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А а}}}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첫 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아즈(азъ). 대부분의 언어에서 /a/ 발음을 나타낸다. 유래는 [[그리스 문자]] [[알파]]([[Α]]/α). == Ә ә == [[타타르어]], [[바시키르어]], [[카자흐어]], [[아제르바이잔어]] 키릴 문자 체계를 포함해 [[튀르크어족]] [[언어]]들에서 [[근저모음#s-2.1|/æ/]] 모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아제르바이잔어와 [[투르크멘어]]의 경우 키릴 문자 체계에서 라틴 문자 체계로 개혁한 이후 Ä ä로 바꾸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Ä ä를 그대로 유지했지만 아제르바이잔은 찍어야 하는 점이 많다는 이유로 이 글자를 유사한 형태의 라틴 문자인 [[Ə|Ə ə]]로 부활시키기도 했다.[* 아제르바이잔어 [[모음조화]] 체계에서 후설모음 a에 대응되는 전설모음은 ə이기 때문에 ə가 엄청나게 많이 쓰이고, 대응되는 짝이 없는 e의 사용 빈도가 오히려 적다. [[애뷜패즈 엘치배이]] 전 대통령의 이름을 아제르바이잔어로 쓰면 'Əbülfəz Elçibəy'인데 마지막으로 알파벳이 바뀌기 전에는 'Äbülfäz Elçibäy'였다. 이름 하나 쓰기 위해 점만 9개 찍어야 했다...] 아제르바이잔어에서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엄격하게 구분하기 때문에 둘을 혼용하는 일은 드물다. 한국에서는 발음 기호를 나타내는 데에 있어 해당 키릴 문자를 잘못 혼용하는 경우가 있다. 유니코드상에서는 키릴 문자인 Ә(U+04D8)와 ә(U+04D9), 라틴 문자인 Ə(U+018F)와 ə(U+0259)로 구분된다. 예외적으로 [[압하스어]]에서는 [[이중조음 자음#s-1.1.4|/w/]] 음소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칼미크어]]에선 /ə/ 모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Ӕ ӕ == [[오세트어]]에서만 쓰이는 글자. [[근저모음#s-2.2|/ɐ/]] 모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이 문자는 라틴 문자이자 국제 음성 기호로 사용되는 [[AE#s-3|Æ æ]]와 인코딩 상에서 차이가 있는 문자이다. 하지만 발음 기호를 나타내는 데에 있어 해당 키릴 문자를 잘못 혼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잦다. 유니코드상에서는 키릴 문자인 Ӕ(U+04D4)와 ӕ(U+04D5), 라틴 문자인 Æ(U+00C6)와 æ(U+00E6)로 구분된다. == Ӑ ӑ == [[추바시어]]와 킬딘 사미어에서 쓰이는 문자이다. == Ӓ ӓ == 킬딘 사미어와 [[한티어]]에서 쓰이는 문자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1)]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