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뜻, rd1=오메가)] [include(틀:그리스 문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mega.png]]}}}|| [목차] == 개요 == {{{+1 Ω ω / 오메가}}} [[그리스 알파벳]]의 24번째 글자, 즉 마지막 글자이다. 큰 "오"라서 이름에 [[메가]](μεγα)가 붙었다.(반대는 [[Ο]](오미크론)) 대문자로 Ω[* 손글씨에서는 O에 밑줄을 그은 형태(__O__)처럼 [[https://www.123rf.com/photo_27989827_twenty-four-letters-of-greek-alphabet-from-alpha-to-omega-in-upper-case-handwritten-with-white-chalk.html|쓰기도 한다.]]], 소문자로 ω라고 쓴다.[* 소문자의 모양이 w와 비슷한 탓에 대개 수학 등에서 ω라는 개념이 처음 다뤄질 때는 w가 아니라 '오메가'라 읽는다는 것을 강의에서 제시하는 편.] 로마자로는 Omega라고 표기한다. [[Ε]]와는 반대로 가장 음운적 특징이 강한 모음이다. 어떤 모음과 합쳐져도 Ω의 음가를 따른다. 이외에 선행하는 Α와 후행하는 Ο가 합쳐져 Ω를 만든다. [[갓 오브 워 시리즈|갓 오브 워 표지에서도]] 크레토스 뒤에 있는데 올림푸스의 신들을 학살하고 세상까지 멸망시킨 [[크레토스]]와 참 어울리는 문양이다. 오메가 소문자는 이모티콘에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ω≡, [[OwO|OωO]]. 이 문자에서 이름을 따온 스위스의 시계 브랜드 [[Omega]]는 문자 모양 그대로 로고를 사용하였다. 포켓몬 3세대 리메이크 버전인 오메가루비 버전의 이름에 유래가 되었다. 캐나다 출신 [[프로레슬러]] [[케니 오메가]]의 경기복과 등장 타이탄트론에 새겨진 문장이기도 하다. [[파일:external/baa387fdd1df15d80571ca800b361561a3381e2568fa0ccf2b24f4cc401b224d.jpg]] 태양이 해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생기는 잔영이 오메가 모양을 만드는데, 이를 오메가 일출이라고 한다. 그리스어 24개 알파벳 중 가장 마지막 문자라는 점 때문에 끝, 완성, 완벽이란 의미로도 쓰인다. 첫 번째인 알파가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쓰이듯이 오메가도 알파처럼 우두머리란 뜻으로 쓰이거나, 1등과 꼴찌라는 느낌으로 알파와 대비시켜 서열이 가장 낮은 존재의 의미로도 쓰인다. [[알파(동물행동학)]] 참조. [[요한 묵시록]]에서 쓰인[* 1장 8절, 21장 6절, 22장 13절] 표현인 "'''알파'''요 '''오메가'''다."의 오메가가 이것이다. 뜻은 그리스 문자의 첫 번째와 마지막인 알파와 오메가처럼 처음과 끝을 의미한다.[* [[가톨릭]] 성당과 개신교 예배당 등에서도 ΑΩ가 써져 있거나 둘을 합친 장식이나 표시를 볼 수 있다. 로마자인 A와 Z를 사용해서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현대자동차]]의 [[현대 아토스]] 역시 A to Z(처음부터 끝까지)라는 뜻을 담고 있다.]] 재밌는 점은 [[요한 묵시록]]에서는 이 문자가 오메가라 불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요한 묵시록 저술 시기에는[* 현대 주석학의 추정: AD 91-96년] Ω(ω)가 아직 오메가라고 불리지 않았고, 그냥 알파벳 그대로 장음 [오]로 발음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약 300년 후에 번역된 [[히에로니무스]]의 [[불가타]] 라틴어 성경에서는 이 문자를 Omega라고 적고 있다. 고대의 언어 변화를 엿볼 수 있는 부분. >ἐγὼ '''τὸ ἄλφα καὶ τὸ ὦ''', ὁ πρῶτος καὶ ὁ ἔσχατος, ἡ ἀρχὴ καὶ τὸ τέλος. {{{-2 (원문)}}}[* Nestle-Aland 28판] > >[egō '''to alpha kai to ō''' ho prōtos kai ho eschatos hē archē kai to telos] {{{-2 (로마자 전사)}}} > >ego '''Alpha et Omega''' primus et novissimus principium et finis {{{-2 (불가타)}}} > >나는 '''알파와 오메가''', 곧 처음{{{-2 ''prōtos''}}}과 마지막{{{-2 ''eschatos''}}}이며 시작{{{-2 ''archē''}}}과 끝{{{-2 ''telos''}}}이다. {{{-2 (공동번역성서)}}} >---- >요한묵시록 22장 13절 == 현재에도 그리스 문자로 쓰는 용례 == === [[수학]]에서 사용하는 기호 === 대문자 오메가 [math(\Omega)] 의 경우 특수한 꼴의 [[지수함수]] 역함수인 [[람베르트 W 함수]]에 1을 대입하면 얻을 수 있는 [[오메가 상수]]로 쓰인다. 소문자 [math(\omega)]는 삼차 방정식의 허근을 나타내는 용도로 흔히 쓰이는 데, 그중 특별히 [[1의 거듭제곱근/세제곱근|[math(x^3=1)]의 허근]] 을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아이젠슈타인 정수]] 등에서도 등장한다. 참고로 [[게오르그 칸토어]]가 [[절대적 무한]](Absolute Infinite, 기호: '''Ω''')과 구분하기 위해 상대적 무한(Relative Infinite, 기호: '''ω''')에 붙인 이름이 바로 [[초한수]](Transfinite number)다. [[정수론]]에서는 [[소인수 계량 함수]]의 이름자로 쓰인다. === [[물리]]에서 사용하는 기호 === 대문자(Ω)는 [[저항]]의 단위 [[옴]]이다. 소문자 ω는 보통 [[각속도]]를 나타낸다. 단위는 주로 (rad)/s. 각속도에서 개념을 확장하여 각주파수로도 쓰며 푸리에 변환에서 지겹게 보는 문자다. 만일 현대의 [[입자 물리학]]으로 넘어간다면, ω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9%94%EA%B0%80_%EC%A4%91%EA%B0%84%EC%9E%90|오메가 중간자]]를 Ω 는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9%94%EA%B0%80_%EC%A4%91%EC%9E%85%EC%9E%90|오메가 중입자]]를 가리킨다. === [[화학]]에서 사용하는 기호 === 유기화학에서 [[불포화 지방산]]을 분류할 때, 지방쇄의 끝에서부터 몇 번째의 탄소가 이중결합하고 있는지(즉, 불포화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 쓰인다. 영양학적으로는 [[지방산#s-2|오메가 3, 오메가 6]]으로 분류되는 지방산이 중요하게 언급되며 그 외에 오메가 9 지방산 등이 있다. === [[컴퓨터공학]]의 [[시간 복잡도]] === [[컴퓨터공학]]에서 [[시간 복잡도]]는 흔히 'Big-O 표기법'이라고 부르는 [[점근 표기법]]이 사용되는데, 하한에 대한 내용을 다룰 때, [math(\Omega())]와 [math(\omega())] 가 사용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오메가, version=203)] [[분류:그리스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