키릴 문자인 В로 전사한다. 예를 들어 [[오로라항공]]의 오로라(Aurora)는 [[러시아어]]에서 아브로라(Аврора)로 표기되고, [[오스트리아]]도 [[러시아어]]에서는 아프스트리야(Австрия)로 옮겨적는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3)]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