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vg/ League]] [include(틀:링크시 주의, 링크=[[문서:/vg/ League/팀 목록]] 또는 [[vg league/팀 목록]])] * 상위 항목: [[문서:/vg/ League|/vg/ League]] [목차] == 개요 == [[문서:/vg/ League|/vg/ League]]의 참가 팀들을 정리한 문서. [[https://implyingrigged.info/wiki/List_of_/vg/_League_teams|전체 팀 목록]] 스레드 및 팀의 이름은 /슬래시/ 안에 들아가게 표기하며, 상당수 팀 이름 맨 뒤에 붙는 g는 general, 즉 해당 주제 전반을 다루는 스레를 의미한다. 또한 몇몇 팀 로고에는 Divegrass란 단어가 들어가 있는데, 잔디밭(grass)에 꼬라박고서(dive) 경기 흐름을 방해하는 [[침대 축구]]를 비꼬면서 나온 은어이다. Football과 Soccer 사이의 중립적 단어가 필요하기도 하고, 선수 교체와 전술 수정을 위해 경기가 자주 일시정지되다 보니 자조적으로 쓰는 표현. 팀의 정규 대회 우승 여부는 이름 옆에 ☆로 표시 == 현역 팀 == /vg/ league 21 기준으로 현역으로 뛰었던 팀들을 다룬다. === [[파일:25px-@_icon.png]] /@/ === [[THE iDOLM@STER|아이돌마스터 시리즈]] 팀. 2015년에 시리즈 10주년을 기념하며 창설. 본가, 신데마스, 밀리마스, 사이마스[* 2022년까지는 [[텐도 테루|테루]], [[타카죠 쿄지|쿄지]], [[신겐 세이지|신겐]] 등도 선수로 뛰었으나, 2024년 현재 단일인물 사엠 선수는 아예 없고, 그나마 남성 선수는 신데 출신인 [[프로듀서(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애니메이션)|TakeP]]와 [[카미야 나오|카미야]] 등에 [[요코야마 나오|요코야마]]와 [[오카무라 나오|오카무라]]가 업힌 Nao > Nao > Nao가 있다.], 샤니마스 모두 출전. 키 플레이어는 [[키사라기 치하야|72]]와 [[노노와씨|のヮの]], [[마유즈미 후유코|UGH]], [[타나카 코토하|FAT BITCH]], [[아케타 미코토|Bouncy Bouncy]]이며 주전 골키퍼는 [[센카와 치히로|Jewhiro]]였다가 2023년 하반기부터 [[시라이시 츠무기|MOOGY]]가 출전 횟수를 늘리고 있다.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U149/애니메이션|U149 애니]]가 나오고선 [[타치바나 아리스|아리스]][* 아리스는 조그만 체형에 노트를 팔에 끼고 뛴다.]와 [[아카기 미리아|미리아]], [[이치하라 니나|니나]], [[류자키 카오루|카오루]]가 참가했으며 미리아, 니나, 카오루는 U149 1화의 한장면처럼 3명이 한 선수로 일렬로 선채로 나온다.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Song for Prism|샤니송]] 출시 직후엔 [[CoMETIK|코메틱]]이 통째로 한 선수로 합류했는데, 움직일 때마다 [[無自覚アプリオリ|게다리춤]]을 춘다. 최고 성적은 VGL6과 17에서 6위 두 번. MobaBowl은 2023에서도 3위, 2024에서도 4위에 그쳤다. 공격적인 팀임에도 9년 째 무관 === [[파일:25px-2hug_icon.png]] /2hug/ ☆ === [[동방 프로젝트]] 팀. 주장은 [[카자미 유카|Pls Rember]][* 원문: pls rember that wen u feel scare or frigten never forget ttimes wen u feeled happy wen day is dark alway rember happy day / 처음엔 2012년에 [[볼짤]] [[하쿠레이 레이무|레이무]]와 함께 4chan에 올라왔던 문구로, 영문법 상으로 봤을 땐 엉망이라지만 정감가는 내용 덕분에 2015년 경에 4챈에서 재발굴되어 볼짤 유카로 바꾼 템플릿이 꾸준글화되었다. 이후 영어권 동방의 대표적인 밈으로 자리잡았다.]. 그 외 키 플레이어는 [[쿠모이 이치린|Burning down the thread]][* 뒤집어쓰는 두건을 히잡이라고 보는지 무슬림 취급한다. 이마에는 파키스탄 국기를 두르고, RPG를 들고 다니며, 골 셀레브레이션도 알라에게 기도를 드리는 모습으로 주로 나온다.], [[레밀리아 스칼렛|Dead]] [[플랑드르 스칼렛|womb]], [[야쿠모 유카리|Bicycle Yukari]]. 2020년 중반(VGL14)에서 2022년 후반까지(VGL19) 중간에 7연패를 겪기도 하는 등 슬럼프에 빠진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vg/ league 21에선 탄탄한 수비[* 골키퍼 [[클라운피스|1cc Killer]]는 /lcg/의 CLAPPED 이전에 유일한 골키퍼 리그 MVP였을 정도로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왔었고, 서브 골키퍼인 [[히지리 뱌쿠렌|Byakuren did nothing wrong]]도 /revue/와의 결승 한 게임에서 6세이브를 기록했다.]를 강점으로 내세워[* 그룹 라운드에서 운도 좋은 편이였는데, /2hug/가 속한 Group K는 /assg/를 제외한 나머지 두 팀 /alg/와 /ss13g/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팀이였고, 거기에 /ss13g/가 /assg/를 1-0으로 꺾는 대이변이 일어나며[* Biggest Spaghetti Moment로 선정되었다.] /2hug/가 조 1위로 진출할 수 있었다.]결승에서 /revue/를 꺾고 우승하면서 화려하게 부활했고[* 그래도 결승 끝나고 치러진 끝판왕 팀 /kyot/과의 매치에서는 11대2로 참패했다. 후술할 최다 우승팀 /twg/조차도 끝판왕팀 상대로 번번이 이기지 못했을 정도였으니 말이다. 여담으로 /kyot/는 팀명 그대로 /pcrg/의 [[캬루|kot]]을 모델로 양산한 고양이팀이고~~[[JAZZ JACK|재즈잭]] 승리~~ 그중에는 [[쿠로미 세리카|Syerika]]도 끼어있었다. 자기 팀인 /bag/의 복수를 이룬 셈.] 2024년 1월에 열릴 2024 4chan Winter Cup에 플리스 렘버가 /vg/ 대표팀에 승선하였다. VGL22를 앞두고 Ladies Night 2부터는 우승을 상징하고자 팀 로고의 플리스 렘버 머리에는 해바라기 한 송이를 꼽아줬고, 플리스 렘버가 챔피언 벨트를 차고 경기를 뛰기 시작했다. 16강 그룹 스테이지에서 3전 전승을 거두고 8강에서 /hanny/에 4-0으로 승리하는등 파죽지세였으나 4강에서 /gbpen/에게 3-2로 패하고 최종 3위에 머물렀다. === [[파일:25px-aceg_icon.png]] /aceg/ === [[에이스 컴뱃 시리즈]] 팀, 라이벌이라고 볼 수 있는 /wtg/가 43위인 것에 반해 현재 15위로 상당한 강팀이다, 다만 11위 위로 2016년 이래 올라가본 적이 없는 것이 흠.[* /wtg/는 2위까지 올라가 본 적이 있다.] 선수 복장은 게임 속 에이스 편대나 국기 기반으로, 홈 키트는 [[스카페이스 1]], 어웨이 키트는 [[라즈그리즈의 유령]], 골키퍼 키트는 [[벨카(에이스 컴뱃 시리즈)|벨카]], 써드 키트는 [[래리 폴크]], 포스 키트는 [[황색 13]]인 식. /vg/ League 21에서 /ggg/ 상대로 초반에 골을 바로 [[래리 폴크|Pixy]] 가 넣어버리며 [[Zero(에이스 컴뱃 제로 OST)|Zero]]가 울려퍼졌으나 지속된 수비실패로 2-1로 패배했다. 결국 3패로 마감. === [[파일:25px-akg_icon.png]] /akg/ ☆ === [[명일방주]] 팀. 키 플레이어는 당연히 [[아미야|Donkey]]와 [[박사(명일방주)|ZERO SANITY]].[* 이름에 걸맞게 이성이 바닥나 네 발로 기어다닌다.] 동키가 득점할 시 나오는 골 혼은 본인이 닥터를 중얼거리는 일명 [[https://www.bilibili.com/video/BV1L4411a79Y/?from=search&seid=11693910994805211758|박사 송]]. 이 외에도 골키퍼 [[머틀|BLOCK CERO]][* 깃발에 인종차별을 하랍시고 'Be Racist'라고 써있다...], [[라플란드(명일방주)|Lapipi]], [[실버애쉬|The Best]] 등이 주전으로 뛰고 있다. /vg/ League 18 때 우승했으며, 그 앞뒤로 /vg/ League 15, 16, 19에서도 준우승을 거둘 정도로 강팀. 일설에 의하면 akg팀의 매니저가 진짜 축구 감독하듯이 열과 성을 다해서 분석한다고. 하지만 /vg/ League X-2에서는 고점이 터진 /dbg/에게 16강에서 허무하게 역전패하고 탈락했다. /vg/ League 21에서는 /fgog/, /utg/에게 연달아 패하고 첫 참가팀인 /omg/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조 최하위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omg/를 잡고 /utg/가 /fgog/를 잡아야 실날같은 희망을 노려볼 수 있었는데 /fgog/가 승리하면서 /akg/는 /omg/전에 상관없이 탈락.] Ladies Night 2에서도 /hanny/에 2-2 무승부, /nepgen/에 2-5 패, /prcg/에 1-2 승으로 1승 1무 1패로 /hanny/와 승점 4점 동률이지만 골득실에서 1점 밀리는 바람에 3위로 그룹 스테이지 탈락해 부진을 이어나갔다. === [[파일:25px-alg_icon.png]] /alg/ === [[벽람항로]] 팀. [[에식스(벽람항로)|Eh? SEX?]]가 얼굴마담 하는 팀이라 홈구장인 인공섬 군비행장 이름도 Essex island고 부주장도 맡고 있다. 주장인 [[엔터프라이즈(벽람항로)|E]]와 [[론(벽람항로)|Build Roon]]는 에섹스와 함께 포워드에 서며, 공격형 미드필더인 [[벽람항로/설정#s-3.1|Shitcan]]의 프로필 사진은 제복 입은 [[야수선배]]이다. 골키퍼는 [[뉴저지(벽람항로)#s-4.1|HONEYYYYYY]] 정규 대회 성적은 6승 20패 9무 승률 17.14%로 매우 저조하고 16강에 간 적도 없지만, MobaBowl 2024에서 /fgoalter/를 상대로 승자 결승과 최종 결승에서 두번 모두 잡고 최후의 모바볼 대회 우승자로 남았다. 우승 후 에섹스의 댄스 영상이 재생되었다. 한 달 뒤에 열린 Ladies Night 2에서는 /gfg/에 2-4 패, /pg/에 1-6으로 참패하면서 모바볼 우승이 무색하게 조 최하위 탈락의 수모를 당했다. 그나마 마지막 경기에서 /xgg/ 상대로 3-2 승리를 거두고 물귀신 작전 성공. === [[파일:25px-assg_icon.png]] /assg/ === [[비대칭 PvP|비대칭 슬래셔]] 게임들 팀. [[DEAD BY DAYLIGHT|데바데]]가 주를 이룬다. 키 플레이어는 [[카니발(DEAD BY DAYLIGHT)|Basement Bubba]]와 [[수도사(DEAD BY DAYLIGHT)|I CAME]][* 해당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성적인 표현이므로 일상 회화에서 "나 왔어" 같은 의미로 써선 안 된다!] === [[파일:25px-bag_icon.png]] [[문서:/bag/|/ba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서:/bag/)] === [[파일:25px-dbg_icon.png]] /dbg/ ☆☆ === [[드래곤볼/게임|드래곤볼 관련 게임]] 팀. /vg/ League 11, 12 연속 우승을 거머쥐었다. [* 두 번 우승을 한 덕에 팀 로고의 빨간 별 네 개 짜리 드래곤볼에서 별 두 개가 노란색으로 바뀐 모습이다. 앞으로도 우승 횟수가 늘어나면 드래곤볼 안에 노란 별 갯수도 늘어날 듯] 저점일때는 부진하지만 고점이 드러날때는 전투민족답게 미쳐날뛰는 상반된 경기력이 특징이다. 키 플레이어는 [[오지터|GOGETA DA]]와 [[베지트|YOSHAAAA]], [[베지터|I KNEEL]][* 이 셋은 경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머리색이 까만색→[[초사이어인|노란색]]→[[초사이어인 블루|파란색]]으로 바뀌기도 한다. 아니면 처음부터 파란 머리로 출전하는 경우도 있다.], [[지렌|ENTER]], [[셀(드래곤볼)|Cell Ballin]][* [[https://www.youtube.com/watch?v=IJxv-9flH8E|셀이 덩크를 넣는 쇼츠]]에서 비롯된 밈. 남들 축구할 때 혼자서 농구하고 있다. ]. /vg/ League X-2에서는 서바이벌 라운드에서 /gbpen/을 7대1로 대파하고 16강에서도 /akg/를 3대1로 잡는등 강력한 우승후보로 떠올랐으나 8강에서 /indie/에게 패하고 말았다. === [[파일:25px-ddlc_icon.png]] /ddlc/ === [[두근두근 문예부!]] 팀. 등장 히로인은 원래 4명인데 억지로 복붙하는 방식으로 늘렸다. 유니폼은 교복(...), 주장인 [[모니카(두근두근 문예부!)|Just Monika]] 득점 시 나오는 골 혼은 [[Mambo No. 5 (A Little Bit Of...)]]에서 나오는 이름을 전부 모니카로 바꿔버린 [[https://youtu.be/7yRzNh16Z6E?feature=shared|Monika No.5]]. VGL21에서 그룹 스테이지 A조에 디펜딩 챔피언 /twg/, 썩어도 준치인 /llsifg/, /fgoalter/와 한조에 배치되었는데 4시드에도 불구하고 조1위로 통과하는 이변을 일으키고 최종 3위를 차지했다. ##모니카넘버5 원본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eFpZNHFlyt0&t=0s|#]]은 연령 제한 걸려 있어 다른 영상 주소로 대체함## === [[파일:25px-egg_icon.png]] /egg/ === [[비시즈]], [[Space Engineers]], [[팩토리오]], [[Kerbal Space Program]] 등 여러 엔지니어링 게임 팀.[* 전신이었던 커벌 스페이스 프로그램 단독팀 /kspg/는 VGL 창립 멤버였다. VGL6까지는 /kspg/였다가 VGL8부터 다른 게임들이 합류하여 /egg/로 재편한 것이므로 나름 원년 구단 정통성이 있는 팀이다.] 주장은 팀명에 걸맞게 [[닥터 에그맨|RARE EGGMAN]][* 대부분 VGL 팀들이 공격수가 주장을 맡는 반면, 에그맨은 골키퍼 주장이다.]이고, [[토마스(토마스와 친구들)|Thomas the Legendary]]도 두 다리를 달고 뛴다. 몇년 간 성적이 좋지 않았지만, VGLX-2때부터 PES를 해본 경험이 있는 anon이 나타나며 매니저로 취임 후 막바지 /wtg/를 상대로 깜짝 승리를 쟁취하였다. === [[파일:25px-feg_icon.png]] /feg/ === [[파이어 엠블렘 시리즈]] 팀. 초대 대회부터 개근 중 중인 창립 멤버 중 하나. === [[파일:25px-fg_icon.png]] /fg/ === [[니혼 팔콤]] 게임 올스타 팀. [[이스 시리즈]]와 [[궤적 시리즈]]가 한팀으로 나온다. === [[파일:25px-fgoalter_icon.png]] /fgoalter/ === [[Fate/Grand Order/해외 서비스#s-3|페그오 북미 서버]] 관련 게시판으로 구성되었다. 홈구장은 /fgog/와 무한의 검제를 공동이용하고 전용구는 [[후지마루 리츠카#s-8.2|구다코]] 머리이다. 팀명에 얼터가 들어갔듯이 대부분 얼터 버전으로 나오는데, 유니폼부터 [[세이버 얼터]]이고, 잔느는 원본 [[잔 다르크(Fate 시리즈)|JANNU]]는 주전 골키퍼로, [[잔 다르크 얼터|Jalter is Reddit]]는 공격수로 둘 다 등장할 정도며, [[진 어새신|ZANZIBAR!]]도 한 몫 한다. 그런데 이 팀에는 페그오랑 전혀 상관없는 [[키류 카즈마|Finally a Break]]가 속했고 전용 골 혼도 [[https://www.youtube.com/watch?v=SaNmV7Sx5_M|'YAKUZA 0 - Friday Night']]이다. 여기에 북미 서버 팀이랍시고 주장인 Don't be greedy는 한 손엔 엑스칼리버를, 한 손엔 다키마쿠라를 들고 뛰어다니는 [[쿠 클럭스 클랜|KKK]]다. === [[파일:25px-fgog_icon.png]] /fgog/ === [[Fate/Grand Order|페그오 일본 서버]] 게시판으로 구성되었다. 팀 유니폼은 5차 아처 의상, 홈구장 역시 [[언리미티드 블레이드 워크스|무한의 검제]]다. 골키퍼인 [[야규 타지마노카미 무네노리]]가 [[베인(다크 나이트 트릴로지)|BANE?]] 마스크를 썼으며 키 플레이어로는 [[아처(5차)|Smug Redman]][* [[What Made Red Man Red]]에서도 볼 수 있듯이 아메리카 원주민 인종차별 단어이다.], [[길가메시(Fate 시리즈)|AUO]], [[버서커(4차)|JETS]], [[어새신(5차)|REGEND]], [[O.R.T.(Fate/Grand Order)|One Radiance Thing]] 이 있다. === [[파일:25px-gbfg_icon.png]] /gbfg/ === [[그랑블루 판타지]] 팀. 사이게임즈 팀이 더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키무라 유이토|KMR]]은 이 팀에서만 선수로 출전한다. === [[파일:25px-gbpen_icon.png]] /gbpen/ ===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 팀. 7밴드 멤버들이 골고루 배분되었으며, MobaBowl 2024에서 시범출전을 거친 뒤 VGL22부터는 마이고[* [[치하야 아논|ANON TOKYO]]가 포워드로 뛸 예정]도 본격적으로 등장할 예정. 키 플레이어는 [[마루야마 아야|Pink Fluffy Leader]], [[미나토 유키나|Are You Fully Devoted?]], [[츄츄(BanG Dream!)|Angry Gremlin]]이고 골키퍼 [[오쿠사와 미사키|Can't Deal with this Shit]]은 미셸이 그려진 유니폼을 입고 있다. 최고 성적은 /vg/ League 16 3위. /vg/ League 21에서는 2무 1패로 광탈했다.[* /vgt/가 /nikg/를 상대로 이기며 3승 1위를 달성한 와중에, /gbpen/과 /egg/의 마지막 경기가 무승부가 날 경우에는 /nikg/가 2무1패 3팀 중에 골득실 우위로 서바이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는 상황이었다. /gbpen/이 선취점은 얻었으나 곧바로 해트트릭을 내주고 절망스러웠던 와중에 후반전에 매니저가 전술을 수정하며 내리 2골을 넣고 비기며 /egg/에 고춧가루를 제대로 뿌리고 말았다. 희망을 놓지 않았던 니케갤은 새벽 중에 뱅드림 찬양으로 시끄러웠다.] Ladies Night 2에서는 VGL21 우승팀으로서 역시 이 대회에서도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펼치던 /2hug/를 4강에서 꺾은 뒤 결승에선 /ink/에 3-2로 패하며 준우승하였다. === [[파일:25px-gfg_icon.png]] /gfg/ === [[소녀전선 시리즈]] 팀. 명목 상으로는 [[뉴럴 클라우드]]와 [[소녀전선 2: 망명]]도 포함한다지만 아직은 1편 위주이다. 주장은 [[M4 SOPMOD II(소녀전선)|Sopdog]]. 첫 출전 대회였던 VGL11 때는 4위를 달성하는 파란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이후로는 16강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2023년 들어서는 /uma/, /vitagen/와 함께 대표적인 조별리그 승점자판기 취급을 받는다. Ladies Night 2에서는 팀을 대규모 리빌딩하여 로고도 기존에 쓰던 [[그리폰&크루거]]가 아닌 [[철혈공조]]로 바꾸고, 선수들도 물갈이하고 출전하였는데 조별 리그부터 그 승점자판기가 맞는가 싶을 정도로 선전하고, 비록 8강 토너먼트 1라운드부터 /gbpen/을 만나 탈락했음에도 최종 5위를 기록했다. === [[파일:25px-ggg_icon.png]] /ggg/ === [[길티기어 시리즈]] 팀. /vg/ League X-2에서는 8강까지 진출했으나 다음 대회에서는 조별 라운드 탈락. === [[파일:25px-gig_icon.png]] /gig/ === [[원신]] 팀. 골키퍼는 [[종려|CEO of GEO]], 주장인 [[클레|Fuck Jeannies]]와 [[나히다|Touch Grass]]는 일반 선수들보다 훨씬 작은 체구를 잘 살린 모델링으로 호평 받고 있다. 그 외에 키 플레이어는 [[다이루크|UNMATCHED]], [[라이덴 쇼군|BWEHHHH]], [[느비예트|TEYVAT HAS FALLEN]]. 최고 성적은 /vg/ League 19 3위. === [[파일:25px-hanny_icon.png]] /hanny/ === [[앨리스 소프트]] 팀. [[란스 시리즈]]가 주를 이룬다. VGL21 로스터 기준 골키퍼는 [[켄토우 카나미|Useless Ninja]]고 키 플레이어는 [[란스(란스 시리즈)|Rance]]와 [[엘 모프스|Mankograbber]], [[마리스 아마릴리스|MALICE]]다. VGL2때 처음 출전한 다음 잠깐 쉬었다가 VGL6부터 다시 꾸준히 출전해서 VGL21까지 총 17회 출전했다. 최고 기록은 VGL18때 4위를 한 것이고 보통은 조별리그에서 떨어지거나 16강에서 떨어진다. 어느 팀이나 그렇겠지만 이 팀도 몇가지 밈(?)이 있다. 먼저 이 팀의 팬들은 Aiya나 Haniho를 외치며 스스로 [[하니(란스 시리즈)|하니]]를 칭하고 응원문구로 Our Year나 Our Decade 혹은 /hanny/'s Year나 /hanny/'s Decade를 주로 쓴다. (특히 Decade) 1년이나 10년을 넘어서 세기라던지 아예 밀레니아를 외치는 경우도 있다. VGL 21에 출전 신청을 할때 매니저도 이 문구를 써먹은걸 보면 그냥 팀차원에서 미는 것 같다. VGL 21에서는 평소보다 골도 많이 넣고 골키퍼 유슬리스 닌자가 /xgg/와의 경기에서 슈퍼 세이브를 여러번 선보이는 등 좋은 내용의 경기를 펼치다가 16강에서 /vn/에게 3:2로 져서 떨어졌다. === [[파일:25px-hgg2d_icon.png]] /hgg2d/ ☆☆ === 2D [[에로게|야겜]] 팀. 골키퍼는 [[엔터프라이즈(벽람항로)|엔터프라이즈]][* 본진인 /alg/에서는 주장이자 스트라이커로 참가한다.], 키 플레이어는 [[앨리스(BLACK SOULS 시리즈)|앨리스]]와 후미카로 후자는 혼자 납작한 2d로 나와서 웃음을 준다. 이외에도 [[라비 아르나|통나무 다리]], [[vh게임01|나나코]], [[SEQUEL awake|노쟈]], [[Night of Revenge|카넬라 맥위치]] 등 휴지끈이 길면 알게 되는 다양한 선수들이 존재하며, [[리프(BLACK SOULS 시리즈)|리프]]는 심판으로 참가하고 있다. 라이벌 팀은 /hanny/. 최고 성적은 /vg/ League 16, 17 두 대회 연속 우승을 거머쥔 전통의 강호다. 하지만 /vg/ League 21에서는 조별 라운드 탈락의 수모를 당했다. === [[파일:25px-hsrg_icon.png]] /hsrg/ === [[붕괴: 스타레일]] 팀. 주장은 [[블레이드(붕괴: 스타레일)|Literally Me]], 키 플레이어는 [[부현(붕괴: 스타레일) |Hmph!]], [[청작|E6 Qingque >]][* 상대팀 에이스 이름을 부등호 옆에 넣어 청작이 이 에이스보다 더 강하단 식으로 허세를 부린다.], [[토파즈&복순이|TopASS]][* 복순이는 Trotterlord라는 별개 선수로 출전한다.], 골키퍼는 [[클라라(붕괴: 스타레일)#s-8.1.1|TASUKETE, SVAROG-KUN]]과 [[폼폼|Pom-Pom]]. /vg/ League 21부터 첫 참가하는데 하필 조별 라운드부터 같은 호요버스 선배 팀인 /gig/와 만나게 되었고 결국 /gig/에게 5대0으로 완패하면서 광탈했다. 심지어 2차전인 /kfg/에게도 4대3으로 패했다. === [[파일:25px-indie_icon.png]] /indie/ === [[인디 게임]] 게시판 대표팀. [[브래드 암스트롱|The Soup will never die]]를 얼굴로 삼고 있으며, 주장인 [[Baba Is You|Baba is]]는 후술할 /vrg/의 커스텀 아바타처럼 상대팀 캐릭터에 바바의 아이콘이 떠있는 모습으로 출전한다.[* 심지어 이 쪽은 Baba is 뒤에 붙는 단어도 매번 상대팀 상황에 맞춰 바꿔준다]. 이 외에 [[Noita#s-4|You have angered the Gods]], [[호넷(Hollow Knight)|SILKSONG WHEN]], [[Rain World#s-2.1|Slugcat]] 등이 키 플레이어로 나온다. 인디게임 특성 상 다른 팀과 중복되는 선수들도 더럿 있으며, 각각 팀 문단 주석에서 확인 가능하다. /vg/ League X-2에서 4위라는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 [[파일:24px-ink_icon.png]] /ink/ === [[스플래툰 시리즈]] 팀. 정규 시즌은 VGL19 이후로 예선에서부터 막혀 본선에 올라오지 못하고 있지만, Ladies Night 2에서 우승을 거머쥐었다. === [[파일:25px-kfg_icon.png]] /kfg/ === [[케모노 프렌즈]] 팀. 팀 소개 영상은 그 유명한 [[어서와 자파리 파크에]]. 키 플레이어는 [[서벌(케모노 프렌즈)|SUGOI]]로 골 세러머니도 [[https://www.youtube.com/watch?v=m3nf8Fd01ds|스고이 송]]이다. VGL Ladies Night 1 우승을 기록했다. MobaBowl 2024에서는 패자조 1R /nikg/전 5-3, 2R /Revue/전 7-2로 대파하면서 리그 파괴자로 부상했으나 3R /pmmm/전에서는 골키퍼 Bummy가 골대를 버리고 무작정 공을 몰고 뛰어가다가 Madokami에게 공을 빼앗기고 그대로 아무도 없는 골대에 선제골을 헌납하는 역대급 코미디 장면을 연출했고 이를 풍자하는 짤이 4ccg에 올라오기까지했다. 결국 승부차기까지 간 끝에 패배하고 탈락.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한 Ladies Night 2에서는 3무로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참고로 /kfg/가 속한 A조는 /gbpen/, /pmmm/, /llsifg/가 모두 1승 1무 1패 승점 4점 골득실 0를 기록했는데 다득점 순으로 /gbpen/과 /pmmm/이 1, 2위로 진출했다.] /pmmm/와 유독 악연이 깊은 팀인데 첫 경기인 친선전에서는 무려 7-2로 대패했고 VGL21 조별 라운드 마지막 경기에서 1-0으로 패했다. 그래도 kfg/는 /hsrg/에 승리를 거두며 /pmmm/과 같은 1승 2패지만 골다득실에서 앞서면서 조2위로 서바이벌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1경기만에 광탈했다.(1위는 3전 전승 /gig/.) MOBABOWL 2024에서도 패자조 3R에서 승부차기 대결 끝에 탈락했으며 그나마 Ladies Night 2에서 1-0으로 끌려가는 상황에서 경기 끝나기 직전에 SUGOI가 동점골을 기록하면서 무승부를 기록하는등 조금씩 나아지고있긴하다. === [[파일:25px-lcg_icon.png]] [[문서:/lcg/|/lc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서:/lcg/)] === [[파일:25px-llsifg_icon.png]] /llsifg/ ☆ ===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series|러브라이브 시리즈]] 팀. 초창기에는 뮤즈 멤버들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은퇴하고 아쿠아, 니지동, 리에라가 그 자리를 채웠다. 홈구장은 [[未熟DREAMER]] 스타디움이고 홈 경기에서 쓰는 공은 [[호시조라 린|린]] [[네소베리]] 였다가 /vg/ League 21부턴 [[아라시 치사토|치사토]] 네소베리로 바뀌었다. 골키퍼는 [[츠시마 요시코|Datenshi]]고 주 공격수는 [[쇼우 란쥬|Our Queen]], [[와타나베 요우|(You)]], [[타카사키 유우|Love yourself]], [[헤안나 스미레|Gusokumushi]]다. [[우에하라 아유무|Yandere Pomu]]는 얼굴에 핏자국이 묻은 얀데레로 나오며, 구소쿠무시는 이름 그대로 모래무지벌레로 나와서 웃음을 준다. /vg/ League 8에서 우승을 거머쥐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이 내려가 중약팀으로 취급받고 있으며 /vg/ League X-2에서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1승 2패로 광탈했다. 마지막 경기에서 /psg/에게 2대0으로 완패. /vg/ League 21에서는 기존에 스트라이커였던 아워 퀸이 좌측 수비수로 내려가고, 골키퍼였던 다텐시가 스트라이커 [[요하네(환일의 요하네)|Yohane]]로 전향하며 골키퍼는 요하네의 절친 [[리코(환일의 요하네)|Dogfucker]]가 대신 맡게되었으며 하스동의 [[유기리 츠즈리|Actual Autism]]이 새 선수로 참가한다. [[라일라프스|holy shit a talking dog??]]는 처음에는 의인화되어 나왔다가 MobaBowl 2024부터는 본래 늑대 모습으로 나오게 되었다. 하지만 경기력은 역대 커리어 로우를 경신했으며 /ddlc/에게 3대2 패배, 디펜딩 챔피언인 /twg/에게 3대1로 패하며 2패로 몰리게되고, /twg/ 전 이후 4chan /llsifg/ 게시판에 골키퍼인 [[시부야 카논|Kanon, your meds]]에 대한 비난이 쏟아졌다. 그래서 마지막 /fgoalter/ 전에서는 Dogfucker가 선발 골키퍼로 나와 Kanon, your meds보다 나은 수비를 보여주었지만, 결국 1-1 무승부로 조 최하위 탈락.[* 경우의 수는 마지막 상대인 /fgoalter/에게 다득점 승리하고 2승을 달리는 /ddlc/가 /twg/를 잡아서 /ddlc/가 3승으로 조1위, /llsifg/, /twg/, /fgoalter/ 3팀이 1승 2패 동률에서 승점, 다득점으로 따지는 것밖에 없는 절박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먼저 /fgoalter/와 경기를 치른 /llsifg/는 이기지못하고 탈락. A조는 /ddlc/가 2승 1패 다득점 우선에서 조 1위로 16강 진출, /twg/가 2위로 서바이벌 라운드에 진출했다. 결국 이 조에서 최약체는 /llsifg/였다.] 모바볼 2024에서는 첫 경기 /nikg/에게 3대1로 승리[* 그중 마지막 골을 라일라프스가 넣었다. 1, 2번째는 Yohane와 Love yourself가 기록.]했지만, 승자조 2R에서는 /fgog/에게 승부차기에서 지고 패자조 2R에서는 /dbg/에게 2대1로 승리하고 패자조 3R에서 /gbpen/과의 부시로드 더비에서 승부차기에서 패배해 탈락,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Ladies Night 2에서는 /gbpen/, /pmmm/, /kfg/와 죽음의 A조에 배치되었으며 첫 경기 /pmmm/에 2-1로 승리했으나 /kfg/와 1-1 무승부, 마지막 /gbpen/에게 1-2로 패하면서 /gbpen/, /pmmm/과 같은 1승 1무 1패 승점 4 골득실 0로 똑같지만 다득점 순에서 밀리면서 조 3위로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gbpen/ 8골, /pmmm/ 6골, /llsifg/ 4골.] === [[파일:25px-mmg_icon.png]] /mmg/ === [[록맨 시리즈]] 팀. === [[파일:25px-nepgen_icon.png]] /neggen/ === [[초차원게임 넵튠 시리즈]] 팀. 대회 창립 멤버 중 하나. 최고 성적은 /vg/ League 12 준우승. 최근 19, 20시즌은 조별 라운드 탈락으로 부진했지만 21시즌에서 오랜만에 3전 전승으로 16강 진출. Ladies Night 2에서도 /prcg/에 2-0 승, /akg/에 5-2 승으로 조 1위로 그룹 스테이지 통과하고 8강까지 가면서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다. === [[파일:25px-nikg_icon.png]] [[문서:/nikg/|/nikg/]]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서:/nikg/)] [[승리의 여신: 니케]] 팀. /lcg/와 함께 /vg/ League X-2를 앞두고 창설했으며, 유니폼은 홈은 [[라피(승리의 여신: 니케)|라피]], 원정은 [[프리바티]] 옷을 입는다. 주요 공격수는 [[모더니아|Babu]]와 [[아니스(승리의 여신: 니케)|ANUS]], [[드레이크(승리의 여신: 니케)|Ultimate Racist]]. 거기다 골키퍼인 [[길티(승리의 여신: 니케)|THE WALL]]의 프로필 사진에 니케 지휘관이라면 다들 알고 있는 160레벨 통곡의 벽이 그려져 있다. 첫 대회인 /vg/ League X-2 에선 운없이 강팀이 즐비한 그룹 L에서 1승 2패로 광탈. /vg/ League X-2 이후 주전 골키퍼를 [[노아(승리의 여신: 니케)|UHHH, Union and ID?]]로 교체하면서 각종 친선전에서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자 국내 니케 커뮤니티에서도 니케FC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VGL21 기준으로 돌연 매니저가 공석이 되어 미래가 불투명해진 와중에도 전용구 [[릴리바이스#s-7.3.1|언니의 머리]]가 도입되거나 수비진에 새로운 멤버들이 합류하는 등 변화를 주었고, 수비에서 공격으로 올라온 [[도로시(승리의 여신: 니케)|Dorowari Da]]가 팀의 구멍 취급 받고 있던 상황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도로와리다가 /vgt/를 상대로 넣은 한 골 덕분에 2무 1패가 3팀인 혼돈의 J조에서 조2위 서바이벌 라운드에 진출했다. 이윽고 서바이벌 라운드에선 전 대회 우승팀인 /twg/와 그 /twg/를 순위결정전에서 꺾고 2차전에서 대기하던 /fgog/를 연파하는 대이변을 일으키며 16강까지 진출했다. [[그러나 이 사진이 표지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그러나 두 팀과의 사투에 모든 힘을 쏟아낸 /nikg/는]] 16강에선 조 전승으로 올라온 /skg/에게 3대1로 패하며 짐쌌다. 그리고 MobaBowl2024에서도 /twg/와 /fgog/를 잡은 기세는 단지 운빨이었다는 듯, /llsifg/와 /kfg/에게 연달아 패하며 일치감치 탈락했다. 2024년부터는 어드마이어호 상부 갑판을 홈구장으로서 개장한다. === [[파일:25px-omg_icon.png]] /omg/ === /vg/ League 21에 첫 참가한 [[오메가 스트라이커스]] 팀. 첫 경기 /utg/에게 6대2로 대패했지만 두번째 경기 /fgog/에게 2대1로 깜짝 승리를 거뒀다. 마지막 경기에서도 /akg/ 상대로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akg/와 동반 탈락했다.[* /omg/, /akg/가 속한 C조는 /utg/가 1위, /fgog/가 2위를 기록했다. /fgog/가 /utg/를 잡아 /utg/와 2승 1패 동률이지만 득점이 /utg/에게 밀려 2위가 되었다.] === [[파일:25px-pcrg_icon.png]] /pcrg/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팀. MobaBowl 2023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vg/ League X-2에서도 16강에서 대부분 상남자 게임 팀에게 유린당한 미소녀 게임 팀 중에 유일하게 8강에 진출했다. 유니폼은 홈은 [[콧코로]], 원정은 [[캬루]] 옷을 입는다. 8강 /smtg/전에서 철[[치카(프린세스 커넥트! Re:Dive)#s-5.1|'벽']]수비를 보여주던 기존 주전 골키퍼 [[치카(프린세스 커넥트! Re:Dive)|BRICKED]]의 컨디션 난조로 인해 [[미야코(프린세스 커넥트! Re:Dive)|PURIN NANO~]]가 대신 골키퍼로써 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자동문에 가까운 참담한 수비로 인해 메인 공격수인 [[캬루|KOT]][* 다른 캐릭터들과는 달리 신기한 캬루콘을 본따 만들었다.]와 [[콧코로|DaughterMommyWife]]의 분전에도 불구하고 4:3으로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경기가 끝난뒤 [[프린세스커넥트 리다이브 마이너 갤러리|프리코네갤]]과 미야코갤에 욕이 수없이 쏟아진건 덤. /vg/ League 21에서는 첫 경기 /hanny/에게 5대2로 참패하면서 상당히 안좋은 출발을 했고, /psg/에게 2대1, /smbg/에게 4대3으로 패하며 3전 전패로 최악의 성적을 거두고말았다. 모바볼 2024에서도 전년도 우승팀 답지 않게 첫 경기 /gig/에게 2대1로 패하고 패자조에서 /bag/에게 3대0으로 완패하며 21개 참가팀 중 최하위로 마감하는 등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결국 홈 경기장에서 다른 팀들이 최종 결승전을 치르는 걸 구경해야 했다. Ladies Night 2에서도 부진이 계속되어 1승 2패 조 최하위로 조별 리그 광탈. === [[파일:25px-pg_icon.png]] /pg/ === [[페르소나 시리즈]] 팀, 후술할 선배 팀 /smtg/는 대회 창립 멤버인 반면, /smtg/에서 페르소나 선수 합류를 거절하자 이보단 늦은 2016년 말 VGL7 때 창단했다. 3,4,5편 캐릭터들이 골고루 선수로 등장하는 와중에 주전 골키퍼는 2편에 등장했던 히틀러[* 정확히는 히틀러의 모습을 취한 니알라토텝]이다. [[주인공(페르소나 5)|LOOKING COOL JOKER]]는 현역임에도 불구하고 심판진에도 합류했다. VGL21에서는 /vn/, /@/, /fem/와 G조에 편성되어 그룹 스테이지 통과하지못했으나 Ladies Night 2에서는 2승 1패 B조 1위로 8강에 진출, 최종 6위를 기록했다. === [[파일:25px-pmmm_icon.png]] [[문서:/pmmm/|/pmmm/]]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서:/pmmm/)] === [[파일:25px-psg_icon.png]] /psg/ ===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프로젝트 세카이]] 팀으로 라이벌인 /gbpen/과는 대회에서 만난 적 없다. /vg/ League X-2에서 /llsifg/ 팀을 탈락시키고 조1위로 16강 진출했다. 그러나 16강에서 바로 /lcg/를 만나 4대1로 대패하고 탈락.~~/lcg/ 팬들은 아이리와 시즈쿠가 붙어서 나온 30 Y/O Married Couple 선수를 보고 [[토머리]]라고 불렀다.~~ /vg/ League 21에서는 /pcrg/ 상대로 1대2 승리를 거뒀을 뿐, /hanny/와 /smbg/에게 대패하면서 /pcrg/와 동반 조별 라운드 광탈. MobaBowl 2024 패자조 1R /revue/전에서 [[하나사토 미노리|(P)Minori (S)Bullying General]]가 여러번 득점 기회를 날려버리는 안타까운 상황이 연출된 끝에 2대0으로 패하고 탈락했다. === [[파일:25px-revue_icon.png]] /revue/ ===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Re LIVE-]] 팀. 홈 구장은 고대 그리스 원형극장이다. /vg/ League 14 6위를 기록한 적이 있다. 주 공격수는 [[다이바 나나]]로 닉네임은 [[바나나|Bananice]]다... 그 외에 [[타카치호 스텔라|Mein Kaiser]], [[텐도 마야|Famous Pedo TENDOU MAYA]]도 바나나이스와 함께 삼각 편대로 활약한다. VGL21에선 준우승하여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다. 한편 MobaBowl 2024에서는 패자조 2R에서 /kfg/에게 7대2로 대패하면서 탈락했다.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등장인물#s-2.3|The Giraffe]]가 직전 /hsrg/와의 경기에서는 해트트릭을 달성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으나 같은 동물들을 상대로는 그리 좋은 활약을 보여주진 못했다. === [[파일:25px-sgg_icon.png]] /sgg/ ☆ === [[스컬걸즈]] 팀. 과거에는 /lzg/라 하여 랩제로 전반 팀이었으나 랩제로가 해체되면서 스컬걸즈 팀으로 재편했다.[* 지금도 팀 설명에 Skullgirls (with Friends)를 붙이며 과거와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vg/ League 13에서 우승했다. === [[파일:25px-skg_icon.png]] /skg/ === [[섬란 카구라 시리즈]] 팀. 최고 성적은 /vg/ League 9, 15, 19에서 16강이 고작이었다. 그저 그런 팀이다가 /vg/ League 21에서 /indie/, /gbfg/, /vitagen/을 연달아 꺾고 전승 조1위로 진출했고 최종 6위로 마무리지어 다음 /vg/ League 22에선 탑 시드를 받게되었다. === [[파일:25px-smbg_icon.png]] /smbg/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팀. /vg/ League 21에 첫 참가만에 전승으로 조1위 통과하는 다크호스로 부상했다. 하지만 8강에서 /vn/에게 아쉽게 패하며 6위. === [[파일:25px-smtg_icon.png]] /smtg/ === [[여신전생 시리즈]] 팀. 대회 창립 멤버 중 하나. 키 플레이어는 [[잭 프로스트(여신전생 시리즈)|Jack Frost]], [[YHVH(여신전생 시리즈)|YHVH]], [[네밋사|Sexy Defines Her]], [[마라(여신전생 시리즈)|MARA]]. /vg/ League X-2에서 준우승을 거두었다. === [[파일:25px-ss13g_icon.png]] /ss13g/ === Space Station 13[* 2003년에 출시된 우주정거장 내부에서 펼쳐지는 [[사회적 추론 게임]]. 15년 뒤 출시된 어몽 어스처럼 해외로 뻗어나가진 못하고 사실상 북미에서만 하는 민속놀이 느낌이다.] 팀. New Thread Cup 2에서는 조별 리그 땐 /bag/에 패했으나, 이후 결승에서 주장인 Clown(as Captain)이 다시 만난 /bag/에게 꿈에서라도 튀어나올 듯 돌진해대며 복수하는 데 성공하고 우승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 [[파일:25px-tf2g_icon.png]] /tft2g/ === [[팀 포트리스 2]] 팀. 대회 창립 멤버 중 하나. 대회에 꾸준하게 참가하고 있지는 않으며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 씩 쉬다가 재참가한다. === [[파일:25px-twg_icon.png]] /twg/ ☆☆☆ === [[토탈 워 시리즈]] 팀. 대회 창립 멤버 중 하나. /vg/ League 6와 /vg/ League 19, 그리고 가장 최근 경기인 /vg/ League X-2까지, 통산 3회로 최다 우승에 빛나는 전통의 강호다. 워해머 시리즈 출신인 [[루터 하콘]]과 [[토그림 그루지베어러]]는 VGL 심판으로도 활약하고 있다. 홈 구장은 [[콜로세움]]. 초창기에는 로마 시리즈 출신인 [[망치와 모루|Hammer and Anvil]]이나 나폴레옹 출신인 NapoopaN[* 토탈워 나폴레옹 공식 트레일러를 [[https://youtu.be/PJeH9_wbDK8?feature=shared|데칼코마니]]해놓은 영상에서 비롯된 밈] 등이 주전을 맡다가, 2018년부터 시나브로 워해머 시리즈로 세대교체되었다. 2024년 기준으로는 주장인 [[스노틀링|wegh]], [[카를 프란츠|Prince and Emperor]], [[발타자르 겔트|S U P R E M E]], [[세트라(Warhammer)|Settra Rules]] 등 걸출한 플레이어들이 공격을 주도한다. 골키퍼는 주전인 [[그롬|HIS IMMENSITY]]도, 서브인 [[토탈 워: 삼국/세력/동탁|DONG]]도 뚱보로 설정해놨다. VGL 내에서는 최강 팀으로 불림에도 불구하고 우승 이후 끝판왕 팀들과의 번외 경기에서는 한번도 이긴 적이 없다.[* /vg/ League 19에선 끝판왕으로 나온 크리스마스 올스타팀에게 6대0으로 허무하게 졌고, /vg/ League X-2에서도 eos팀에게 3대0으로 졌다.] === [[파일:25px-uma_icon.png]] /uma/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팀. 홈 구장은 [[도쿄 경마장]]. 전용구는 당근 햄버그 정식이었다가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육성 시나리오/Reach for the stars 프로젝트 L'Arc |개선문상 시나리오]] 출시 후 개선문으로 바뀌었다. 주장은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Halu Ulala]], 키 플레이어는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Ei Ei Mun]], [[너구리(우마무스메)|SHONBORI RUDOLF]][* 겨울에는 루돌프랍시고 크리스마스 트리를 뒤집어씌워준다.],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Nyo Nyuniverse]]. 2021년 /vg/ League 17부터 참가했지만 현재 전적 3승 13패 2무(...)로 그 3승도 예선에서 거둔 전적이며 본선에서는 한번도 승리가 없다. 첫 대회 3전 전패 광탈, /vg/ League 18은 예선 광탈, /vg/ League 19에서도 3전 전패 광탈, 최근 대회인 /vg/ League X-2에서도 1무 2패 꼴찌 광탈할 정도로 승점자판기다. 특히 /gig/에게는 5-12로 무참히 털린 적이 있다. /vg/ League 21에서도 /dbg/와 운좋게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조 최약체였던 /wtg/에게 4대2로 대패했고 남은 상대이자 조 최강인 /revue/ 상대로도 선제골을 기록했음에도 Bananace에게 해트트릭을 당함으로서 4대2로 대패, 역시나 1무 2패 조 최하위로 탈락해 조롱을 받았다. 4chan에서는 아예 이 팀 존재 자체가 저주받았다고 할 정도. 의외로 New Thread Cup이나 MobaBowl 등 군소대회에서 힘을 쓰는데 뉴 쓰레드 컵 2에서는 4강까지 갔으며, 모바볼에서도 패자조 8강까지 가면서 6위안에 들었다. Ladies Night 2에서는 이러한 이변을 보여주지 못하고 /2hug/에게 1-5, /ink/에 3-6으로 관광당하며 조별 라운드 C조 3위로 광탈했다. === [[파일:25px-utg_icon.png]] /utg/ === [[언더테일]] 팀. === [[파일:25px-vgt_icon.png]] /vgt/ === [[그란 투리스모 시리즈]] 팀. 키 플레이어는 [[알파 로메오|>sport mode]]와 [[토요타 수프라|Tom's Supra]]. 레이싱 게임인 만큼 자동차가 선수로 나온다. === [[파일:25px-vitagen_icon.png]] /vitagen/ === [[PS Vita]] 게임 위주로 다루는 게시판 대표팀. /gfg/, /uma/와 함께 대표적인 승점 자판기로 조별 라운드를 뚫지 못하고 있다. === [[파일:25px-vn_icon.png]] /vn/ === [[비주얼 노벨]] 게시판 대표팀. 키 플레이어는 [[마토 신지|Holy Fucking Kino]]와 [[리비아의 게롤트|Geralt]] === [[파일:25px-vrg_icon.png]] /vrg/ ☆ === [[VR 게임]] 게시판 대표팀. 주장은 [[유니티짱|Unity-chan]]이고 [[Among Us|Among Us VR]]은 VR 버전이 출시되어선지 /indie/에도 /vrg/에도 둘 다 멤버로 있다. 여기에 골키퍼로는 [[Beat Saber|Beat Saver]]가 있고, 유니폼에 [[메타(기업)|메타]]와 [[Steam|스팀]] 로고도 있는 만큼 [[마크 저커버그|Zuck]]와 [[게이브 뉴웰|Two More Weeks, Trust The Plan]]도 출전한다. 아예 상대팀 캐릭터로 모습을 바꿔가며 출전하는 Custom Avatar란 선수도 있다. 하지만 [[작혼/작사#s-1.1|Mahjoomer]]을 비롯해 VR 버전이 출시 안 된 게임들도 더럿 선수로 있는 걸 보면, 게임과 캐릭터는 매니저 마음대로 넣는 듯하다. === [[파일:25px-wtg_icon.png]] /wtg/ === [[워 썬더]] 팀. 주장인 [[아케이드 게임|>arcade]][* 문자 그래도 옛날 미국식 아케이드 게임기 캐비닛이 선수로 뛴다.]와 [[안쵸비(걸즈 앤 판처)|DUCE DUCE DUCE]]를 필두로 하는 팀인데 선수들이 하나같이 머리가 전차나 전투기, 군함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가이진 채널]]에서는 두체와 [[BT-42]]머리를 한 선수인 Spurdo 둘만 잘하고 나머지는 제대로 하는게 없다고 까인다. 또 교체된 감독인 Tomzai의 일명 [[히틀러]] [[좆|X]][* 공격수를 ㅗ 꼴로, 수비수를 + 꼴로 배치했다.]배치로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고 있었다. New Thread Cup 2에선 A그룹 꼴찌를 하고, 상당히 긴 팀 역사상 가장 낮은 순위였던 43위로 복귀해버린와중에, VGL21에서는 이 히틀러X 포메이션이 의미가 있었던 모양인지 서바이벌 라운드에서 /@/와 /indie/를 꺾고선 16강에 진출했고, 비록 /gig/에게 패했지만 대회 순위는 9위에 종합 순위는 17위까지 끌어올리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지기도 했다. === [[파일:25px-xgg_icon.png]] /xgg/ === [[제노블레이드 시리즈]] 팀. [[렉스(제노블레이드 시리즈)#s-5.2|Double Spinning Edge]]가 골 한 번 넣었다 하면 경기 내내 더블 스피닝 엣지 효과음이 틈만 나면 튀어나온다. == 비현역 팀 == === /5N@F/ ☆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팀. === /d2g/ === [[도타 2]] 팀. 앤섬은 당연히 [[DotA(베이스헌터)|베이스헌터의 도타 노래]]. 대회 창립 멤버 중 하나 치고는 승률이 좋지는 않았다. === /ddg/ ☆ === [[드래곤즈 도그마]] 팀. 단 세번밖에 리그에 출전하지 않았지만 리그 7에서 /xcg/를 4-1로 꺾으며 우승을 거머쥔 전력이 있는 팀이다. === /digi/ === [[디지몬 시리즈/게임|디지몬 관련 게임]] 팀. [[레오몬]]과 [[에테몬]]이 선수로 등장한다. /dbg/와 [[https://www.youtube.com/watch?v=hmBb_GY4T-g|11:7(!)이라는 정신나간 스코어가 나온 경기]]를 치른 적이 있었다. === /drg/ === [[단간론파 시리즈]] 팀. === /forza/ === [[포르자 시리즈]] 팀. /vgt/와 라이벌인 만큼 여기도 자동차가 선수로 나온다. === /lolg/ === [[리그 오브 레전드]] 팀. 대회 창립 멤버 중 하나. 앤섬과 골 혼은 [[https://youtu.be/wny4eWL1ZHo?feature=shared|롤챔스 시절 오프닝]],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s-6.3|Warriors]], [[Silver Scrapes]], [[POP/STARS]] 등 LCK를 쭉 챙겨본 사람이라면 모를 수 없는 곡들을 번갈아가며 틀었다. 주장은 [[리븐(리그 오브 레전드)|>riven mains]]에 키 플레이어는 [[샤코(리그 오브 레전드)|SEX KING]], [[이상혁|FAKER]], [[내셔 남작|KILLING MACHINE]], 의외로 AOS 라이벌인 [[도타 2|UHHH LOLBABS?]]도 페이커와 함께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활약했다. 2021년 중순 VGL16 조별리그 광탈을 마지막으로 비활성화되었다. === /scv/ === [[스타크래프트 2]] 팀. === /xcg/ ☆ === [[X-COM 시리즈|엑스컴 시리즈]] 팀. VGL 6과 7에선 연속으로 준우승했으며, 마지막 대회인 VGL15에선 /akg/를 상대로 우승했다. 팀 자체는 비활성화되었지만 센터포워드 [[엑스컴 2/외계인#s-3|Snaketits]]가 심판진에 합류하여 현재까지 등장하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서:/vg/ League, version=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