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레미 마켓

최근 편집일시 :

>
파일:tvN 로고.svg 예능 프로그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 파일:노포의 영업비밀.png

19:20
||<width=33%> 파일:유퀴즈.png

20:40
||<width=33%> 파일:바달집3 로고.png

20:40
||
|| 파일:홍진경영화덕후.jpg

19:20
|| 파일:엄마는_아이돌.png

20:40
|| 파일:도레미 마켓 로고.png

19:40
||
|| 파일:골벤져스.png

16:30
|| 파일:코미디빅리그.png

19:45
||
||<-5><bgcolor=#F0F0F0,#000000>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5><bgcolor=#ffffff,#000000> ※ : 미방영분 포함 풀버전은 채널 십오야에서 제공. ||


파일:놀라운 토요일 로고.png
파일:도레미 마켓 로고.png


파일:도레미 마켓 로고.png

>

[ 출연진 ]
파일:f131983092729442000(0)[1].png
파일:f131983094633578000(0)[1].png
파일:f131983096260346000(0)[1].png
동엽떡 사장
신동엽
매미네 식료품점 사장
김동현
햇님이네 식료품점 사장
입짧은햇님
파일:f131983095802642000(0)[1].png
파일:f131983094234062000(0)[1].png
파일:f131983127837554000(0)[1].png
도레미 마켓 붐마이크
뚱보네 정육점 사장
문세윤
나래Bar 사장
박나래
파일:f131983095178330000(0)[1].png
파일:놀토탱구.png
파일:뉴놀토한해.png
언니네 이발관 사장
넉살
탱구 꽃 화원 사장
태연
한해 청과 사장
한해
파일:뉴놀토키.png
파일:f131983095531826000(0)[1].png
파일:f131983241907406000(0)[1].png
즈LP 사장
커피오빵 사장
피오
혜리네 과일가게 사장
혜리
*출연 종료한 도레미는 회색으로 표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dd33; min-width: 50%"
[ 관련 문서 ]




파일:tvN 로고 White.svg 예능 프로그램
파일:놀라운 토요일 포스터 로고.png
파일:도레미마켓 메인포스터 2.0.jpg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모방위험)
방송 채널 파일:tvN 로고.svg
방영 기간 2018년 4월 7일 ~
ON AIR

(2247일, 6주년)
방영 시간 토요일 오후 7:30[1] ~ 9:10(1시간 40분)[2]
장르 퀴즈쇼, 토크쇼
제작사 파일:tvN 로고.svg ( 파일:CJ ENM 로고.svg 엔터테인먼트 부문)


CP 박성재
연출 곽청아, 윤지원, 김도유, 최혜원
작가 유진영, 조미현, 김다미, 김지희
출연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출연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재방송 채널파일:드라마큐브 로고.svg, 파일:SKY(skyTV) 로고.svg, 파일:Drama H 로고.svg, 파일:채널S 로고.svg, 파일:CH. now 로고.svg, 파일:NQQ 로고.svg
스트리밍 파일:TVING 로고.svg
링크 파일:tvN 로고(2012-2021).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5. 힌트
6. 이모저모
6.1. 놀토 법칙
6.2. 코코너
9. 시청률 추이(%)
9.1. 2018년
9.2. 2019년
9.3. 2020년
9.4. 2021년
9.5. 2022년
9.6. 2023년
10. 여담
11. 유튜브
12. 논란
12.1. 김강훈 의상 논란
12.2. 간식 게임 미방분 논란 & 프로그램의 진정성 문제
12.3. 기타 논란
13. 수상
1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놀라운 토요일 로고.png
[ 펼치기 · 접기 ]
{{{#1f5267,#f8c72a 토요일 저녁! 색다른 즐거움으로 시청자들을 놀라게 만들 '놀라운 토요일'이 떴다! 과연, 어떤 재미로 놀라움을 선사할지 '놀라운 토요일'에 놀러와~ '좋아요' 폭발하는 SNS 핵 공감 핫 플레이스부터 오랜 전통이 살아 숨 쉬는 노포까지! 혀르가즘 자극하는 시장의 먹거리를 얻기 위한 MC군단의 자존심을 건 미션 수행! 고막 오픈! '도레미♪' 흥겨운 음악을 듣고 가사를 맞히면 침샘 개장! '마켓' 시장의 군침 가득 먹거리를 누릴 수 있다! 과연 MC 군단은 정신 혼미한 미션을 이겨내고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을까? 전국에 핫한 시장 속 핫한 음식을 걸고 펼쳐지는 MC 군단의 고군분투기! '놀라운 토요일'!
}}}

2018년 4월 7일부터 방영 중인 tvN의 주말 예능 프로그램으로, 전국 인기 시장 속 대표 음식을 걸고 출연자들이 노래 가사를 받아쓰는 코너다. tvN에서 방영했던 파일럿 프로그램 〈골목대장〉의 코너 ‘멘붕의 받아쓰기’의 콘셉트를 차용했다. #

2019년 3월 16일(50회차), ‘호구들의 감빵생활’ 신설로 시간대만 유지된 채 자연스럽게 놀라운 토요일 2부 코너로 전환되었다. 그다음 주인 3월 23일(51회차)부터 왼쪽 상단 자막 표기가 ‘놀라운 토요일: 도레미 마켓’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다 2021년 1월 30일(145회차)부터는 표기가 다시 '놀라운 토요일'로 바뀌었다.[3] 공식 구호는 "놀토, NICE!"로 1화에서 멤버들을 쿨피스의 늪에 빠지게 했던 세븐틴의〈아주 NICE〉에서 유래. 오프닝은 원래 오리지널 BGM을 썼으나, 2020년 11월 21일(135회차)부터 이적이 만든 로고송을 사용하고 있다.[스포주의]

공식 명칭은 도레미 마켓이고, 프로그램 내 멤버도 도레미들이라 불린다. 하지만 프로그램 내부에서나 외부에서나 도레미 마켓이라기보단 '놀라운 토요일', 혹은 줄여서 '놀토'라고 부른다. 프로그램의 공식 명칭은 도레미 마켓-예능 신대륙 발견이지만 정작 그렇게는 안 부른다는 것. 당장 공식 포스터만 봐도 '놀라운 토요일'이라 쓰여있지, 도레미 마켓은 찾아볼 수 없다.[4]


2. 상세[편집]


신동엽이 MC가 아닌 플레이어로 참여하며, 이 진행 및 문제 출제자 역할을 담당한다. 먹방 크리에이터 입짧은햇님이 출연, 멤버들이 1차 시도 실패 시 남은 음식의 절반[5], 2차에서 실패 시 1~2인분만 남기고 전부 취식하게 되며 3차까지 실패하면 해당 라운드는 굶게 된다. 정답을 발표할 때는 대표자 한 명이 나서 답을 작성하며 오답 시 대표자가 강냉이를 맞는다.[6] 또한 매주 패널들과 게스트들이 제작진이 정해 준 콘셉트에 따라 스타일을 하고 나오기 때문에 이를 보는 소소한 재미도 주어진다.[7] 여기서 조그마한 콩트와 상황극들도 나온다.

방송이 진행되면서, 출제 방식이 크게 1990년대(또는 '80년대, 2000년대) 발매곡과 최신곡(또는 2010년대 이후)으로 나뉜다. 노래 장르의 경우 주로 방송 특성상 빠른 리듬의 댄스, 힙합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가끔 발라드, 록[8], 트로트[9]가 나올 때도 있다. 90년대~00년대 초반 노래는 문세윤, 박나래 등 노래방 고인물, 특히 문세윤이 엄청난 활약을 한다.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는 주로 , 한해 등이 이끄는 편. 신동엽은 7080[10], 피오, 태연은 단어 캐치를 하고 김동현은 예상치 못했던 포인트에서 갑자기 활약하고, 넉살은 전체적인 받쓰 실력이 평균 이상이다.[11] 그리고 출연자들이 너무 잘 아는 노래가 문제로 나와서 예상 외로 빨리 끝나는 경우도 더러 있다.사례 중 하나

녹화일은 매주 금요일로[12][13] 촬영일마다 2주차를 녹화하며 녹화 분량은 2 ~ 3주 뒤의 토요일에 방영된다.[14]


3. 변천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역대 변천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출연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출연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힌트[편집]


1·2차 시도 실패 후 힌트판의 6개[15] 힌트 중 하나씩을 선택할 수 있다. 단, 한 라운드에 같은 힌트를 두 번 쓸 수 없다. 또한 201회부터는 1, 2라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힌트를 통폐합하는 개편이 이루어져, 한 회차에 같은 힌트를 두 번 쓸 수 없게 되었다.[16] 간혹 제작진 재량으로 보너스 힌트가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 기본 제공 힌트
    • 글자 수[17], 곡 정보[18], 앞·뒷부분 가사[19], 정답 최근접자 원샷[20], 영어(또는 외국어) 및 숫자의 유무와 개수[21][22]

  • 힌트판
    • 전체 띄어쓰기: 출제된 가사 전체의 띄어쓰기를 공개한다.
    • 한 글자: 원하는 한 글자를 공개한다.
    • 초성 2개: 54회부터 등장. 원하는 두 글자의 초성을 공개한다.
    • 오답 수: 6회부터 등장. 틀린 글자의 개수를 공개한다.
    • 70% 듣기: 70% 속도로 노래를 추가로 들을 수 있다. 46화 2라운드에서 어려운 난이도로 인해 이 문제에서 기본 제공된 '전체 띄어쓰기'를 대신해 시범 도입되었고,[23] 54회부터 고정 힌트로 도입되었다. 고정 도입 초기에는 정상 속도로 다시 들려주지 않았는데, 때문에 발음이 뭉개지는 것과, 받쓰판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이 두 개의 단점 때문에 사용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이를 고려하여 95회부터는 사용 후에 정상 속도로도 다시 한 번 들을 수 있도록 상향 조정[24]하였다.
    • 랜덤 힌트: 237회부터 등장. 붐이 제공하는 매주 다른 힌트가 주어진다. 등장한 힌트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 참고.

  • 폐지된 힌트
    • 연속 초성: 연속된 두 글자의 초성을 공개한다. 5회부터 등장, 54회부터는 제거되고 자음 2개, 모음 2개 찬스로 대체되었다.[25]
    • 모음 2개: 54회부터 등장. 원하는 두 글자의 모음을 공개한다. 사용 빈도가 낮아 89회부터는 제거되고 5분의 1초 찬스로 대체되었다.
    • 5분의 1초: 89회부터 등장. 0.2초 동안 글자가 뒤죽박죽 섞인 상태로 정답판이 공개된다.[예] 너무 강력한 힌트라 자주 사용되고 힌트 사용 시 성공률이 매우 높아서[26], 95회부터는 사용 후에 그 회차 시도에서는 노래를 다시 들을 수 없도록 하향 조정[27]하였다. 그리고 딱 한 번, 108회 방영분에서 5분의 1초의 정답판의 글자 위치 자체가 흩어진 상태로 나온 적이 있다.[28] 또한 시간이 가면서 제작진 역시도 이를 어떻게 잘라 배치해서 나눠 보게 될 건지를 터득했기 때문에 비슷한데 획이 조금씩 다른 글자들이나 읽기 어려운 글자들을 한 곳에 몰아서 배치하는 식으로 난이도를 높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강력한 힌트인 데다 들으면서 맞히는 도레미 마켓의 방향성과 맞지 않는다는 판단[29]에 결국 태연이 고정으로 출연을 개시한 135회부터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다만 192화 2라운드에서는 이 힌트를 좋아했던 김범을 위해 일회성으로 부활했다.
    • 청아청아 붐청아: 89회부터 등장.[30] 붐에게 뭐든지 1개의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단, 붐은 반드시 '예' 혹은 '아니오'로만 대답한다.[31][32][33] 여담으로 공식 명칭은 붐청아이지만, 대외적으로 멤버들은 붐청이라고 부른다. 199회까지 1차 시도 전에 사용할 수 있는 기본 힌트로 제공되었지만[34][35], 201회부터 힌트판으로 들어와서 다른 힌트처럼 시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해당 회차에서 같이 시행된 힌트판 통폐합으로 인해 사용 횟수가 회당 1회로 줄어버렸다. 힌트판 도입 이후에는 다른 힌트들과 달리 새로운 정보를 확보할 수 없고 기존 정보의 재확인만 가능한 특성 탓에 사용률이 매우 저조해졌고,[36] 결국 237회에서 랜덤 힌트로 대체되어 폐지되었지만, 이후에도 랜덤 힌트로 (변형) 붐청이가 가끔 등장하고 있다.

  • 별도의 찬스
    • 다시 듣기 찬스: 일명 다듣찬. 1라운드 또는 2라운드 중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으며,[37] 사용 시 노래를 한 번 더 들을 기회를 제공한다.[38] 사용 시점에는 제한이 없으나, 보통은 음식 전체 확보를 위해 1차 시도에서 사용한다. 한 회차에서 2라운드까지 다시 듣기 찬스를 쓰지 않을 경우 다음 주로 이월할 수 있다.[39]
    • 꼴찌 다시 듣기 찬스: 일명 꼴듣찬. 201회에 붐청이가 기본 제공 힌트에서 제외되면서 등장했다. 다듣찬과 마찬가지로 1라운드 또는 2라운드 중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으며[40], 사용 시 각 라운드 원샷 꼴찌 한 명에게만 한 번 더 들을 기회를 제공한다. 만약 도레미&게스트 공동 꼴찌가 나왔다면 게스트에게 우선기회를 주고[41], 도레미 멤버들 중 공동 꼴찌가 나왔다면 원샷 누적 순위 꼴찌에게 다시듣기 기회를 준다. 보통은 푸드 연구소 예상을 보고 우선순위가 떨어지는 라운드에서 다듣찬 대신 사용한다.
    • 푸드 연구소장의 2R 음식 예상: 유일하게 도레미 측에서 나오는 힌트로, 1라운드에서만 나오는 고정 코너에 가깝다. 처음에 재생되는 시장 소개 VCR에 숨어 있는 힌트[42]를 찾아 2라운드 음식을 유추한다. 다시 듣기 찬스가 1회용이기 때문에 이걸 1라운드에서 쓸지 2라운드에서 쓸지 결정해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 유료화 찬스: 개인기 성공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유료화 찬스.
    • 붐카 서비스: 붐이 차를 운전하듯이 맞는 부분에는 차가 부드럽게 가듯이 소리 내고, 틀린 부분에는 차가 망가지듯이 끽 하는 소리를 낸다.[43] 유료화 이후 계속 3차 시도에서만 사용되었으나,[44] 230회에서 사용 시점에 제한이 없다는 것이 밝혀지며 2차 시도에서 최초 사용되었다.
    • 연기 찬스: 어떤 한 부분을 연기하는 붐을 통해 추리해 나간다.

  • 일회성 힌트: 상황에 맞추어 제작진 재량으로 제공된 힌트. 등장한 힌트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 참고.

6. 이모저모[편집]



6.1. 놀토 법칙[편집]


  • 족법: 두 번 출연하면 가족이다. 이 세 번째 출연한 규현에게 "이 정도면 거의 가족이죠?"라고 하자, 규현이 "꼴랑 두 번 나왔는데 가족이에요?"라고 말하면서 생긴 법. 이 날부터 게스트가 2번 출연하면 가족이라고 언급한다. 게스트 외에 받쓰 문제로 자주 출제되는 방탄소년단, 세븐틴, AKMU, 하키 등의 가수들도 가족으로 부른다.[45]

  • 라미란: 정답 전에는 음식을 맛볼 수 없다. 놀토에 처음 출연한 라미란이 1라운드 음식인 두부전골 국물을 맛본 사건으로 인해 만들어진 법이다. 이후 출연한 성동일이 된장 칼국수 국물을 마시며 라미란법을 위반해 쌍문동 식구들이 법을 자주 어긴다며 도레미들의 질타를 받았다. 230회에서 라미란이 재출연했을 때 라미란법이 잠시 개정되어 라미란이 1라운드 음식을 공식적으로 맛봤다.


6.2. 코코너[편집]


  • 박나래의 푸드 연구소
푸드 연구소장 박나래가 시장 음식 힌트 VCR을 보고 간식 및 2라운드 음식을 예상하는 시간. 이 힌트가 다시 듣기 찬스를 어디에 쓸지 결정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다 보니 제작진도 꾸준히 밀어주는 컨셉이다.

90년대 노래방 고인물 문세윤이 잘 아는 노래가 나왔을 때 인강 콘셉트로 자신의 받쓰를 설명하는 시간.

  • 신동엽의 너희들은 떠들어라 선택은 내가 한다
신동엽이 연장자 권한(?)으로 다듣찬 및 힌트 사용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시간.

키가 혼자서 붐청이, PD, 키어로의 역할을 모두 하면서 자신의 받쓰를 설명하는 시간.

7. 방영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2018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2019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202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2021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2022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방영 목록/2023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1. 별별 기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별별 기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2. 역대 원샷 랭킹[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역대 원샷 랭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간식 타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간식 타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간식 타임/2018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간식 타임/2019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도레미 마켓/간식 타임/2020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1. 통합성적[편집]





9. 시청률 추이(%)[편집]


  • 닐슨의 제공을 토대로, 연도별로 최고: 빨간색, 최저: 파란색으로 표기한다.
  • 게스트를 나열할 때 대타인 경우에만 줄바꿈을 한다.


9.1. 2018년[편집]


회차방송일게스트전국수도권
014월 7일-2.1322.787
024월 14일2.0662.386
034월 21일1.3561.43
044월 28일1.3291.3[A]
055월 5일1.541.59
065월 12일1.7441.634
075월 19일1.3591.728
085월 26일지상렬2.0362.331
096월 2일설현, 혜정1.2491.2[A]
106월 9일양세형1.4161.4[A]
116월 16일도겸, 호시1.7091.938
126월 23일김희철, 이나경2.2712.651
136월 30일김준현, 김지민1.4471.4[A]
147월 7일옹성우, 이대휘1.8211.955
157월 14일박준형, 데니 안1.7171.756
167월 21일타일러, 한현민1.7091.7[A]
177월 28일김준호, 유민상1.9732.362
188월 4일모모, 사나2.1122.617
198월 11일조세호1.8372.363
208월 18일황치열2.4582.871
218월 25일로제, 지수2.3742.87
229월 1일김종민, 신지1.7761.9
239월 8일은혁, 동해2.3252.367
249월 15일유아, 승희2.3742.701
259월 22일바비, 동혁2.7572.848
269월 29일양희은, 지상렬2.8443.359
2710월 6일JAY B, 마크2.6793.316
2810월 13일소진, 유라2.2072.147
2910월 20일민호, 박지선2.5553.017
3010월 27일허경환, 황제성2.7563.449
3111월 3일장동민, 박재정2.4752.775
3211월 10일전소민, 김지석2.7233.459
3311월 17일피오, 재효2.422.799
3411월 24일케이윌, 소유2.2062.294
3512월 1일하니, 솔지2.73.062
3612월 8일웬디, 조이
박지선[대타1]
2.5682.8
3712월 15일권은비, 안유진2.6092.84
3812월 22일효연, 도영2.2272.383
3912월 29일송민호, 강승윤3.6964.469


9.2. 2019년[편집]


회차방송일게스트전국수도권
401월 5일여진구, 이세영2.792.9
411월 12일루다, 다영2.9153.253
421월 19일박성광, 정대세2.7973.261
431월 26일황광희, 남창희3.0623.639
442월 2일이홍기, 찬미2.872.95
452월 9일양세찬, 이용진3.7884.264
462월 16일휘성, 태민3.0613.557
472월 23일로운, 찬희2.632.951
483월 2일강민경, 윤지성2.8212.983
493월 9일JB, 유겸2.2912.615
503월 16일솔라, 화사2.7523.065
513월 23일홍진영, 진해성3.4354.045
523월 30일안지영, 우지윤3.343.931
534월 6일비범, 유권2.7693.146
544월 13일이용진, 이진호
[대타2]
3.1153.532
554월 20일라비, 세정2.5943.046
564월 27일라미란, 이성경3.2043.519
575월 4일박보영, 안효섭2.6972.714
585월 11일JR, 황민현3.3684.079
595월 18일신아영, 안현모3.4234.569
605월 25일박우진, 이대휘
박지선[대타2]
2.8833.446
616월 1일송해나, 송경아
이진호[대타2]
2.1712.454
626월 8일은지원, 이나은2.963.538
636월 15일셔누, 루다2.6862.94
646월 22일규현, 한혜진3.0313.377
656월 29일주이, 낸시3.1673.965
667월 6일장수원, 아유미3.0483.583
677월 13일데프콘, 이성종3.4323.542
687월 20일유세윤, 안영미3.4033.571
697월 27일박성웅, 정경호3.1133.179
708월 3일이규형, 최재웅3.0383.689
718월 10일태연, 써니3.7644.092
728월 17일이현이, 장도연
라비[대타3]
3.1143.37
738월 24일손호영, 김태우3.1523.659
748월 31일윤보미, 오하영2.9963.021
759월 7일김병철, 정혜성3.5934.217
스페셜9월 14일추석 특집
간식 게임 스페셜
2.3072.083
769월 21일미주, 케이2.922.98
779월 28일나연, 지효, 채영3.4453.999
7810월 5일백지영, 산들3.0023.202
7910월 12일김우석, 손동표2.9073.426
8010월 19일문근영, 김선호3.2293.882
8110월 26일이홍기, 유주2.5162.648
8211월 2일셔누, 주헌2.6543.215
8311월 16일윤시윤, 정인선2.7093.082
8411월 23일미료, 나르샤2.5342.548
8511월 30일설현, 지민2.9983.399
8612월 7일이해리, 강민경3.1543.373
8712월 14일라이머, 안현모3.2243.52
8812월 21일이시언, 사이먼 도미닉2.7473.232
8912월 28일홍석천, 로제3.7513.868


9.3. 2020년[편집]


회차방송일게스트전국수도권
901월 4일김원희3.1793.95
911월 11일인성, 로운3.2323.863
921월 18일지석진, 양세찬3.2593.84
931월 25일정준호, 이이경
이용진[대타2]
2.0841.873
942월 1일규현, 수호
이용진[대타2]
3.3783.823
952월 8일유주, 엄지
이용진[대타4]
3.173.615
962월 15일성동일, 엄지원3.5024.239
972월 22일이지혜, 딘딘
라비[대타4]
2.981
미방송분
스페셜[46]
2월 26일최예나, 장원영
982월 29일나성호, 강균성3.1763.704
993월 7일홍석천, 유세윤, 한혜진
태연, 유라, 라비
김민경[47]
3.5594.202
1003월 14일2.7113.083
1013월 21일홍진경, 남창희3.1383.757
1023월 28일송소희, 전소미3.2183.764
1034월 11일써니, 효연2.943.635
1044월 18일최강창민, 규현2.9043.642
1054월 25일박미선, 이진혁2.9583.043
1065월 2일효정, 아린3.0652.777
1075월 9일이특, 은혁3.4523.862
1085월 16일지코, 민아3.1583.673
1095월 23일윤두준, 정세운2.8742.886
1105월 30일아이린, 슬기3.1453.61
1116월 6일차태현, 이선빈2.9353.302
1126월 13일예성, 려욱, 규현3.1493.883
1136월 20일정동원, 김강훈3.0473.59
1146월 27일우지, 승관3.3293.836
1157월 4일황민현, 2.9063.234
1167월 11일장민호, 영탁3.3443.913
1177월 18일조권, 서은광2.8793.529
1187월 25일찬열, 백현, 카이2.9843.141
1198월 1일황정민, 박정민2.6992.81
1208월 8일솔지, 백아연2.9713.671
1218월 15일박성웅, 엄정화2.6083.186
1228월 22일소연, 미연2.9523.548
1238월 29일라이머, 라비2.9833.59
1249월 5일김대명, 김의성3.0863.801
1259월 12일이지혜, 황광희2.9173.263
1269월 19일이나은, 김도연2.7133.224
1279월 26일코드 쿤스트, 이하이3.4143.809
12810월 3일이동욱, 조보아, 김범3.8143.949
12910월 10일로제, 지수2.9442.917
13010월 17일장동윤, 정수정2.8363.418
13110월 24일Key, 한해3.2663.701
13210월 31일나연, 지효, 다현2.8423.614
13311월 7일이적, 존박3.0083.753
13411월 14일[48]3.6083.747
13511월 21일태민, 카이3.0663.328
13611월 28일카이, 라비3.2563.764
13712월 5일이용진, 이진호3.1133.472
13812월 12일류승룡, 염정아3.4254.131
13912월 19일던밀스, 송민호3.2443.933
14012월 26일김선호, 헤이즈3.6954.368


9.4. 2021년[편집]


회차방송일게스트전국수도권
1411월 2일조세호, 남창희3.1613.747
1421월 9일최유정, 김도연3.8614.263
1431월 16일타블로, 투컷3.5744.371
1441월 23일유노윤호, 딘딘3.1393.635
1451월 30일김성오, 이다희3.3033.924
146[49]2월 6일재재, 최예나3.2463.572
1472월 13일조병규, 김세정3.4223.591
1482월 20일이승기, 박주현3.54.278
1492월 27일온유, 민호3.3144.075
1503월 6일선미, 청하3.4684.694
1513월 13일곽동연, 안소희3.5593.996
1523월 20일은혁, 신동3.3983.633
1533월 27일차은우, 윤산하3.3573.909
1544월 3일AKMU3.9234.354
1554월 10일지호, 효정2.8053.254
156[50]4월 17일강하늘, 천우희4.2165.407
1574월 24일지훈, 박정우3.2243.586
1585월 1일효연, 유리3.1823.715
1595월 8일리아, 류진2.9313.34
1605월 15일홍현희, 제이쓴3.3914.098
1615월 22일혜리, 장기용3.2373.623
1625월 29일민현, 2.8433.640
1636월 5일김해준, 성시경2.8663.465
1646월 12일사나, 다현2.6602.591
1656월 19일호시, 에스쿱스, 승관2.6273.172
1666월 26일민영, 유정2.9873.432
1677월 3일연준, 범규3.0103.146
1687월 10일정형돈, 데프콘3.3473.720
1697월 17일송지효, 채종협2.7502.990
1707월 24일윤도현, 이홍기3.3143.914
171[51]7월 31일박성웅, 이선빈, 이용진, 재재2.2392.228
1728월 7일황광희, 우영, 민혁, 미연, 재재2.8553.403
1738월 14일조이, 예리3.0493.366
1748월 21일강재준, 이은형2.8793.368
1758월 28일김소현, 이석훈3.2593.467
176[52]9월 4일장영란, 최유정2.6002.898
1779월 11일개코, 코드 쿤스트2.6553.257
1789월 18일현아, 2.3492.570
1799월 25일, 우영2.1962.493
18010월 2일이상엽, 이미주2.5002.803
18110월 9일카리나, 윈터2.4833.040
18210월 16일승관, 민규2.8563.250
18310월 23일윤계상, 고아성2.5713.129
18410월 30일한선화, 정은지, 이선빈2.3202.577
18511월 6일노제, 아이키3.0613.311
18611월 13일임창정, 경수진2.0282.183
187[53]11월 20일주헌, 민혁2.7583.040
18811월 27일문별, 화사2.7452.993
18912월 4일이영지, 전소미2.5383.005
19012월 11일이동욱, 위하준2.5212.719
19112월 18일이진욱, 공승연2.6643.121
19212월 25일정지훈, 김범2.5702.396


9.5. 2022년[편집]


회차방송일게스트전국수도권
1931월 1일조진웅, 최우식2.8973.226
1941월 8일하하, 2.6383.237
195[54]1월 15일강홍석, 시우민1.52.059
1961월 22일이미주, 딘딘2.2902.604
1971월 29일장윤정, 이찬원3.0392.898
198[55]2월 5일유이, 손나은2.5102.478
1992월 12일강다니엘, 채수빈2.7063.097
2002월 19일효정, 미미, 유아, 승희, 아린2.7773.149
2012월 26일안보현, 조보아2.4803.062
2023월 5일가희, 선예2.52.975
2033월 12일진구, 하도권2.5753.105
2043월 19일박재범, 규현3.0543.672
2053월 26일윤두준, 이기광, 손동운2.5062.811
2064월 2일예지원, 유연석2.7273.071
207[56]4월 9일나도, 시니2.8553.327
208[57]4월 16일김종민, 은지원2.9303.014
2094월 23일이광수, 설현2.5752.670
2104월 30일은혁, 온유, 수호2.0612.357
2115월 7일주우재, 미노이, 주현영2.2282.558
2125월 14일도겸, 민규, 승관2.3912.663
2135월 21일박병은, 이상엽2.2062.454
2145월 28일이홍기, 솔라, 이창섭2.5052.866
2156월 4일효린, 보나, 엑시1.8192.033
2166월 11일정소민, 이재욱, 황민현2.3272.658
2176월 18일조혜련, 남창희, 최유정2.3582.546
2186월 25일나연, 모모, 채영2.8443.226
2197월 2일김준호, 김지민2.4352.748
2207월 9일청하, 헤이즈2.3542.691
2217월 16일예지, 채령, 유나2.0662.199
2227월 23일허성태, 이수경2.4112.859
2237월 30일지코, 비비, 이은지, 안유진2.4852.788
2248월 6일써니, 티파니, 효연, 유리, 수영, 윤아, 서현2.9323.551
2258월 13일고경표, 음문석2.4302.457
2268월 20일안유진, 레이, 이서2.4672.930
2278월 27일권상우, 박진주2.4452.766
2289월 3일하석진, 옥택연
이은지[58]
2.3822.702
2299월 10일조준호, 조준현
조나단, 파트리샤
2.1572.139
2309월 17일라미란, 김무열, 윤경호2.6342.994
2319월 24일기리보이, 크러쉬2.5942.885
23210월 1일김호영, 가비2.5903.033
23310월 8일에일리, 슬기, 2.1492.294
23410월 15일김유정, 변우석1.9932.232
23510월 22일사쿠라, 김채원, 허윤진2.1332.416
23610월 29일이찬혁, 김용명2.2402.869
237[59]11월 12일여진구, 조이현, 김혜윤, 나인우2.6753.360
23811월 19일효정, 미미, 유아2.9693.364
23911월 26일정재형, 적재, 정승환2.8393.548
24012월 3일김원훈, 조진세, 엄지윤2.5122.856
24112월 10일이선빈, 한선화, 정은지
써니[60]
2.8613.419
24212월 17일김범수, KCM
써니[61], 민호[62]
2.4453.023
24312월 24일김태우, 테이2.2182.439
24412월 31일미연, 소연, 민니, 우기, 슈화2.7553.334


9.6. 2023년[편집]


회차방송일게스트전국수도권
2451월 7일이상준, 김두영, 이국주
이은지, 김해준
2.6893.301
2461월 14일김민경, 풍자2.7683.156
2471월 21일임수향, 차청화2.1352.277
2481월 28일이하늬, 박소담3.1853.942
2492월 4일이장우, 고보결, 김민규2.6993.267
2502월 11일김옥빈, 김지훈, 유태오3.0083.195
2512월 18일김영광, 이성경2.5323.154
2522월 25일차태현, 유연석2.6103.043
2533월 4일정혁, 황민현, 주연2.7023.099
2543월 11일지효, 다현, 정연
황광희[63]
2.3062.700
2553월 18일황제성, 모니카, 래원1.9892.313
2563월 25일코드 쿤스트, 카이2.3722.638
2574월 1일데프콘, 허영지, 뱀뱀2.3502.636
2584월 8일IVE1.9122.105
2594월 15일이현이, 이국주, 송해나2.4503.124
2604월 22일장혁, 장나라, 채정안2.5722.625
2614월 29일세븐틴[64]2.2442.675
2625월 6일이동욱, 김소연, 김범3.1103.322
2635월 13일조현아, 이미주, 권진아2.2172.323
2645월 20일이연희, 홍종현, 정윤호
2655월 27일
2666월 3일
2676월 10일
2686월 17일
2696월 24일
2707월 1일
2717월 8일
2727월 15일
2737월 22일
2747월 29일
2758월 5일
2768월 12일
2778월 19일
2788월 26일
2799월 2일
2809월 9일
2819월 16일
2829월 23일
2839월 30일
28410월 7일
28510월 14일
28610월 21일
28710월 28일
28811월 4일
28911월 11일
29011월 18일
29111월 25일
29212월 2일
29312월 9일
29412월 16일
29512월 23일
29612월 30일



10. 여담[편집]


  • 방영 초기에는 예능 프로그램으로는 흔치 않게 나이를 만 나이로 서술했다. 한국에서는 아직까지 만 나이연 나이를 헷갈려해서 만 나이가 단순히 {(세는나이) – 1}세인 줄 아는 경우가 많고[65], 심지어 언론 보도에서도 이를 구분 못하고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놀라운 토요일 초기에 나이 자막이 나간 것을 보면 정확한 만 나이로 표기했다.[66] 그러다가 대략 20회가 넘어가는 시점부터는 세는나이와 만 나이를 혼용해서 쓰더니 몇 회가 지나고나서부터는 일반 예능 프로그램처럼 세는나이 표기로 바뀌었다. 같은 시기에 방영했던 〈대탈출〉의 경우에도 방영 초기에는 출연자들 나이를 만 나이로 표기하였다가 후반부에서는 세는나이, 연 나이, 만 나이를 모두 섞어가면서 표기하였다.

  • 하루에 2회 분을 녹화한다. 대표적으로 18회 때 김동현이 간식 타임 때 이를 모르고 다음 주 스포일러를 내보냈거나, 54회 때 찬스가 일부 변동이 있었는데 설명은 다음주 방영분으로 대신한 적이 있다.

  • 방송은 1시간 20분 정도로 방영되지만 1회분 기준으로 녹화는 생각보다 꽤 길게 하고, 2회분 기준으로는 하루 종일 한다. 일단 받아쓰기 1R, 간식 타임, 2R 사이사이에 휴식 시간[67]이 존재하고, 멤버들이 자발적으로 내기를 해서 져서 분장을 할 경우엔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고 한다. 한 라운드에서 이미 가사를 다 외운 사람이 없는 이상 최소 1시간은 걸리는 듯하다.[68]

  • XtvN에서 스핀오프 웹예능으로 외국인 방송인 버전의 〈시파라 마켓〉을 제작하였다.

  • 출장 십오야에서 이태경 PD가 밝힌 바에 의하면, TVING에서 스핀오프가 제작된다고 한다. 일명 '아이돌 받아쓰기 대회'로, TVING 유튜브 커뮤니티에 따르면 2021년 5월 21일부터 매주 금요일마다 방송된다고 한다.[69]

  • 가수인 멤버들의 경우 활약을 할 때 본인들의 노래가 BGM으로 깔리는데, 그 중에서도 혜리는 〈Something〉, 피오는 〈품행제로〉와 〈Shall We Dance〉, 넉살은 〈작두〉가 자주 깔린다. 키는 〈Sherlock〉, 한해는 전역 전에는 〈Still D.R.E.〉가 자주 쓰였고[70] 제대 후엔 본인 노래인 〈오버 액션〉이 자주 깔리고 있다. 그리고 키의 출연 종료 후 문세윤이 〈Sherlock〉을 이어받았다가(돼지불백! 백! 백! 백!), 키의 복귀 후에는 원래 노래 주인에게 돌려주고 그 이후부턴 〈이태원 클라쓰〉 OST 〈돌덩이〉가 문세윤의 테마로 자주 깔린다. 역시 가수인 신입 멤버인 태연은 공식적으로 〈불티 (Spark)〉를 쓴다.[71]

비가수 출연자 중 박나래의 경우 나비의 〈집에 안 갈래〉[72]와 최근에 깔리기 시작한 클론의 〈난〉이 깔리며 쎄리 캐릭터가 자리 잡은 후 부터는 Little Mix의 〈Bounce Back〉이 주로 깔린다. 신동엽(이에나)은 간식 게임 한정으로 아니면 받쓰에서 무언가를 캐치할 때 이효리의 〈Bad girls〉가 깔린다. 최근에는 aespa의 〈Next Level〉이 깔린다.[73] 김동현은 초창기에는〈Despacito〉가 간간히 쓰였으나 갈수록 활약이 부진해서 많이는 쓰이지 않았다. 얼마 후, 유독 잘 활약한 82회에서 의 〈Hip Song〉을 자주 깔아주었고, 이것이 김동현의 브금이 되었다. 또한, MC 붐의 경우 89회부터 찬스 '청아청아 붐청아'를 통해 화사의 〈멍청이〉가 브금으로 깔리기 시작했다.

  • 시장 음식 소개 영상에서 나오는 BGM은 주로 팝송인 경우가 많고, 간혹 음식 관련 BGM이 나올 때도 있다. 언젠가부터 가수 또는 가수 출신 인물이 게스트로 등장한 경우 해당 인물의 노래가 나온다. 특히 아이돌 노래의 경우 게스트나 출연진이 노래가 나오는 동안 춤을 따라 추기도 한다.

  • 80회를 넘기면서 방영 직전에 게스트 논란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를테면 82회 출연분의 게스트 중 한 명이었던 셔누가 불륜 논란이 생겼다든가, 83회 방영 예정인 IZ*ONE최예나, 장원영에 관련해서는 투표 조작 논란이 생겼다든지.[74] 또한, 115회 출연분의 경우 게스트 본인은 아니지만, 붐카를 위한 개인기로 이 한 성대모사의 당사자 신지민이 최근 권민아한테 폭로를 당한 상태이다.[75]

  • 방송 화면 기준 멤버들의 자리 배치는 한해와 키의 출연 종료 이전에는 문세윤-김동현-한해-신동엽-혜리-박나래-Key 혹은 문세윤-김동현-신동엽-혜리-박나래-Key-한해로 주로 이뤄졌으며 넉살과 피오의 출연 개시 후에는 문세윤-김동현-피오-넉살-신동엽-혜리-박나래 혹은 문세윤-김동현-피오-신동엽-혜리-박나래-넉살로 주로 이뤄져있다. 배치를 잘 보면 한해, 넉살, 피오를 제외하면 잘 바뀌지 않는 편이다. 문세윤은 맨 왼쪽[76], 김동현은 문세윤의 오른쪽에 앉는다. 즉, 이 둘은 거의 모든 회차에서 가장 왼편에 위치한다. 신동엽은 중간 자리에 앉고, 혜리가 신동엽의 오른쪽에 앉는다. Key는 가장 오른쪽, 바로 왼쪽에 박나래가 앉아있다. Key의 군 입대 후에는 자연스레 박나래가 맨오른쪽에 앉았으며 넉살이 가장 오른쪽에 앉은 경우 두 번째 오른쪽에 앉는다. 그가 제대한 뒤에는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

곧, 현재 문세윤-김동현-신동엽-태연-박나래-Key를 기준으로, 그 사이 또는 오른쪽 끝으로 게스트와 넉살, 피오, 한해가 앉는다. 게스트는 대부분 김동현-신동엽, 또는 태연-박나래 사이, 넉살은 박나래 오른쪽 또는 신동엽 왼쪽에 주로 앉는다. 피오는 혜리와 박나래 사이에 앉을 때도 있지만 김동현 오른쪽에 가장 많이 앉으며 거의 고정석이 돼 가고 있다. 다만 Key는 2021년 4월 들어 피오와 태연 사이, 혹은 신동엽 옆에 앉는 등 유동적으로 움직인다.
2023년 현재는 '문세윤-김동현'은 왼쪽 고정, 신동엽은 가운데 고정으로 앉고, 나머지 멤버들은 유동적으로 앉고 있다. 정답존이 우측으로 이동된 223회 이후에도 해당 배치를 유지하다가, 228회 이후 '김동현-문세윤'이 우측에 앉고 있다.

  • 놀라운 토요일 공식 사이트에서 '도레미 마켓' 문제 공모를 할 수 있으며 추첨을 통해 벌칙용 강냉이 400 g을 보내준다.[77]

  • 몇몇 게스트들은 활약상에 따라 관용어처럼 쓰이기도 한다. 비슷한 상황이 나오면 이들 얼굴이 자료 화면처럼 나오기도 한다.

  •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발표된 출제곡 자료 화면은 계열사인 엠넷에서의 음악 방송 자료와 이후 CJ E&M에 흡수 합병된 KM의 간판 공개 음악 프로그램이었던 〈쇼! 뮤직탱크〉 자료까지 더해져 소장 중인 자료가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지상파에서의 음악 방송 프로그램 자료를 공급받아 사용하곤 한다.

  • 장거리에서 가져온 음식인 데다 장시간 촬영을 진행해서 다 식거나 굳은 음식을 먹고 가짜 리액션을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지만, 세트장 내외부에 조리실이 존재해서 재료만 공수해서 내부에서 직접 조리가 가능해서 음식을 따끈따끈하게 바로 먹을 수 있고, 음식이 식거나 변질되면 바로 변경해 준다. 스태프가 조리하는 게 아니라 전담 셰프가 있어서 실제 가게랑 동일하게 조리된다고 한다.[78] 여러 상황을 고려해서 음식을 상당히 많이 준비해 오기[79] 때문에 촬영 후 남은 음식은 스태프들이 먹는다고 한다. 간혹 정말 맛있는 음식들은 출연진들이 포장해 간다.

  • 원래는 2회 이상 실패하면 다 같이 한 곳에서 음식을 나눠 먹곤 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엔 최근에는 남은 음식을 N분의 1로 나누어서 데운 후 갖다 주었다가 다시 한 곳에서 식사한다. 현재는 다시 N분의 1로 나누어서 데운 후 갖다 준다.[80]

  • 2번 이상 출연하면 가족으로 간주한다. 근데, 간식 타임 때 명목상이나마 있던 게스트로서의 양보도 못 받는다……곤 하나, 그때그때 다르다. 2번 이상 출연해도 방송상에서 가족이라고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원래 '놀토'는 노는 토요일의 준말이였으나, 요즘에는 도레미 마켓의 동의어로 많이 쓰이는 '놀라운 토요일'의 약칭, 즉 도레미 마켓의 또 다른 명칭도 겸한다. 이것으로 세대 차이를 감별할 수도 있다.

  • 고정 출연자들과 제작진들의 사이가 굉장히 좋다. 각 출연자들의 생일을 축하해주는 것은 기본이고, Key태연이 본업으로 컴백했을 때는 각 그룹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 멤버들이 다같이 모여서 뮤비를 시청하면서 리액션을 하는 영상도 올라왔을 정도.[81] 게다가 하차한 멤버인 혜리에 대한 애정도 엄청나서 혜리가 게스트로 출연할 예정인 161회 방송 전날, 유튜브 커뮤니티에는 오랜만에 혜리가 온다는 게 너무 설렌다는 내용의 장문의 주접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 때문에 우스갯소리로 놀토 엔터테인먼트라고 불리기도 한다.

  • 간식 게임에서는 게스트 배려를 많이 해주는 편이다. 그래서 대놓고 주작질(?)을 해서라도 게스트한테 정답을 몰아주고 빨리 앉히는 경우도 있다. 사실 말이 나빠 주작질이지 이 부분은 그럴 만도 한 게, 게스트들은 어쩌다 한 번 출연하는 이들인 데다가 나오는 음식들이 아무데서나 맛볼 수 없는 전통시장 음식이라 이왕 한 번 나오고 갈 거 배라도 든든히 채워서 보내려고 배려해주는 것이다.다만 그렇게 판을 깔아줘도 못 먹는 게스트가 간혹 나온다. 단, 여러 번 출연한 게스트나 도레미들과 이미 친분이 많은 게스트는 배려해주지 않는 편이고, 특히 도레미들이 상대하기 편한 코미디언이 게스트로 나오면 가차 없이 안 봐 주는 경우도 꽤 많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든든한 국밥이 많아서 게스트 꼴지는 많이 나오지 않는다

  • 대결을 할 가수를 소개할 때 나오는 BGM은 2016년 12월에 방영된 KBS 드라마 월화드라마 화랑의 OST인 Victory March이다.


  • 하키가 보통 최종 보스 취급을 받긴 하지만 일부 팬들은 다른 최종 보스 후보로 래원이 나오길 고대하고 있다.[82] 하지만 래원이 나오면 문맥으로라도 추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iii 같이 메세지를 담고 있는 곡이 아니라면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 대신 한해의 유튜브에서 그의 노래에 래원이 피쳐링한 파트를 키와 릴보이가 각각 도전했다.

  • 유독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과는 인연이 영 좋지 않다. EXO(3회), SHINee(2회), 신화, 바다, 소녀시대, f(x)까지 총 9회의 실패를 겪게 하였다. 예외라면 천상지희[83], SUPER JUNIOR, Red Velvet. 아이러니하게도 현재까지 가장 많은 노래가 출제된 회사도 SM엔터테인먼트로, 그룹별로 거의 모든 소속 가수[84]의 노래가 최소 한 번씩 나왔다.[85] 사실상 네임드 아티스트는 보아[86] 빼고는 모두 나왔다고 보면 된다.[87][88]

  • 멤버들의 출신 고향이 다양하다. 신동엽-충북 제천, 김동현-대전광역시, 입짧은햇님&문세윤-서울특별시, 붐-강원도, 박나래-전남 목포, 넉살-인천광역시, 태연-전북 전주, 한해-부산광역시, 키-대구광역시



11. 유튜브[편집]


2020년 10월 29일 유튜브 채널이 오픈되었으며 11월 20일 미방분 공개를 시작으로 영상을 올린다. 3월 1주[89] 중으로 '놀라운 토요일 Amazing Saturday'라는 이름을 가진 도레미 마켓 유튜브 채널이 10만명을 달성했다.[90]

매주 채널 배너가 그 주 방영분의 원샷 받은 인물로 바뀐다는 것이 특징. 두 라운드 모두 동일 인물이 받은 경우엔 그 사람의 사진이 2개 올라간다. 당연히 게스트도 원샷을 받으면 올라가며, 공동 원샷 역시 전부 올라간다. 이 때문에 141화 방영 후에는 무려 5명이 올라왔다.[91]

재생목록으로는 예능 유튜브답게 한 화의 짧은 영상들과 요약본을 올린다. 인물의 활약상 또는 한 키워드를 가지고 그것을 중심으로 한 도레미가족과 특이한 기록을 세운 화 또는 화들을 모은 도레미랭킹도 있다. 또한, 도레미랭킹과 비슷하게 받쓰 레전드(1차 성공) 화만 모은 도레미어워즈, 코미디언 게스트 모음집, 방탄소년단 받아쓰기 모음집, 그리고 먹방 역시 존재한다. 특이한 점으론, 각 멤버별로 활약상 재생목록이 다 따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
그리고 최근에는 매주 일요일마다 '놀라운 분장실' 모음을 업로드하고 있다.

구독자 애칭은 구독자들에게 받은 후보인 파솔라, 파라솔, 강냉이, 놀래미, 읏쨔, 미레도, 음표 중 놀래미로 정해졌다.[92]


12. 논란[편집]



12.1. 김강훈 의상 논란[편집]


113회[93]에서 배우 김강훈이 "앞으로 공유 같은 배우가 되고 싶다."라며 공유가 출연한 〈도깨비〉의 김신 장군 콘셉트로 갑옷 의상을 입었는데, 이에 대해 시청자 게시판에 6월 22일자 장문의 게시글 2개가 올라왔다. 김강훈의 갑옷 의상에 새겨진 문구가 일본 이시다 미츠나리 집단의 가문을 나타내는데[94], 이시다 미츠나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최측근이라며[95] , 우리 겨레의 원수 집단 표식을 12살이 된 소년에게 입힌 부분이 우려된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3시간 만에 도레미 마켓 측이 평소 거래하는 의상 대여 업체에서 구한 것이며 김강훈 및 제작진, 대여 업체도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회차의 재방송 및 다시보기(VOD) 서비스가 중단됐으며 모자이크 작업을 시작해 다음주 중 방송을 볼 수 있게 조치했다. 또한 대여 업체에 의상 정보를 전달했고, 김강훈 측에 사과했다. 당연하겠지만 이제 겨우 12살인 아역 배우가 이런 역사적 사실을 인지했다고 보기 어렵고, 의상 선택의 자유를 가졌을 리도 없으므로 김강훈의 과실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결론은, 사극 의상에 한자 문구가 있는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 제작진의 실수일 수밖에 없다.


12.2. 간식 게임 미방분 논란 & 프로그램의 진정성 문제[편집]


논란이 된 이후 현재 해당 미방송분 영상이 유튜브에서는 삭제되었다. 하지만 제작진이 네이버카카오TV에서 삭제하는 것은 잊어버렸는지 아직 남아있다.

127회[96]가 방영될 당시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제작진이 방송 끝무렵에 오늘은 분량상 못 보여드린 미방분이 있으니 유튜브네이버에 업로드하겠다는 자막을 이례적으로 내보낸 이후, 업로드한 간식 게임 미방분에 대한 논란이 발생했다. 해당 영상은 간식 게임 당시 결승전에서 김동현과 넉살이 남아서 대결을 펼치는 장면이었다.[97] 이 때 넉살이 정답을 맞혔음에도 불구하고, 넉살의 절친이자 게스트로 출연한 코드 쿤스트가 "재미없다."라는 말을 한 것을 필두로, 다른 출연자 또한 노잼이라면서 이 문제를 무효화했다. 결국 다른 문제로 대체해 게임을 진행하였다.[98][99]

시청자와 누리꾼들은 이 영상을 보고 붐과 제작진을 엄청나게 비판했다. 누리꾼들은 "간식 게임을 주작한 것이 자랑인가?", "이런 게 웃길 줄 알고 올린 건가?", "넉살 진짜 착하고 불쌍하다." 등으로 비판하고 있다. 재미가 없다는 이유로 간식 게임 결과를 번복한다는 것은 노래 가사를 맞히는 메인 게임에서도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하여서 프로그램 진정성에도 큰 해를 끼쳤다. 또한 넉살을 향해 퍼포먼스 부족을 이유로 음식을 빼고 주는 등 지나친 잣대를 들이대는 문제가 쌓여 있다가 터진 논란이기도 하다.[100]

김동현, 문세윤 등 다른 멤버에게도 마찬가지였으나 그동안 논란이 되지는 않았고,[101] 붐의 무리한 게임 결과 조작 사례 역시 과거에도 자주 있어왔지만 그동안은 "이후 회식 자리에서 사과를 했다."라는 등 나름대로 무마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논란을 피해 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유튜브가 서브 플랫폼이라는 이유로 그런 여지의 부여나 자체 검열선이 낮았던 점, 특히 진정성이 의심되는 행위를 볼 시청자들의 반응을 예상하지 못한 점이 문제가 되었다.

제작진들과 MC 붐의 의도 자체는 못 살리는 넉살(못살넉살)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어 주려는 것으로 보인다. 예전 무한도전 당시 정형돈의 '어색한 뚱보'와 비슷한 맥락. 예능 초보에게 캐릭터를 잡아 주는 것이야 아주 좋은 일인데, '못 살리는게 캐릭터'는 천하의 유재석/정형돈도 겨우 몇 년 걸려서 살려낸, 다루기 어려운 캐릭터다. 본업 개그맨인 정형돈은 당시에 워낙 캐릭터가 어택 일변도였기 때문에 어색한 뚱보 캐릭터를 통해 탱킹을 겸비한 현재의 모습으로 성장했다.

그런데 래퍼 출신에 예능 고정 첫 작품인 넉살을 '못 살리는' 캐릭터로 살려내기는 굉장히 어렵다. 이번 사건처럼 다른 멤버들이 단체로 한 사람을 괴롭히는 모습처럼 비춰지기 쉽기 때문. 그나마 평소에는 아슬아슬한 선을 지켰지만 이 경우 프로그램 자체의 본질인 게임의 공정성이 훼손되었기 때문에 많은 시청자들이 거부감을 느끼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158회[102]에서도 이와 약간 비슷하게 결과를 조작하는 일이 벌어졌는데,[103] 제작진 쪽에서는 이를 포함해 게임 결과 조작에 따른 논란이 여러 번 있었다는 것을 이제는 신경쓰고 있는지[104], 간식게임이 마무리되고 난 뒤 꼴찌가 되어버린 김동현에게 스탭 한 명이 뒤에서 슬쩍 다가와 여분으로 남아있던 간식을 제공해서 꼴찌임에도 간식을 먹을 수 있게 배려해 주는 장면으로 마무리하였다.

이 날의 경우 마지막 결승전에 효연이 남았음에도 소녀시대 곡을 문제로 내서 애초에 불공정하게 시작했고[105], 여러 힌트를 통해 소녀시대 문제인 것을 알게 된 김동현이 문제를 제기해서 효연이 답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김동현에게 우선권을 줬다. 그리고 김동현이 우연히 정답을 말했는데, 붐을 비롯한 모든 출연자들은 아무런 반응없이 서로 눈치만 보느라 마치 틀린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그래서 김동현은 답을 말했는데도 정답 콜이 없자 당연히 틀린 줄 알고 자기가 먼저 실패라고 말을 해 버렸고, 그걸 핑계로 효연이 같은 답을 말해 효연이 맞춘 걸로 만들어버렸다. 그래도 이런 상황 덕분에 댄스 때 재밌고 웃겼다라는 반응이 대다수고 앞에도 말했듯 마지막에 제작진도 동현에게 간식을 챙겨줘서 큰 논란이 되지는 않았다.


12.3. 기타 논란[편집]


  • 13회 1라운드 관련 논란
13회[106] 1라운드 출제곡이 신화의 〈해결사〉였는데, 하필이면 익히 알려져 있는 전진을 둘러싼 논란 때문에 유독 1라운드 관련 클립 영상에서 붐을 향한 비난이 빗발쳤다. 자세한 내용은 붐(연예인) 3.3. 신화 전진 사칭 항목 참조.

  • 혜리의 친동생 쇼핑몰 홍보 논란
66회[107]에서 혜리가 원샷 종이에 적은, 제 친동생이 운영하는 쇼핑몰 이름의 일부가 방송으로 나왔다. 자세한 내용은 혜리/논란 및 사건 사고#친동생 쇼핑몰 홍보 논란 부분 참조. 그 뒤, 53회[108]에서 비범이 한 카페 홍보 역시 도마 위에 올랐고, 방송에서 과도한 홍보를 하는 것에 대해 논란이 일었다. 결국 방송심의위원회에서 53회, 66회에 대해 '법정제재(경고)'를 의결하고 전체회의에 상정하기로 결정했다. [방심위] 출연자 본인・가족 업체 광고한 tvN 도레미 마켓 법정제재. 결국 53회차는 TVING 다시보기에서도 제외되었다.

  • 손동표의 방송 태도 논란
79회[109]에서 손동표가 보여준 태도 때문에 태도 논란이 일어났다. 기사.

  • 피오의 버럭 태도 논란
107회[110] 간식 게임 때 피오가, 1R에서 혜리랑 동시에 이름을 외쳤는데 제가 먼저 했다[111][112]며 도른자가 됐을 때[113]와, 본인이 받아온 간식에 대해서 간섭으로 보이는 말을 한 김동현에게 성질을 부린 것이 태도 논란을 일으켰다.[114] [종합] 피오, '놀토'서 버럭 태도 논란.."불편" vs. "예능일 뿐" 시청자 게시판에서는 이에 대해서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또, 네이버 티비의 톡·선공개 영상[115]에서도 한동안 싸움이 났었다.

  • 일반인 외모 희화화 논란
141회[116]에서 간식 게임 도중 일반인 외모 희회화 논란이 일어났다. 문제가 된 사진은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의 한 장면인 박나래와 쌈디를 닮은 일반인이었다. 출연진은 공개된 사진을 보면서 손뼉을 치고 박장대소했다. 박나래는 “나래 아니냐고 오해하고 계시는데 파란색 옷을 입은 건 제가 아니고, 빨간색 옷을 입은 건 쌈디가 아니다.”라고 농담을 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누리꾼들은 일반인 사진을 웃음거리로 삼는 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한 누리꾼은 “방송에서 대놓고 일반인들의 얼굴을 보고 깔깔거리는 건 선을 넘은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다른 네티즌 역시 “내 사진이 저런 식으로 희화화되면 너무 불쾌할 듯.”이라고 썼다. 가족들 항의도 있었다. 한 누리꾼은 “박나래 닮았다는 저분은 우리 큰이모이신데 방청객으로 출연하셨던 사진을 이렇게 쓰냐?”라며 불쾌함을 표시했다. 짤 올린 이도 욕 많이 먹었을 것이다. 현재 해당 클립과 다시보기는 삭제됐으며, 현재까지도 사과를 하지 않아 더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게임 자체가 신상게임이었는데 하자마자 논란이 불거졌기에 이 게임은 그저 일회성으로 끝날 것으로 보였으나....
174회[117]에서 다시 진행하였다. 이번엔 논란이 된 걸 의식했는지 일반인의 짤이 아닌 연예인들의 유명 짤로만 진행되어 큰 논란 없이 지나갔다.

13. 수상[편집]


날짜시상식명수상 부문수상자
2021년
4월 27일2021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음악예능 부문놀라운 토요일


14. 둘러보기[편집]






[1] 가끔 분량이 많은 날에는 7시 30분 또는 35분에 시작하기도 한다.[2] 중간광고 포함.[3] 이는 2018년 6월 16일(11회차)~2019년 3월 16일(50회차)까지 방송분과 동일하다. 그 이전에 초반(1~10회차)에는 상단 표기에 '도레미 마켓'만 썼다.[스포주의] 2020년 11월 7일(133회) 방송 1라운드에서 혜리와 이적의 내기가 있었는데 거기서 혜리가 이기면 이적이 새 오프닝 BGM을 만드는 게 조건이었다. 그 결과, 혜리가 승리해서 새 오프닝 BGM이 만들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4] 물론 놀라운 토요일이 사실상 도레미 마켓 단독 체제로 간 것도 있다. 황금어장 - 라디오 스타도 이와 비슷한 케이스지만, 프로그램 소개할 때를 제외하고 대외적으로 '라디오 스타'라 불리고 있다. 일밤은 2017년부터 아예 껍데기만 남은 채 이름조차 언급되지 않고 있다.[5] 인원이 홀수일 경우 과반수로 먹는다. 예를 들어 11명일 경우에는 6인분을 먹는다.[6] 1화에서는 강냉이를 쏘는 장면을 〈웰컴 투 동막골〉에서의 팝콘이 흩날리는 신을 패러디하고자 OST를 삽입하기도 했다.[7] 이 의상 콘셉트는 출연하는 게스트와 관계가 있거나 방영하는 시기(계절이나 명절 등)와 관련 있기도 하다.[8] 48회 1R: 노바소닉 〈또다른 진심〉, 90회 2R: 서문탁 〈사슬〉, 93회 2R: 리아 〈개성〉 등.[9] 43회 2R: 신신애 〈세상은 요지경〉, 86회 1R: 현인 〈신라의 달밤〉 등.[10] 신라의 달밤은 예외적으로 1947년 노래이다.[11] 2021년 기준.[12] 35회의 간식 게임에서 붐이 옆 스튜디오에서 〈SHOW ME THE MONEY 777〉 생방송 중이라고 언급하였다.[13] 영상에서 볼 수 있듯 직접 금요일 녹화라고 언급하기도 했다.[14] 이는 패널 중 한 명인 키의 3월 13일 방영된 방송분 불참으로 알 수도 있다. SHINee 컴백 방송 때문에 불참했다고 나오는데, 3월 13일 방영분의 촬영 날짜로 추정되는 2월 26일 뮤직뱅크 출연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15] 4회까지는 2개, 5회에는 3개, 6~53회에는 4개. 54~134회 6개, 135회~200회 5개, 201회~ 6개[16] 1라운드에서 70% 듣기를 쓴다면 2라운드에서는 쓰지 못하는 식.[17] 4회까지는 이 힌트가 기본으로 제공되지 않고 1차 시도가 틀리면 제공되었다. (다른 힌트 선택 불가)[18] 정확히는 출제 파트와 관통하는 내용.[19] 가끔 도입부 또는 마지막 가사가 출제되거나, 앞·뒷가사가 문제부분과 반복이거나, 정답에 결정적인 힌트가 될 수 있는 경우 제공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5회 한정으로 2차 시도 힌트판으로 제공되었다.[20] 도레미들이 어려워하는 경우 가끔 2등도 공개한다.[21] 영어 등 외국어의 경우 기본적으로 띄어쓰기로 구분되는 단어의 중복 포함 개수를 언어 별로 알려준다. '비 오 디 와이'와 같이 하나의 단어를 알파벳 별로 끊어 쓴 경우 알파벳을 따로 세어 4개가 있다고 알려준다. '추리닝'과 같은 콩글리시의 경우 영어와 별개로 알려주며, '사라다'와 같이 다른 언어권에서 변질된 외국어 단어가 등장한 경우 원어가 아닌 변질된 언어(일본어)로 알려준다. '피카소'처럼 인명이 등장할 경우 인명임은 밝히지 않고, 해당 인물의 국적(스페인)을 언어(스페인어)로 알려준다. 그 외 고유명사의 경우 고유명사임을 밝히지 않고, 고유명사로 사용된 단어의 원래 언어를 알려준다. 두 개 이상의 외래어 단어를 붙여 쓰거나 한 단어처럼 사용하는 경우 합성어로 간주하며, 이 경우 전체 외국어 개수는 합성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따로 세서 알려준다. 예를 들어 '런웨이'라는 단어가 등장한 경우, '런'과 '웨이'를 따로 세어 영어 2개에 그 중 합성어 1개가 있다고 알려주는 식. '아이폰'처럼 여러 단어로 구성된 고유명사도 합성어로 친다. 외래어에 대한 올바른 표기법은 정답 작성 전 별도로 고지하며, 정답존에서 최종 수정이 가해지는 등 해당 고지를 미처 하지 못하게 된 경우 틀린 표기법이라도 정답으로 인정한다.[22] 숫자의 경우 해당 단어가 아라비아 숫자거나, 단어 내에서 명확히 숫자로 읽어 아라비아 숫자로 쓸 수 있는 경우에만 숫자로 치며, '두 번'처럼 수를 나타내지만 아라비아 숫자로 읽지 않는 경우에는 숫자로 치지 않는다(제작진이 숫자가 아니라고 고지한다). '구십구'처럼 두 자리 이상의 숫자의 경우 하나로 세지만, '일구구사'와 같이 끊어서 읽은 경우 따로 세서 4개로 알려준다. '원', '투'와 같이 외국어로 센 숫자는 외국어와 숫자로 모두 보고 영어 2개에 숫자 2개로 알려준다.[23] 이때는 70% 듣기와 함께 원곡 속도로도 들려주었다. 또한 음원 키를 정상 속도 수준으로 보정하지 않았다.[24] 초반에는 오히려 '사용 후 곡 실패'하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즉시 성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는 힌트가 상향 조정된 영향도 있지만, 멤버들이 그동안 경험이 쌓이면서 70%로 들었을 때 발음이 덜 뭉개지고 가사가 잘 들릴 수 있을지 여부를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게 된 측면도 있다.[25] 이 두 찬스는 연속 초성과 달리 번호가 연속되지 않아도 오픈할 수 있다.[예] 이를테면 동요 〈곰 세 마리〉의 경우, '있세빠곰한마아마에곰 / 집리어곰애곰엄가기' → '곰 세 마리가 한 집에 있어 / 아빠 곰 엄마 곰 애기 곰'으로 풀어쓸 수 있다.[26] 그래서 멤버들도 어지간하면 처음부터 '5분의 1초'를 쓰려고는 하지 않았다. 다만, 글자 수가 40 근처까지 갈 경우 쪼갰을 때 4글자(이상)를 봐야 되는 사람들이 늘면서 실패 가능성도 높아진다. 이 힌트의 거의 유일한 약점.[27] 그리고 109회가 돼서야 최초로 사용 후 최종 실패를 기록하게 되었다.[28] 제작진이 비상 상황을 위해 만들어 놓긴 했다고 하지만, 실제로 쓰게 될 줄은 몰랐다고 한다.[29] 방송에서는 나오지 않았지만 키와 한해의 고정 출연 개시도 영향이 컸을 것이다. 고정 출연자 9명에 게스트 2명까지 하면, 한 명 당 3자씩만 봐도 33글자 문제까지 커버할 수 있기 때문이다.[30] 88회 〈LIKEY〉가 극악의 난이도로 사상 최초의 포기곡이 되면서, 전반적인 받쓰 난이도 하향을 위해 지금은 사라진 5분의 1초와 함께 도입되었다.[31] 심지어 노래와 관계없는 사실까지 답해야 한다. 붐은 스케줄을 핑계로 회식에 불참한 적이 있다? 네![32] 만약 질문으로 인해 정답 여부가 확정되는 경우 정답존 이동 없이 즉시 성공 처리된다. 다만 이 경우가 처음으로 나온 108회의 〈미절〉에서는 정답존 이동 과정이 진행되었다.[33] 별도로 뚱청아, 키청아, 박청아 버전도 있으며 키는 붐의 자가격리 전에도 실현한 바 있다.[34] 이 당시에는 1차 시도 전 사용하지 못하면 해당 라운드에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었다. 실제로 152회 1라운드에서 멤버들이 잊어버리고 1차 시도가 지나가버려 소멸 된 전적이 있다.[35] 200회때에는 붐과 박나래가 서로 자리를 바꿔서 붐청이가 제공되지 않았다.[36] 기본 힌트를 유료화한 것에 대한 도레미들의 반감도 사용률 저하에 한몫했다. 실제로 힌트판 도입 이후 붐청이가 사용된 건 단 4번 뿐으로, 그마저도 한 번은 게스트 개인기를 통해 보너스로 받은 것이었다.[37] 여름특집과 같이 특집 기간 중 한 회차에 받쓰가 한 라운드만 진행되는 경우 해당 특집 내에서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38] 5회부터 10회까지는 복불복 게임을 통해 획득 가능하였으나, 11회부터 무료화. 53회부터는 청진기로 두 사람이 들을 수 있게 되었지만, 이후 효용성이 낮다고 판단되어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39] 이러한 상황이 처음 나온 148회에서 밝혀졌다. 이월 가능 횟수 및 기간은 무한하며, 이월 받은 다듣찬과 해당 회차 다듣찬을 한 라운드에 모두 쓰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다음 회차의 다듣찬을 미리 가불하는 건 불가능. 참고로 185회처럼 1라운드에서 다듣찬을 쓰지 않았는데 2라운드가 분량 문제상 스킵되었을 경우, 음식 무료 제공으로 다듣찬을 사용했다고 간주하여 이월되지 않는다.[40] 같은 라운드에서 다듣찬과 중복 사용할 수도 있다. 208회처럼 다듣찬과 같은 시도에 사용할 수도 있고, 225회처럼 다른 시도에 나누어 사용할 수도 있다. 이월 가능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듣찬을 아끼기 위해 부담없이 사용되는 꼴듣찬 특성 상 이월될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41] 게스트 간에 공동 꼴찌가 나온 경우 게스트 간 합의로 결정한다.[42] 9개 전후의 음식들이 순서대로 등장하며, 음식 공개 전에 나오는 주제를 통해 음식 등장 시 나오는 애니메이션, 자막, 화면 전환 효과를 보고 메인 음식 2종과 간식 1종을 유추해야 한다.[43] 틀린 부분이 없으면 즉시 정답을 공개하며 성공 처리한다.[44] 유료화 이전 8회 2라운드에서 2차 시도에 한 번 쓰인 적이 있다.[45] 특히나 세븐틴의 노래 아주 Nice는 놀토의 대표곡이 되어버렸다.[A] A B C D E 이전에 편집된 수치를 가져온 것이다.[대타1] 혜리 대타.[대타2] A B C D E 피오 대타.[대타3] 넉살 대타.[대타4] A B 김동현 대타.[46] 모종의 사유으로 잠정 보류되었던 2019년 11월 9일 방영 예정분을 공개했다. 본방이 아닌 일시적 특별 편성이다.[47] 문제를 맞히는 게스트가 아니라, 도레미들이 문제를 틀릴 때 입짧은햇님과 함께 음식을 먹는다.[48] 혜리 특집으로 게스트가 없다. 키와 한해가 출연하지만 회차 정보 게스트 명단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걸 보아 134회를 기준으로 공식 투입 취급하는 모양.[49] 사상 최초로 2라운드가 스킵되었다.[50] 역대 최고 시청률 기록.[51] 이 날 도쿄 올림픽 야구, 배구, 축구 경기가 모두 몰려있었다.[52] 이 날부터 옆 동네 예능이 놀토와 같은 시간대에 편성된다.[53] 이 날부터 옆 동네 예능이 놀토보다 1시간 뒤인 8시 40분 시간대로 편성된다.[54] 축구 국가대표 평가전 아이슬란드전 중계로 인해 저녁 6시에 방송을 했다. 그래서 동시간대 프로그램에 출연 중인 신동엽은 겹치기 출연을 하게 됐다.[55] 지난 192회 이후 6주 만에 같은 드라마의 주인공들이 재방문했다.[56] 4주년 특집으로, 받쓰 게스트가 아닌 입짧은햇님 대신으로 게스트가 출연했다.[57] 이 방송을 끝으로 피오가 군입대로 하차를 하게 된다.[58] 박나래 대타[59] 11월 5일은 이태원 참사로 인한 결방.[60] 대타.[61] 대타.[62] 태연 대타.[63] 개인 행사 스케줄 관계로 불참한 키의 대타로 출연하였다.[64] 전체 멤버 중 에스쿱스, 디에잇, 민규, 도겸, 승관, 버논, 디노 7인 출연.[65] 이렇게만 하게 될 경우 연 나이가 된다.[66] 생일이 지나지 않으면 {(세는나이) – 2}세, 생일이 지나면 {(세는나이) – 1}세.[67] 제작진한텐 준비 시간.[68] 88회에서 1시간째 이러고 있다고 나왔고, 115회에선 무려 2시간 40분 만에 성공했다고 나오기도 했다.[69] 고정 출연진인 입짧은햇님을 포함, 은혁, 이진호, 재재, 라비, 카이, 이미주, 이장준, 승관, 최예나가 출연한다고 한다. #.[70] 물론 본인 노래인 〈N분의 1〉, 〈One Sun〉 등도 나온 적은 있다. 〈Still D.R.E.〉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올 뿐 애당초 저 목록은 자주 깔리는 브금일 뿐 다른 브금도 나오긴 한다. 이건 다른 멤버들도 마찬가지. 하지만 가수 중에 자기 노래 아닌 게 나오는 인물은 한해 뿐이라⋯⋯.[71] 신곡이 나오면 신곡을 틀어주는 경우도 있는데 최근에는 INVU가 흘러나왔다.[72] 코미디빅리그에서 박나래의 코너였던 마성의 나래바에서 등장할 때 쓰는 BGM이기도 하다.[73] 신동엽이 간식게임에서 정답을 맞췄을 때 밥먹듯이 추는 ㄱㄴ춤(이집트춤)이 공교롭게도 최근에 나온 에스파의 Next Level의 포인트 안무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신동엽 테마곡으로 깔리기 시작했다.[74] 결국 이 회차의 방송은 잠정 보류되었고, 해를 넘긴 뒤 IZ*ONE이 활동을 재개하며 3달이 지난 2020년 2월 26일에 '미방송분 스페셜'이라는 이름으로 특별 편성된다.[75] 성대모사의 경우, 녹화분 날짜가 논란 발생일보다 한참 전(2~3주)이기 때문에 편집되었다.[76] 다만, 111회 1R 한정으로 혜리의 오른쪽에 문세윤이 앉았다. 참고로 기존 문세윤의 자리에 앉은 도레미는 박나래였다.[77] 식용으로, 도레미들이 가끔씩 먹는 장면이 나온다.[78] 137회 방영분에서는 2라운드 음식이였던 생선구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스튜디오에 진동하는 생선구이 냄새를 언급하기도 했다. 직접 조리하는것이 맞다는 증거 중 하나.[79] 153회에서 이미 10명이 다 맞췄는데도 번외 게임을 진행해서 이긴 차은우혜리도 먹었다. 최소 2~3개는 더 준비하는 듯.[80] 자막으로 2.5단계 시행 전이라고 언급.[81] 다른 가수 출연진들의 뮤비 리액션 영상이 따로 없는 이유는 해당 컨텐츠가 놀라운 토요일측이 아닌 SM에서 진행한 자체 컨텐츠이기 때문이다.[82] 래원 노래가 출제된 것처럼 합성한 팬 영상이 조회수 300만회를 넘기기도 했다.[83] 참고로 출제된 곡이 무려 〈Dancer In The Rain〉이다. 발음이 잘 안 들리는 브릿지 파트가 출제되었음에도 '다시 듣기' 찬스를 사용해서 1차 시도 만에 바로 성공했다.[84] H.O.T., 신화, S.E.S., 바다, 동방신기, 천상지희, SUPER JUNIOR, 소녀시대, SHINee, f(x), EXO, Red Velvet, NCT.[85] 출연자인 SHINee 소녀시대 태연이 SM엔터테인먼트 출신인 영향도 있고, SM 특유의 가사 스타일이 받쓰 난이도 조절에 용이한 편이라는 점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86] 키가 대표적인 보아의 성덕인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87] aespa윈터카리나만 나왔다.[88] 참고로 3대 기획사의 곡 출연 빈도를 살펴 보면 SM 27회, JYP 13회, YG 11회이다.[89] 3월 5~7일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90] 실버버튼 언박싱.[91] 다만 실버버튼을 받고 나서는 멤버 단체 사진으로 굳혀졌다가 154회에 다시 원샷 받은 사람로 바뀌었다.[92] 영상.[93] 2020년 6월 20일 방영분 (게스트: 김강훈, 정동원)[94] 대일대만대길, 뜻만 보면 '한 사람이 만인을 위하고 만인이 한 사람을 위하면 크게 길한다'이다. [95] 실제로 '도요토미 가문의 최후를 지킨 인물'이라는 평을 받는 인물. 임진왜란 당시에도 고니시 유키나가, 가토 기요마사와 함께 선봉을 맡았다. 행주대첩 때 선봉장이었는데, 알다시피 조선군한테 처참히 발렸다.[96] 2020년 9월 26일 방영분 (게스트: 코드 쿤스트, 이하이)[97] 영상의 시점은 본방송으로 나간 마지막 문제 신림동 백순대 볶음면의 이전이다.[98] 심지어 이 문제조차도 넉살이 져서 간식을 못 먹었다. 더군다나 이 과정에서 넉살이 이길 수도 있었지만 정답을 얘기하는 도중 부연설명이 중간중간 들어간 것을 이유로 오답처리가 되었는데, 해당 장면만으론 넉살의 캐릭터나 방송의 재미를 위한 연출로 볼 수 있어 본방송 당시엔 논란이 없었다. 하지만 미방분이 공개되면서 두 번씩이나 비슷한 일이 발생했음이 알려져 방영분도 논란이 되었다.[99] 거기에 유튜브에서 해당 영상을 삭제한 것과 거의 비슷한 시점에 클립 영상이랍시고 살이.. 인성 문제있어?라는 제목을 붙여 업로드 한 것 역시 문제가 되었다.[100] 정작 매번 똑같은 퍼포먼스 돌려막기하는 신중년신동엽이나 총잡이피오는 아무런 문제 없이 주고 있다.[101] 실제로 90년대 강자문세윤도 108회 1R에서 가사를 한 번에 맞추어버리자 단순 노잼이란 이유로 강냉이를 쏘거나 간식 게임에서도 바로 첫 번째로 맞추자 아예 CG로 지워서 그를 투명하게 한 적이 있고, 115회 신&구조어 퀴즈에서 간식 게임강자 김동현 또한 넉살의 이 사례처럼 정답을 말했으나 주위의 꼬드김에 넘어가 무효화되고 결국 간식을 못 먹었다. 이 때도 약간의 비난이 있었지만 큰 이슈까지는 되지 않았고, 결국 이런 식으로 몰아가기에 재미들린 붐과 제작진이 결국 이 사태까지 만들게 된 것이다.[102] 2021년 5월 1일 방영분 (게스트:유리, 효연)[103] 보통 간식게임에서는 게스트를 배려하여 웬만하면 게스트가 간식을 먹게 한다. 게스트에게 유리한 문제를 중간중간 출제하기도 하고 게스트가 후반까지 남아있을경우 멤버들이 일부러 비슷한 오답을 흘리거나 게스트에게 기회를 계속 주는 등의 템포 조절을 하는 편.[104] 신동엽도 이를 인지한 듯 현장에서 "이거는 근데 공정하지 않은 게임라고 나중에 (말이 나올 것 같다)"라고 넌지시 말했고, 자막으로도 편파적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의도적인 출제라고 할 수 있다.[105] 다만 아직 정답을 맞추지 못한 인원과 관련된 문제가 출제된 적은 여러 번 있었다. 당장 김동현 본인만 해도 43회 방영분에서 자신이 출연했던 대탈출이 문제로 나왔지만 맞히지 못했고, 멤버가 아닌 게스트들 중에도 황정민이 간식 게임에서 자신의 출연작을 무려 3번이나(연습까지 합하면 4번) 맞히지 못했던 적이 있다. 제작진의 자막으로 보아 김동현과 비슷하게 허당 캐릭터를 가진 효연이기에 이런 그림을 노리고 출제한 것으로 보인다.[106] 2018년 6월 30일 방영분 (게스트: 김준현, 김지민)[107] 2019년 7월 6일 방영분 (게스트: 장수원, 아유미)[108] 동년 4월 6일 방영분 (게스트: 유권, 비범)[109] 2019년 10월 12일 방영분 (게스트: 김우석, 손동표)[110] 2020년 5월 9일 방영분 (게스트: 이특, 은혁)[111] 물론 VAR 판독 결과 피오가 먼저 한 건 맞았다.[112] 믿기지 않는다면 당장 유튜브에서 영상을 찾고 0.25배속을 해보자. 피오가 확실히 빠르다.[113] VAR 판독을 하겠다고 하자 자신이 이성을 잃었었다며 그렇게까진 할 필요 없고 혜리가 해도 된다고 말했으며 제작진도 VAR에 흔쾌히 응했기에 이걸 태도에 문제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114] 물론 성질을 부린 것은 잘못했으나 김동현도 과하게 간섭했기에 대처가 아쉽다고 봐야지 이걸 피오의 인성, 태도 문제로 끌고 가기엔 다소 과하다[115] 내용은 위에 서술된 것과 동일하다.[116] 2021년 1월 2일 방영분 (게스트: 조세호, 남창희)[117] 2021년 8월 21일 방영분 (게스트: 강재준, 이은형)