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리듬게임 수록곡, rd1=Φ(Street))] [include(틀:그리스 문자)] [목차] == 개요 == {{{+1 Φ φ / 피}}} 대문자가 Φ, 소문자는 φ. [[양순음]]인 [[Π|Π/π]](파이)와는 달리 [[순치음]] 발음이다. [[라틴 문자]]로는 'phi'로 쓴다. 이전 문자는 [[upsilon]], 다음 문자는 [[chi]]이다. 로마자로 전사할 때는 [[PH|ph]]로 쓴다. 영어를 비롯한 유럽 언어의 ph 철자법은 거의 그리스어에서 가져온 말.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한국어의 'ㅍ'과 같은 [pʰ] 발음이었고 로마자 전사도 이를 반영한 것인데, 그리스어에서는 발음이 [[순치음]]인 [f]으로 변했고 [[영어]]나 다른 유럽 언어에서도 비슷한 변화를 보였다. Φ에서 유래한 [[키릴 문자]] Ф도 변화된 발음인 [f] 발음이다. 한국어에서는 표준어상 “피”이지만, 관습적으로 “파이”라고 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파이라고 할 시 [[π]]와 발음이 겹치는데, 변별을 위해 “화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 현재에도 그리스 문자로 쓰는 용례 == * 대문자 * [[철학]]을 상징하는 기호이다. * [[선속]]의 기호이다. 자기선속과 전기선속 등을 나타내는데 쓴다. 이때 워낙 비슷하게 생긴 소문자와 구분하기 위해 세리프를 넣기도 한다. * [[전기 퍼텐셜]]의 기호로 쓰인다. * 전기공학에서 송배전선로를 구분할 때 “○상 ○선식”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기호로 나타낼 때 상을 Φ로 적는다. 예컨대 3상 3선식일 때는 3Φ3W으로 쓰는 식 * [[천문학]] 혹은 [[물리학]]에서 중력 퍼텐셜을 뜻하는 기호로 쓰인다. * [[가면라이더 파이즈]]의 모티브이다. * 소문자 * [[황금비]]의 기호이다. * [[지름]]의 기호이다. [[파이프]] 등 건축 자재, [[이어폰]] 등 전자 장비의 꽂는 금속 부분의 지름을 나타낼 때 쓰며, 보통 파이라고 읽는다. 카메라의 [[렌즈]] 또한 구경의 지름을 나타낼 때 이 기호를 사용한다. [* 예를 들어 구경이 58mm인 렌즈는 Φ58mm 로 표기한다.] 다만 [[유니코드]]에서는 지름을 나타내는 데에는 별도의 기호 ⌀(U+2300)으로 정해져 있다. * [[좌표|구면좌표, 원통좌표]]에서 [[세타]]와는 다른 방향의 각도를 나타내는 변수로 쓰인다. 구면좌표계에선 주로 방위각을 나타내는 데에 쓴다. * [[위도]]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 [[정수론]]에서 [[오일러 피 함수]]를 [math(\phi)][math((n))]으로 나타낸다. * [[Fast-growing hierarchy|fgh]]에서 베블런 함수를 나타내는데 쓰는 문자다. * [[양자장론]]에서 스칼라 장의 기호로 쓰인다. * [[전기 퍼텐셜]]을 나타내는 기호로 종종 사용된다. 사쿠라이 양자역학 교재 등에서 볼 수 있다. 자기 선속을 의미하기도 한다. * [[프사이]]([[ψ]])가 여러개 필요할 때 프사이를 대신하는 기호로 쓰인다. * [[생물학]]에서 대문자 혹은 소문자가 phage의 줄임말로 쓰인다. 예를 들어, [[대식세포]]는 Mφ 또는 MΦ로 줄여 쓴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파이, version=40)] [[분류:그리스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