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판 더!/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한 판 더!


한 판 더! (2023)
もういっぽん!
Ippon Again!
파일:한 판 더 한글 포스터.pn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1.2. 캐릭터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5. 주제가
5.1. OP
5.2. ED
6. 회차 목록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한 판 더!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오기와라 타케루, 방영 시기는 2023년 1월.

애니메이션 제작사 오콘에서 판권계약을 맺고 대원방송애니원 채널에서 2023년 1월 17일부터 방영에 들어갔다. 그리고 2023년 5월 27일부터 투니버스에서도 예고 없이 편성표에 잡힌 상태로 방영하게 되었다.


2. 공개 정보[편집]



2.1. PV[편집]


PV 1

PV 2

PV 3


2.1.1. 본편[편집]


티저 PV

PV 제2탄

PV 제3탄


2.1.2. 캐릭터[편집]


PV
소노다 미치타키가와 사나에
히우라 토와나구모 안나
히메노 츠무기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한판더!_애니티저비주얼.jpg
티저 비주얼


3. 줄거리[편집]


아오바니시 중학교 유도부의 소노다 미치와 타키가와 사나에가 중학교 마지막 유도 경기를 앞두고 있다.

이제 유도를 그만두기로 결정한 미치는 "빠른 한판승으로 끝내겠다!"라고 선언하지만

결과는 정반대로 상대의 조르기 기술로 한판승을 빼앗기고 만다.

그 순간 기절한 미치의 얼굴 클로즈업 영상이 비극적으로 인터넷에 노출된다.

경기는 매우 실망스럽게 끝났고, 미치는 유도를 그만두고 시험에 전념하겠다고 다짐한다.

9개월 후, 미치와 사나에는 아오바니시 고등학교에 무사히 합격하는데…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 판 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5.1. OP[편집]


OP
Stand By Me
TV ver.
TV ver. (한국어 자막)
MV ver.
Full ver.
노래Subway Daydream
작사후지시마 유토(藤島裕斗)
작곡
편곡Subway Daydream
사카모토 나츠키(坂本夏樹)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오기와라 타케루
연출
작화감독타케가와 아이리(武川愛里)
코미야마 카노(小宮山楓乃)
사사키 리카(佐々木里花)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2. ED[편집]


ED
いっぽんみち
외길
TV ver.
TV ver. (한국어 자막)
Full ver.
노래아오바니시 고교 유도부(青葉西高校柔道部)
작사오오모리 쇼코(大森祥子)
작곡스즈키 켄타로(鈴木健太朗)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오기와라 타케루
연출
작화감독후지사키 켄지(藤崎賢二)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6. 회차 목록[편집]


  • 전화 각본: 사츠키 아야(皐月 彩)
회차제목[1]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2]
제1화いっぽん!
한판!
오기와라 타케루타케가와 아이리
(武川愛里)
카와모토 레오
(河本零王)
타케가와 아이리日: 2023.01.09.
A: 2023.01.17.
T: 2023.05.27.
제2화結成! 復活! 再始動!
결성! 부활! 다시 시작!
사토 유조
(サトウユーゾー)
于庚鑫
李良鵬
王健
謝媚
후지사키 켄지
(藤崎賢二)
오오마에 유미코
(大前祐美子)
日: 2023.01.16.
A: 2023.01.31.
T: 2023.05.27.
제3화空気、変えてくれるんです
분위기를 바꾸거든요
와타나베 요우
(渡辺 葉)
우에하라 히데아키
(上原秀明)
유승희
(柳昇希)
이관우
(李官雨)
김경호
(金慶鎬)
시바타 켄지
(柴田健児)
에노모토 하나코
(榎本花子)
카와무라 료코
(河村涼子)
후지사키 켄지
日: 2023.01.23.
A: 2023.02.07.
T: 2023.06.03.
제4화3人いるから、大丈夫
세 명이니까 괜찮아
山石 腎오기와라 타케루시바타 켄지
에노모토 하나코
카와무라 료코
리 샤오레이
(李少雷)
아메미야 히데오
(雨宮英雄)
유승희
김경호
강미애
(姜美愛)
타케가와 아이리
코미야마 카노
(小宮山楓乃)
日: 2023.01.30.
A: 2023.02.14.
T: 2023.06.03.
제5화気持ちいいですね、柔道って。
유도를 하면 기분이 좋네요
후쿠시마 히로유키
(福島宏之)
하타 요시토
(秦 義人)
박명환
(朴明煥)
사이토 리에
(齊藤里枝)
유승희
이관우
김경호
강미애
陳亮
劉佩
이마세키 카요코
(今関香代子)
사이토 하루키
(齋藤晴輝)
후지사키 켄지
오오마에 유미코
日: 2023.02.06.
A: 2023.02.21.
T: 2023.06.10.
제6화後悔したくないから
후회하고 싶지 않으니까
우에하라 히데아키
나이토 다이스케
(内藤大介)
사토 유조나바나 우토
(那花優統)
사이토 리에
이와나가 료타
(岩永遼太)
리 샤오레이
후루카와 히로유키
고성철
(高成喆)
스가와라 마사키
(菅原正規)
猪熊 剛
타케가와 아이리
코미야마 카노
日: 2023.02.13.
A: 2023.02.28.
T: 2023.06.10.
제7화秘密兵器先輩
비밀병기 선배
사토 유조리 샤오레이
시바타 켄지
사이토 요헤이
(齋藤洋平)
후지사키 켄지
Zhou jing
Huang hua
타케가와 아이리日: 2023.02.20.
A: 2023.03.07.
T: 2023.06.17.
제8화夢の続き
꿈을 잇는 현실
나카모토 사토시
(ナカモトサトシ)
이토가 신타로
(いとがしんたろー)
사이토 리에
나바나 우토
코미야마 카노
오오마에 유미코
-日: 2023.02.27.
A: 2023.03.14.
T: 2023.06.17.
제9화柔よく剛を制す
부드러움이 능히 강함을 누른다
우에하라 히데아키미츠다 하지메
(満田 一)
후지사키 켄지
시바타 켄지
周婧
사이토 요헤이
후지사키 켄지日: 2023.03.06.
A: 2023.03.21.
T: 2023.06.24.
제10화勝つ以外ある?
이기는거 말고 방법 있어?[3]
쿠도 히로키[4]
(工藤鉱軌)
나이토 다이스케사이토 리에
나바나 우토
타케가와 아이리
오오마에 유미코
미츠다 하지메
시바타 켄지
후지사키 켄지
스가와라 마사키
리 샤오레이
고성철
이형호
(李炯鎬)
글렌
(グレーン)
코미야마 카노日: 2023.03.13.
A: 2023.03.28.
T: 2023.06.24.
제11화黄金時代
황금시대
사사키 마코토
(佐々木 誠)
이토 히로시
(伊藤 浩)
유승희
김경호
이관우
Zhou jing
타케가와 아이리日: 2023.03.20.
A: 2023.04.04.
T: 2023.07.01.
제12화自分史上最強だから
내 역사상 최고로 강하니까
후쿠이 노조미
(福井のぞみ)
사토 유조후지사키 켄지
나바나 우토
사이토 리에
리 샤오레이
오오마에 유미코
시바타 켄지
아오키 야스노리
(青木康哲)
-日: 2023.03.27.
A: 2023.04.11.
T: 2023.07.01.
제13화もういっぽん!
한 판 더!
나이토 다이스케오기와라 타케루후지사키 켄지
미츠다 하지메
코미야마 카노
나바나 우토
타케가와 아이리
하라 쇼지
(原 将治)
카와시마 나오
(川島 尚)
사이토 리에
리 샤오레이
오오마에 유미코
아오키 야스노리
고성철
이형호
(李炯鎬)
이노쿠마 츠요시
(猪熊 剛)
日: 2023.04.03.
A: 2023.04.18.
T: 2023.07.08.


7. 평가[편집]





유도를 소재로 한 만화나 애니메이션이 많지 않아 스포츠물 중에서도 비주류인데, 거기에 더 비주류인 여자 유도부를 소재로 다뤄서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동글동글한 작화로 캐릭터들의 개성 표현이 좋고, 연출도 나쁘지 않아 잔잔한 청춘 스포츠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평론가 후지츠 료타가 호평했다. #

굉장히 잘 만들어서 원작 팬과 신규 유입 팬이 모두 호평하지만 미소녀 캐릭터의 둥글둥글한 화풍이 방영 당시의 디자인 트랜드와 맞지 않아서 상당 수의 애니메이션 시청자에겐 1화부터 외면 받았으며 흥행 지표는 낮게 나왔다. 그래서 팬들은 이 작품의 2기가 불투명해 매우 아쉬워하며 비운의 명작으로 거론된다.

8. 기타[편집]


  • 이번에 애니화한 원작 연재분 시점과 현 시점에 몇 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간 유도 룰이 달라진 부분이 있다. 그래서 방영분 내에서 시청자들에게 룰 변화에 관한 부분을 틈틈히 알려주는 배려를 하고 있다.

  • 작중에서 외국의 유토팀을 언급하는 과정에서 대한민국이 나오는데, 일본 만화 및 애니메이션에서 대한민국이 언급되는 게 드물다는 걸 감안하면[5] 꽤나 특이한 부분.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유도 강국이라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원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한국 방영일은 정식 선방영사인 애니원과 후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일을 기준으로 하되 애니원은 A, 투니버스는 T로 구분한다.[3] 국립국어원 문법 기준에 따르면 '이기는 거 말고 방법 있어?'로 띄어 써야 맞는 표현이다.[4] 카쿠도 히로유키의 필명.[5] 나오더라도 여러 갈등들 때문에 부정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한 판 더! 문서의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한 판 더! 문서의 r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0:04:08에 나무위키 한 판 더!/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